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뢰도측정

Search Result 1,87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Measuring Reliability of POS Tagging Systems (품사 태깅 시스템의 신뢰도 측정)

  • Kim, Jae-Hu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4
    • /
    • pp.365-37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품사 태깅 시스템에서 신뢰도 측정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품사 태깅 시스템의 신뢰도는 품사 태깅 결과에 오류가 포함되지 않을 확률이다. 일반적으로 신뢰도 측정은 오류확률에 기반한다. 정확한 오류확률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품사 태깅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말뭉치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말뭉치가 필요하다. 이 문제를 다소 완화시키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좀더 정확한 오류확률 추정하기 위해 교차확인 방법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품사 태깅 시스템은 시험말뭉치에 대해서 61%의 신뢰도를 보였다. 이는 한국어 문장의 형태소 수가 평균 20개이고, 품사 태깅 시스템의 정확률이 97.5%일 때의 신뢰도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품사 태깅 시스템이 미등록어가 없을 경우에 97.68%의 정확률을 보이므로 제안된 신뢰도 측정 방법이 어느 정도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제안된 신뢰도 측정 방법은 구문분석, 정보검색 등 여러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것이며, 본 논문에서는 품사태깅의 오류검출에 적용해보았다.

  • PDF

Inter-rater reliability on the Functional Reach Test (기능적 뻗기 검사의 측정자 간 신뢰도)

  • Choi, Wonji;No, Hyol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81-382
    • /
    • 2019
  • 본 연구는 기능적 뻗기 검사의 측정자 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는 총 46명(남 20명, 여 26명)이었고 기능적 뻗기 검사는 두 곳의 실험실에서 이루어졌고 측정자는 총 6명이었다. 같은 장소의 실험실에서 이루어진 검사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장소가 다른 곳에서 이루어진 검사의 측정자 간 신뢰도는 아주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능적 뻗기 검사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서는 측정자들의 명확한 기준의 정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The software quality measurement based on software reliability model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델링 기반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 Jung, Hye-J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4
    • /
    • pp.45-50
    • /
    • 2019
  •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measure software reliability according to software reliability measurement model to measure software reliability. Th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uses the distribution of Non - Homogeneous Poisson Process and presents a measure of the software reliability of the presented model. As a method to select a suitable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ed model, we have studied a method of proposing an appropriate software reliability function by calculating the mean square error according to the estimated value of the reliability function according to the software failure data. In this study, we propose a reliability function to measure the software quality and suggest a method to select the software reliability function from the viewpoint of minimizing the error of the estimation value by applying the failure data.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 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

  • Yi, Chung-Hwi;Park, So-Yeon;Ko, Myung-Suk
    • Physical Therapy Korea
    • /
    • v.10 no.4
    • /
    • pp.17-22
    • /
    • 2003
  •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도구(GMPM)는 뇌성마비 아동의 움직임을 질적인 면에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뇌성마비 아동 10명(평균 5.6세, 범위 4~8세)에게 GMPM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각 속성 항목별로 3명의 평가자간의 급간내 상관계수로 일치도를 보았다. 전반적으로 측정자간 신뢰도는 '불량~보통'범주에 속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충분한 교육을 받지 않고 평가하면 그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을 말해준다. 향후 임상에서 GMPM을 이용하여 평가할 때 측정자간 신뢰도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Effective Web Site Implementation using Reliability Measurement (신뢰도 측정을 통한 효과적인 웹 사이트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Kwon, Young-Gik;Cui, Jun;Kwon, Dong-Ho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4 no.6
    • /
    • pp.802-812
    • /
    • 2011
  • In this paper, we derived 7 reliability measurement factors for effective web site construc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ly measured reliability of the web site using "Xenu" and "Yslow" which are reliability measurement tools. We selected and tested total 12 domestic and foreign web sites. As a result of measuring those 12 web sites, the reliability level was varied in a number of aspects according to 7 measurement factors, and we suggested alternatives based on those 7 factors in order to build the effective web site.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riple Generation Based on Distant Supervision By Using Semantic Similarity (의미 유사도를 활용한 Distant Supervision 기반의 트리플 생성 성능 향상)

  • Yoon, Hee-Geun;Choi, Su Jeong;Park, Seong-Bae;Park, Se-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23-2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트리플 생성 시스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distant supervision 기반의 신뢰도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많은 패턴 기반의 트리플 생성 시스템에는 distant supervision의 기본 가정으로 인해 다수의 오류 패턴이 발생할 여지가 크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오류 패턴을 제거하기 위하여 발생 빈도, 공기 횟수 등의 통계에 기반하여 간접적으로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패턴과 영어 프로퍼티 사이의 의미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통계에 기반한 방법보다 더 정확한 신뢰도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비지도 학습 방법인 워드임베딩을 활용하여 어휘의 의미를 학습하고, 이들 사이의 유사도를 측정한다. 한국어 패턴과 영어 프로퍼티의 어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활용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논문에서 제안한 패턴 신뢰도 측정 방법은 통계 기반의 방법에 비해 정확률이 9%나 더 높은 트리플 집합을 생성함을 보여주어, 의미 유사도를 반영한 신뢰도 측정이 기존의 통계 기반 신뢰도 측정보다 고품질 트리플 생성에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Utterance Verification Using Accumulation of Negative Log-likelihood Ratio (음의 유사도 비율 누적 방법을 이용한 발화검증 연구)

