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뢰도 모델

검색결과 3,628건 처리시간 0.034초

부분 데이터를 이용한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 방법 (A Method for Selecting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s Using Partial Data)

  • 박용준;민법기;김현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1호
    • /
    • pp.9-18
    • /
    • 2015
  •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은 고장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프트웨어 출시일 또는 추가 테스트 노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을 사용할 때 특정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을 모든 소프트웨어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이미 많은 수의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특정 조건에 맞는 최적의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을 선택하는 것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기존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 방법에서는 수집된 고장 데이터 전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초기에 수집된 고장 데이터는 미래 고장 예측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미래 고장 예측 과정에서 왜곡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부분 고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합도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 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는 고장 데이터에서 과도하게 불안정한 데이터를 제외한 부분 데이터를 사용한다.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에 사용될 부분 데이터는 전체 고장 데이터와 고장 데이터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 고장 데이터의 미래 고장 예측 능력의 비교를 통해서 찾는다. 연구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하여 실제 수집된 고장 데이터를 사용해서 전체 데이터를 적용한 경우보다 부분 데이터를 사용한 경우의 미래 고장 예측 능력이 더 정확함을 보인다.

다중 평가 기준을 고려한 정량적 신뢰모델 (A Quantitative Trust Model with consideration of Multiple Evaluation Criteria)

  • 이건명;김학준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5권 제1호
    • /
    • pp.344-348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개체에 대한 신뢰도를 계산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평가기준을 이용하고, 또한 다른 개체들로부터의 추천정보를 이용하는 신뢰모델에 대해서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에서는 개체의 신뢰도를 개체가 주어진 상황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낼 기대값으로 정의한다. 다른 개체와 상호작용이 일어날 때마다 각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결과가 얻어진다고 전제하는 상황에서 적용되는 신뢰 모델이다. 제안된 모델에서는 신뢰정보가 요구될 때 우선 결과확률 분포(outcome probability distribution)와 개체의 평가결과에 대한 선호도를 고려하여 각 평가기준에 대한 만족정도를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만족정도 값들은 각 평가기준의 중요도를 반영하여 하나의 신뢰값으로 결합된다. 이때 추천 정보도 신뢰값에 함께 결합되는 모델이다.

  • PDF

재경로 설정을 고려한 통신망의 신뢰도 분석 모델링 (Reliability Analysis Modeling of Communication Networks Considering Rerouting)

  • 노철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5-5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통신망의 큐잉망 모델을 링크 고장을 고려한 신뢰도 모델과 함께 개발한다. 가상연결을 갖는 통신망에서 링크 고장시의 신뢰도 분석이 수행된다. 확장된 추계적 페트리 네트인 SRN은 시스템 분석을 위한 다양한 모델링 기능을 제공해 주며 적절한 보상율을 모델에 할당해 줌으로써 원하는 성능지표를 쉽게 구할 수 있다. 재경로를 갖는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모델 규격을 정하고 자동으로 모델을 생성하고 그 해를 구하는데 SRN 모델링이 적합함을 보여준다. 링크 고장에 따른 다양한 재경로 설정과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SRN을 이용한 마르코프 모델이 개발되고 그 해가 구해진다.

결함복구율을 고려한 연속 매체 디스크 배열의 신뢰도 분석 (Reliablilty Analysis of a Continuos Media Disk Array Under Repair Rate)

  • 오유영;김성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3)
    • /
    • pp.9-11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그룹화된 패리티를 갖는 소수 라운드 로빈({{{{ { PRP}_{gp } }}}}:Prime Round Robiin with Grouped Parties)' 방식에 대한 기존의 조합 모델을 이용한 신뢰도 분석 시에 문제가 됐던 결함복구율을 고려하지 못한 모델링에 대해서 미르코프 모델을 이용한 신뢰도 모델링을 바탕으로 결함복구율을 고려한 신뢰도를 계산한다. 또한 산출된 신뢰도를 근거로 반최적화된(semi-optimal) 패리트 그룹 나누기 알고리즘을 도출하고 동시에 두 개의 결함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한 신뢰도 모델링을 통해서 결함발생율만을 고려한 경우에 신뢰도가 기존의 조합 모델의 신뢰도와 거의 일치하고 결함발생율과 결함복구율을 동시에 고려한 경우에 신뢰도가 결함발생율만을 고려했을 경우보다 더높다는 것을 보인다. 반최적화된 패리티 그룹 나누기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에, 동시에 두 개의 결함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약 30% 이상의 경우에 대해서 저장된 패리티 정보를 이용한 복구가 가능하다.

