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뢰감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Public Relations Policy Studies on Recovered Confidence of the People for a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 발전에 대한 국민 신뢰감 회복 PR 정책방안)

  • Yu, Seung-Yeob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0
    • /
    • pp.287-294
    • /
    • 2013
  • This study were proposed for the promotion policy on public confidence in nuclear power recovery schemes. To this end, the existing survey and secondary data review and public distrust of nuclear power plant safety issues were raised. In addition, the meta-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romote public confidence in nuclear power plants recovered three major policy presented. First, the nuclear power plant for the economical / safety communication strategy, short term / long term in terms proposed. Second, strengthen the nuclear power plant reliability and short-term communication strategy / long term in terms proposed. Finally, Korea Hydro & Nuclear Power's long-term image building measures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Korea's nuclear power plants to increase confidence in the effect is expected to be presented.

Parent attachment correlation between parent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 (대학생이 인식한 부모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에 관한 연구)

  • Ma, Ji-Sun;Kang, Young-Sik;Park, Ju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933-936
    • /
    • 201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은 아버지에 대한 애착보다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부모됨의 동기는 전체적으로 평균보다 높았지만 성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신뢰감 애착은 아버지의 의사소통과 신뢰감의 애착과 정적상관이 있었지만 아버지의 소외감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어머니의 애착유형 하위요인 중 어머니의 소외감 애착이 높으면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신뢰감이 낮았다. 반면 어머니의 소외감 애착이 높으면 아버지의 소외감도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착은 부모됨의 동기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특히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요소 중 의사소통과 신뢰감 애착이 높을수록 부모됨의 동기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부모와의 애착은 자신이 부모가 되고자하는 동기에 영향을 미침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교육은 대학생이 미래의 부모가 되었을 때 자녀와 애착을 잘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 PDF

해외 사장 개척은 '신뢰감' 구축으로 시작

  • Kim, Ju-Hyeok
    • 정보화사회
    • /
    • s.179
    • /
    • pp.2-3
    • /
    • 2006
  • 소프트웨어 분야는 2~3년을 손해 보더라도 신뢰감을 쌓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원하는 비즈니스를 지속적으로 보여줘야지 고위층 인사와의 친분 등 '과시'만으로 비즈니스가 되는 건 아니다.

  • PDF

The Study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Youth through the Internet: Focusing on the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Trust (대학생의 인터넷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정치효능감과 정치신뢰감을 중심으로)

  • Ha, Jong-Wo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32
    • /
    • pp.369-40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the concept of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trust as a way of explaining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young people under the new age of the Internet. From the survey in which 221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there were several findings: first, overall political efficacy has a predominant effect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both offline and online; second, political trust has little impact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youth; third, there showed up tw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trust for the online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participation in politics. It is found that in high efficacy group people with low trust are most likely to participate, while in medium efficacy group people with high trust are most likely to participate. In low efficacy group, however, political trust didn't make any difference in political participation. There are more factors that may predict political participation, such as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ideology, and demographic variables. For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 of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trust in combination with these other variables to explain political participation by offline and online.

  • PDF

A Study on Acoustic Characteristic in Election Song (선거 로고송의 음향 특성에 관한 연구)

  • Yi, Eun-Young;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17-218
    • /
    • 2016
  • 선거 로고송은 출마자의 공약을 전달하며, 후보자의 이미지를 대중에게 각인시켜야 한다. 특정 계층에게만 호소력이 있거나, 거부감을 주어서는 안된다. 청중에게 다른 출마자를 비방하는 내용을 담지 않으면서도 상대 출마자와 차별화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하며 신뢰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감의 기준으로 가사전달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역대 선거로고송에 사용되었던 음원 중 신세대 트로트를 선정하여 비교한 결과 평균 49.%였다.

  • PDF

A Study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Accommodating Process of Multi-cultural population in Korea : Social Capital Approach (다문화인의 적응과정에서 공공도서관의 역할 - 사회자본의 관점에서 -)

  • Kim, Ha Jin;Kim, G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4.08a
    • /
    • pp.173-176
    • /
    • 2014
  • 본 연구는 다문화인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데에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사회자본의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특히 사회자본의 요소인 네트워크의 특성과 신뢰감을 핵심개념으로 설정하고, 4인의 다문화인과의 심층면담 수행 후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은 다문화인들에게 얕은 관계와 일반화된 신뢰감을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내의 교량형 사회자본의 형성에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The Impact of Self-control of Adolescence on the Teacher Attachment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및 자기신뢰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ang, Do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4
    • /
    • pp.132-14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elf-control of adolescence on the teacher attachment. In addition to this, it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nfidence of adolescence. For this reason, we analyzed the data of 2,854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in 2010 by a model of Structural Equation.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trol of adolescence was found to gi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teacher attachment. In this case, the self-control of adolesc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direct effect and 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Second, self-esteem and self-confidence of adolescence, it was found that self-control of adolescence has a significant medit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teacher attach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 have proposed the importance of the self-control training of adolesc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