• Title/Summary/Keyword: 신뢰도 모델

Search Result 3,628, Processing Time 0.464 seconds

Test Resources Allocation for SRGM (소프트웨어의 오류 원인 분석)

  • 최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328-330
    • /
    • 2003
  • 최근 운영시스템. 제어프로그램, 적용프로그램과 같은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더욱 더 복잡화 및 대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소프트웨어 제품 개발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의 신뢰도가 핵심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주어진 시간동안 고장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 즉, 신뢰도는 소프트웨어의 테스트 과정을 계속하면서 반복해서 결함을 발견 및 수정하면 더욱 더 향상될 것이다. 그러한 검출현상을 설명해주는 소프트웨어 신뢰도 모델을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모델(SRGM)이라 한다.

  • PDF

A Case Study on Reliability Growth Analysis for a missile System composed of All-Up-Round Missile and Launcher (유도탄 및 발사체계로 구성된 유도무기체계의 신뢰도 성장 분석 사례 연구)

  • Jo, Bora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2
    • /
    • pp.329-335
    • /
    • 2019
  • Reliability growth analysis was conducted for a guided weapons system. In the development phase, reli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continuously carried out by identifying failure modes and causes and analyzing faults found during the testing. The missile system consists of an all-up-round missile and a launcher, an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of each system. The test results for the all-up-round missile were obtained with discrete data, which were success and failure as a one-shot-device. The test results for the launcher were obtained with continuous data by operating the equipment continuously in the test. For each test result, the reliability growth model was applied to the Standard Gompertz model and the Crow-Extended model. The models were used to identify the growth analysis results of the test so far. It was also possible to predict the reliability growth results by assuming the future test results. The study results could be useful in achieving the desired reliability goal and in determining the number of tests. Then, the planned test will be confirmed and the growth analysis of the missile system will continuously be conducted.

Developing an Assessment Model of Library Open Data Quality (도서관의 오픈 데이터 품질측정모델 개발)

  • Park, Jin 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5 no.1
    • /
    • pp.33-59
    • /
    • 2018
  • This study draws on the current momentum to diversify open government data research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model development. It formulates a quality assessment model applicable to library open data,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aucity of such research in the field. The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Delphi method and verifi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on the basis of a survey administered to library open data users. The results of the fourth round exhibited an average of 4.00 for all measured elements and a minimum validity of .75, rendering the model appropriate for use in quality assessments of library open data. The convergence and stability results provided by the expert panel fell below .50, confirming that there was no need to conduct further surveys in order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the Delphi method. The model's reliability likewise garnered results of .60 and above in all three dimensions. This Model completed with the input of the Delphi panel was put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in which library open data users such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ans, developers, and open data activists reviewed the model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odel scored low on validity on account of its failure to load all measure factors and elements pertaining to the three dimensions. Reliability results, on the other hand, were at 0.6 and above for all dimensions and measured elements.

Classif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Reputation-Based Trust Model in Ad-hoc Networks (애드혹 환경에서 평판기반 신뢰 모델의 분류 및 성능평가)

  • Park, Seong-Soo;Lee, Jong-Hyouk;Chung, Tai-M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6C no.2
    • /
    • pp.143-150
    • /
    • 2009
  • In trust-based networks, it is very important how to decide a node is trustworthy when one node performs communications with other node. In current networks based on trust, a node creates a new trust value from observation and then establishes an intercommunication path through the process of evaluating a targeted communication node. In our paper, we propose four trust models in which a new node enters a cluster and finds a target node to create a communication in ad-hoc networks. The proposed model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reputation server and the trust evaluation functions. Through the proposed model, we found that new node finds target node more quickly in which there exists a reputation server in the cluster and considers neighbor node's recommendation as well as own experience information when calculates trust values. As our performance analysis, we focus the communication delay time to generate a final trust value for each trust model.

NHPP Unification Scheme for the Software Reliability Estimation (소프트웨어 신뢰도 산출에 관한 NHPP이론의 단일화 방안)

  • 최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457-45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NHPP에 기초한 여러 기존 소프트웨어 신뢰도 모델들이 가중 산술, 가중 기하, 또는 가중 조화평균의 개념을 적용하여 어떻게 유도되는가를 기술한다. 그 외에도, 이러한 3개의 가중치 평균에 근거하여 유사산술의 관점으로부터 좀더 일반적인 NHPP 모델을 제안한다. 상기 3개 평균 외에 변환의 파라미터 계열을 포함한 좀더 일반적인 변환을 공식화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프레임웍 하에서 기존의 NHPP를 입증하고 여러 가지 새로운 NHPP클 유도한다. 우리는 이러한 접근법들이 상이한 조건 하의 여러 가지 잘 알려진 모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 PDF

A Computational Model of Trust and Its Applications in Internet Transactions (인터넷 거래에서 신뢰도의 계산적 모델 및 적용)

  • Noh, Sang-U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8 no.4
    • /
    • pp.137-147
    • /
    • 2007
  • As Web-based online communities are rapidly growing, the agents in social groups need to know their measurable belief of trust for safe andsuccessful interac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putational model of trust resulting from available feedbacks in online communities. The notion of trust can be defined as an aggregation of consensus given a set of past interactions. The averagetrust of an agent further represent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tribution of its trustworthiness and untrustworthiness. And then, we precisely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reputation, trust, and averagetrust through a concrete example of their computations. We apply our trust model to online internet settings in order to show how trust mechanisms are involved in a rational decision-making of the agents.