  • PDF

뉴로-퍼지 모델 기반 단기 전력 수요 예측시스템: 신뢰도 계산 (Neuro-Fuzzy Model based Short-Term Electrical Load Forecasting: Reliability Computation)

  • 심현정;박래정;왕보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318-322
    • /
    • 2001
  • 본 논문은 뉴로-퍼지 모델의 구조 학습을 이용한 단기 전력 수요 예측시스템에서 예측치별로 신뢰도를 계산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예측시스템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작업은 특히 신경회로망과 같은 경험적 모델을 실제 활용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연구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출력별 신뢰 구간 계산 방법은 지역 표현하는 뉴로-퍼지 모델의 특성을 활용하여 학습된 퍼지 규칙 각각에 대해 신뢰도를 추정하는 Local reliability measure 기법을 사용한다. 제안된 신뢰도 계산이 가능한 단기 전력 수요 예측시스템은 먼저 결정 트리를 이용하여 초기 구조를 생성하고, 이를 초기 구조 뱅크에 저장한다. 저장된 초기 구조 뱅크를 이용하여 뉴로-퍼지 모델을 학습하고, 학습된 퍼지 규칙의 신뢰도를 추정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한국 전력에서 수집한 1996년과 1997년의 실제 전력 수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 시간 앞의 수요를 예측하는 모의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 PDF

웹사이트 신뢰도, 만족도, 친숙도가 구매의향에 미치는 상호조절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Moderating Roles of Website Trustworthiness, Satisfaction, and Familiarity With Regard to Online Purchase Intention)

  • 윤성준;김주호;백미영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5권3호
    • /
    • pp.106-131
    • /
    • 2003
  • 본 연구는 소비자 신뢰의 형성과 역할에 대한 모델을 전자상거래에 적용시켜서 온라인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모델을 제시하고 그 모델의 유효성을 실험적 조사를 통해 평가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신뢰가 성립하기 위한 선행변수(거래 안전성, 웹사이트 실체성, 검색 기능성)와 조절변수(웹사이트 친숙도), 그리고 결과변수(구매의향)로 구성된 연구모델의 변수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모델에서 신뢰도는 만족도와 함께 온라인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설정되었다. 122 명의 대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전산실에서의 통제된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4 개의 사이트(한솔 CS, 롯데, 메타랜드, 지그타운)를 대상으로 실행된 본 연구의 주요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사이트 신뢰도는 사이트 안전성과 실체성에는 반응하였으나 기능성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웹사이트 만족도는 웹사이트의 안전성, 실체성, 기능성에 모두 민감히 반응하였다. 둘째, 4 개 사이트 중에서 3 개가 웹사이트 만족도 보다는 신뢰도가 구매의향에 영향을 더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 개 사이트에서 웹사이트 신뢰도는 만족도와 서로가 구매의향에 대해 상대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자상거래에서 점차 중시되고 있는 신뢰도에 대한 개념을 웹사이트 만족도와 온라인 구매의향과 연관하여 파악함으로써 신뢰도의 원천과 영향력에 대한 실체적이고 현실성 있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여 줌으로써 웹사이트의 개발에 관련하여 인터넷 마케터들에게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수립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근거를 제공하여 준다.