  • 한명희;이호준;김순협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3
    • /
    • pp.194-201
    • /
    • 2003
  • In speech recognition, confidence measuring is to decide whether it can be accepted as the recognized results or not. The confidence is measured by integrating frames into phone and word level. In case of word recognition, the confidence measuring verifies the results of recognition and Out-Of-Vocabulary (OOV). Therefore, the post-processing could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cognizer without accepting it as a recognition error. In this paper, we measure the confidence modifying log likelihood ratio (LLR) which was the previous confidence measuring. It accumulates only those which the log likelihood ratio is negative when integrating the confidence to phone level from frame level. When comparing the verification performance for the results of word recognizer with the previous method, the FAR (False Acceptance Ratio) is decreased about 3.49% for the OOV and 15.25% for the recognition error when CAR (Correct Acceptance Ratio) is about 90%.

Embedded System Reliability Measurement Use Markov Chain Model (마르코프 체인 모델을 이용한 임베디드 시스템 신뢰도 측정)

  • Kawk Dong-Gyu;Cho Yong-Yoon;Park Ho-Byung;Yoo Ch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433-435
    • /
    • 2005
  • 임베디드 시스템은 다수의 디바이스를 컨트롤하여 시스템의 목적을 수행한다. 최근 임베디드 시스템의 요구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하나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가 컨트롤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수의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신뢰도는 각 디바이스의 신뢰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은 임베디드 시스템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통계적 신뢰도 측정 방법 중 한 가지인 마르코프 체인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마르코프 체인은 여러 분야에서 복잡한 시스템을 단순화하여 모델링하고 과거의 변화를 토대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전체 시스템의 확률을 행렬로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있어 특정 부분의 확률이 전체 시스템의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산술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마르코프 체인은 테스트 대상 소스를 분석하여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는 루틴과 에러를 핸들링하는 루틴, 일반적인 루틴으로 나누어 각각을 상태로 정의한다. 정의한 각 상태간의 전이는 통계적으로 측정한 디바이스 신뢰도를 확률로 표현한다. 마르코프 체인을 이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소스 분석기와 신뢰도 측정기로 나누어 설계한다. 소스 분석기는 테스트 대상이 되는 소스와 디바이스 드라이버 라이블러리 테이블을 입력으로 하고 소프트웨어의 마르코프 체인을 출력으로 한다 마르코프 체인은 행렬로 표현하고 연산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측정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신뢰도 측정 방법은 부분이 가지고 있는 신뢰도가 전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산술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시스템이 요구하는 신뢰도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과 근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이루고 있는 가족구성원들에게는 가족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휴식과 오락의 소비 트렌드를 창출시켰

  • PD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alancia using Wii Balance Board for Assessment of Balance with Stroke Patients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평가를 위한 Balancia 프로그램의 신뢰도와 타당도)

  • Park, Dae-Sung;Lee, Dong-Yeop;Choi, Sung-Jin;Shin, Won-Seob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6
    • /
    • pp.2767-2772
    • /
    • 2013
  • Balance is the foundation for all active daily livings. Evaluation of balance has been conducted to measure postural sway of center of pressure(C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Balancia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inter-, intra-reliability for measure of balance with stroke patients. COP was measured by Wii balance board.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39 stroke patients. Intra- and inter-reliability was examin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with 95% confidence interval. In the result of intra- and inter-reliability, all COP parameters of postural sway showed high to very high reliability with ICC=.793-.939 and ICC=.791-.955. Validity was determined by correlation with Accusway force plate. There were high validity with ICC=.851-.955 between tool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Balancia showed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It is a useful clinical tool for evaluating balance in stroke patients.

A reliability measure of three dimensional shapes based on statistical shape analysis (통계적 형상분석을 이용한 3차원 형상의 신뢰도 계수)

  • Shin, Sang Mi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2 no.1
    • /
    • pp.15-27
    • /
    • 2019
  • The reliability of the data means the overall consistency of the measurement results. Methods for evaluating reliability have been continuously studied because it affect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r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s used for reliability evaluation; however, these measures cannot be applied to data consisting of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to represent an object.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asure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ree dimensional shapes based on statistical shape analysis that is made possible by extracting the shape information from the measured three dimensional coordinates and decomposing the shape var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