  • PDF

비상디젤발전기의 동적 신뢰도 모델구축 및 이를 이용한 가속시험주기 규정 검토

  • 최선영;양준언;김태운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869-875
    • /
    • 1998
  • 원자력발전소 소외전원 상실 시 발전소를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디젤발전기의 신뢰성 평가는 계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연구과제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시스템 모델링 툴을 사용하여 비상디젤발전기의 동적 신뢰도 평가를 위한 Markov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한 동적 신뢰도 모델을 이용하여 NUREG/CR-4810에서 제안한 분석방법의 모순점을 보완하여 Reg. Guide 1.108의 비상디젤발전기 가속시험주기 규정을 이용불능도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또한 비상디젤발전기의 이용불능도는 기동실패확률 및 보수율과 기동실패 중 기동시 충격에 의한 고장 비율의 함수인 점을 고려하여 가속시험주기 규정을 따를 때 보수율과 기동시 충격에 의한 고장 비율이 이용불능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였다.

  • PDF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rust Beliefs to Online B2C Websites (온라인 B2C 웹사이트에 기술수용모델 및 신뢰(Trust) 신념의 적용)

  • 박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4.11a
    • /
    • pp.287-297
    • /
    • 2004
  • B2C 전자상거래는 2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측면은 인터넷, 웹 기술, 통신 기술 등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점이고, 다근 측면은 온라인 마케팅 채널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T 측면을 설명하기 위하여 Davis의 기술수용모델(TAM)을 사용하였고, 거래가 온라인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거래상의 신뢰(trust)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므로 이 신뢰 개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cKnight et al.(2002) 및 McKnight & Chervany(2002) 등이 언급한 신뢰 신념(trust beliefs)의 4개 선행변수인 구조 확신, 상황 정상, 인간성에서의 믿음, 신뢰 자세와 신뢰 신념(trust beliefs)과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신뢰 신념과 TAM 모델의 제 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Level Ozone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Confidence Level Test (신뢰수준평가에 기반한 고농도 오존 예측모델의 성능평가)

  • 정재룡;안항배;송치권;배현;전병희;김성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195-198
    • /
    • 2002
  • 고농도오존이 발생되는 원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관계를 모델링하기 위해 신경회로 망과 같은 지능제어 기법들이 많이 적용되어 왔다 분석과 모델링을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과 같은 최적화 방법을 적용하기도 하지만, 고농도 오존이 발생되는 메커니즘이 매우 복잡하고, 비선형적이며, 패턴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고농도 오존의 예측 모델링에는 여전히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뢰수준과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초농도 오존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링 방법을 서술하였다 예측값의 신뢰수준의 평가는 예측에 대한 실측값을 구하여 신뢰구간내의 데이터의 개수를 파악함으로써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 테스트는 우리가 가지고 있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GMDH(Group Method of data handling)의 전형적인 알고리즘에 바탕을 두고 있는 DPNN(Dynamic Polynomial 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예측 모델을 구성하였다. DPNN은 데이터 해석이 용이하고 비선형적인 동적 시스템 예측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신뢰(Trust) 기반의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가 주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에 대한 연구

  • Song, Min-J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2
    • /
    • pp.39-5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정보 개념을 재검토하여 신뢰 기반 ICT 인프라가 주는 새로운 개인정보 활용 비즈니스 기회들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가 ICT 활용 비즈니스에 이용된 배경에 대해 살펴본 후, 이러한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불신요인과 파급력을 파악해 신뢰 기반 ICT 인프라가 줄 수 있는 새로운 개인정보 생태계 비즈니스모델들을 제시한다.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는 옵트인 방식 적용 범위의 확대, 데이터 수집 없는 앱의 출시, 이용자 통제 기반의 개인정보 부가가치화, 그리고 신뢰 추구 업체 친화적인 개인정보 생태계 조성등이며, 이와 관련한 비즈니스모델들은 기존의 블록킹 툴 무료 제공 및 데이터 수집 없는 앱 외에 개인정보저장소 앱, 신뢰 기반 브랜드화된 쿠키 앱, 게이미피케이션이 가미된 자가분석 앱, 평판관리 앱, 개인정보 기부 앱 등으로 무한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앱 생태계가 마련되기 위해서는 신뢰를 추구하는 앱 개발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있는 업체 최적화 플랫폼(VOP)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