  • PDF

유색 패트리넷을 이용한 인터넷 환경에서 프로그램 신뢰성 (A Program Reliability of Internet Environment Using Colored Petri Nets)

  • 김갑수;구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6-104
    • /
    • 2009
  • 인터넷 환경에서 이러닝 시스템과 같은 고신뢰성의 정보를 원한다. 인터넷 시스템에서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분석이 매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인터넷 환경에서 프로그램 신뢰성을 예측하기 위해서 유색 패트리넷 모델을 이용하는 신뢰도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에 적용하는 신뢰도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넷 프로그램 모델을 만든다. 이를 유색 패트리넷으로 변환한 후 인터넷 시스템 모델의 신뢰도를 예측한다. 이 방법은 신뢰성 있는 인터넷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신뢰도 예측 방법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적용하기 편리하다.

  • PDF

자원 신뢰성 측정을 통한 효율적인 그리드 자원 스케줄링 모델 (Efficient Grid Resource Scheduling Model with Resource Reliability Measurement)

  • 박다혜;이종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29-136
    • /
    • 2006
  • 그리드 컴퓨팅은 단일 컴퓨터로는 해결할 수 없는 대용량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그리드 컴퓨팅은 지리적으로 분산된 이기종 자원들을 상호 연결하여 대용량의 작업들을 처리하는 새로운 차세대 컴퓨팅이다. 그런데, 분산된 이기종의 자원들을 모을 때에 많은 어려운 문제들이 발생한다. 특히, 자원들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은 가장 심각한 문제 중에 하나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리드 자원의 신뢰성을 측정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그리드 자원 신뢰성 측정 스케줄링 모델을 제안한다. 우리는 자원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자원 신뢰성을 측정하고, DEVSJAVA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그리드 시뮬레이션 모델에 그리드 자원 신뢰성 측정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이 논문은 스케줄링 모델들의 Utilization, Job loss, Throughput 그리고 Average Turn-around Time 같은 파라미터들을 측정하였고, 자원 신뢰성 측정을 이용한 그리드 자원 신뢰성 측정 스케줄링 모델의 실험 결과들을 기존의 스케줄링 모델들(랜덤 스케줄링 모델,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 모델)과 비교하였다. 이 실험 결과들은 자원 신뢰성 측정 스케줄링 모델이 랜덤 스케줄링 모델과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 모델에 비해 효율적인 자원 할당과 안정적인 작업 처리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소프트웨어 결함 발견 및 제거 노력 기반 신뢰성 추정 모델 (Software Fault Detection and Removal Effort-based Reliability Estimation Model)

  • 강명묵;구태완;백종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7호
    • /
    • pp.536-547
    • /
    • 2010
  • 최근 소프트웨어는 고성능의 많은 기능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복잡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신뢰할 만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신뢰할 만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신뢰성을 초기단계에서부터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지만 대부분 신뢰성 추정 모델의 경우 시스템 또는 운영 테스트 단계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신뢰성 높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초기 테스트 단계에서부터 개별 유닛의 신뢰성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기에 이 단계에서의 특징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초기 테스트 단계에서는 개발자와 테스터가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개발자가 테스트뿐만 아니라 디버그까지 함께 수행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테스트 시간과 디버그 시간을 모두 고려하는 신뢰성 추정 모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테스트 단계에서부터 개별 유닛의 신뢰성 관리를 지원하고자 새로운 신뢰성 모델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제 산업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한 모델이 실제 데이터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그리고 기존 모델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프트웨어의 고전적 신뢰도 성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cal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 최규식;김종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973-976
    • /
    • 2001
  • 소프트웨어신뢰도의 일반적인 이론에서 소프트웨어의 고장율은 소프트웨어결함의 평균크기, 겉보기 결함밀도, 작업량의 곱인 것으로 제안한다. 고전적인 소프트웨어신뢰도모델들의 가정에 부합되는 이런 인자를 가진 모델들을 개발하였다. 선형, 기하학적, Rayleigh 모델들이 이에 해당된다. 선형신뢰도모델은 잔여결함의 평균크기와 작업량이 일정하고 겉보기 결함밀도가 실제 결함밀도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유도된다. 기하학적모델은 결함을 수정함에 따라 평균결함크기가 기하학적으로 감소한다는 가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한편, Rayleigh 모델은 잔여 결함의 평균크기가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한다는 가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신뢰도 요인의 거동을 가정하여 이러한 다양성을 수용하기 위한 모델링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