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관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5초

느타리버섯의 불화합성(不和合性)이 종내(種內) 및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ncompatibility on Protoplast Fusion between intra-and inter Species in Basidiomycete, Pleurotus spp.)

  • 고승주;유창현;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7-144
    • /
    • 1989
  • 느타리버섯의 종내(種內) 및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을 Polyethylene Glycol (P.E.G.M.W.4,000) 처리(處理)로 성공(成功)하였다. 종내(種內)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서 화합성(和合性) 균주간(菌株間) 융합(融合)으로 얻은 균주(菌株)는 clamp를 형성(形成)하였으며 정상적(正常的)인 자실체(子寶體)가 발육(發育)되었으나 불화합성(不和合成) 균주간(菌株間) 융합(融合)으로 얻은 균주(菌株)는 대부분(大部分) clamp 형성(形成) 및 자실체(子實體) 발육(發育)이 이루워 지지 않았다.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률(融合率)은 l0% 내외(內外)로 종내(種內) 융합률(融合率)보다 낮았다. 융합률(融合率)과 동위효소(同位酵素) band에 의(依)한 생화학적(生化學的) 유사도(類似度)와는 서로 상관(相關)이 없었다.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의 경우도 균사체(菌絲體) 융착(融着)에 의한 교배(交配)에서 화합성(和合性)을 보인 원형질체간(原形質體間) 융합(融合)에서 얻은 융합(融合) 균주(菌株)는 정상적(正常的)인 자실체(子實體)가 발육(發育)되었으나 불화합성(不和合性) 균주간(菌株間) 융합(融合)에서 얻은 균주(菌株)는 변이(變異)로 추측되는 몇 가지 경우를 제외(除外)하고 대부분(大部分)이 clamp 형성(形成) 및 자실체(子實體) 발육(發育)이 이루워 지지 않았다.

  • PDF

양송이[Agaricus bisporus(Lange)Sing.]에 마이코곤병(病)을 유발(誘發)하는 Mycogone perniciosa Magn.에 관한 생물학적(生物學的) 연구(硏究) (I) M. perniciosa와 양송이 복토중(覆土中) 미생물(微生物)사이의 길항적(拮抗的) 관계(關係) (II) M. perniciosa와 A. bisporus사이의 상호관계(相互關係) (Some Biological Studies on Mycogone perniciosa Magn. Causing Wet Bubble in 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I) Antagonistic Relationships between M. perniciosa and Microfloral Organisms in the Casing Soil (II) lnteractions between M. perniciosa and A. bisporus)

  • 한용식;신관철;김동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14
    • /
    • 1974
  • 본(本) 시험(試驗)은 양송이 복토중(覆土中) 미생물(微生物)의 Mycogone perniciosa Magn.에 대한 항균작용(抗菌作用)및 M. perniciosa 와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사이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되었으며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1. In vitro test에서 M. perniciosa는 복토(覆土)에서 분리(分離)된 미동정(未同定)의 미생물(微生物)들에 의해서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었으며 재배시험(栽培試驗)에서 M. perniciosa의 포자현탁액(胞子懸濁液)을 복토표면(覆土表面)에 국소접종(局所接種)하였을 때 라병(羅病)버섯은 접종(接種)된 부분(部分)에서만 발생(發生)되었고 접종부분(接種部分) 주변(周邊)에서는 발생(發生)되지 않았다. 2. M. perniciosa와 A. bisporus사이의 길항적(拮抗的) 관계(關係)는 in vitro test에서 배양기(培養基)의 종류(種類)에 따라 다소(多少) 차이(差異)가 있었으나 A. bisporus의 균사(菌絲)는 M. perniciosa 균총(菌總) 위를 덮어서 자랐다. 재배시험(栽培試驗)에서 M. perniciosa의 포자현탁액(胞子懸濁液)을 A. bisporus의 곡립종균(穀粒種菌) 표면(表面) 혹은 복토층(覆土層)의 중간부위(中間部位)에 분무접종(噴霧接種)하였을 때에는 라병(罹病)버섯이 발생(發生)되지 않았으나, 복토표면(覆土表面)에 접종(接種)하였을 때에만 리병(罹病)버섯이 발생(發生)되었다.

  • PDF

고랭지 배추 재배농가의 시비실태 조사연구 (Status of Fertilizer Applications in Farmers' Field for Summer Chinese Cabbage in Highland)

  • 이춘수;이계준;이정태;신관용;안재훈;조현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06-313
    • /
    • 2002
  • 고랭지 여름배추 재배농가의 시비실태를 조사하여 시비개선 기초자료로 활용코져 1999~2001년에 58농가를 대상으로 청취조사한 결과, 3요소비료는 추천시비량에 비하여 질소 1.4배, 인산 2.4배, 칼리 2.0배를 시용하고 있었으며, 퇴비는 가축분퇴비 위주로 $9,920kg\;ha^{-1}$을 사용하고 있어 추천량보다도 감비하고 있는 반면, 석회질비료는 $2,160kg\;ha^{-1}$로 추천량에 접근하였다. 농가가 많이 사용하는 복합비료 비종은 기비로 11-10-10+3+0.3 (원예1호) > 11-6-6+4+13+17(쌀맛나) > 12-9-11+3+0.3(원예범용) 등의 순위이었고, 추비는 18-0-18+0.3(벼수비용) > 13-0-13+1+0.3(웃거름) > 18-0-15+0.3(NK마그) 등의 순위였다. 배추농가에서 퇴비는 계분퇴비 >돈분퇴비 >우분퇴비 >생계분순으로 전체 조사농가중 91.4%의 농가에서, 석회는 소석회 >생석회 >석회고토순으로 81%농가가 사용하였다. 고랭지배추 재배면적(10,206ha)을 적용한 총 소요량으로 볼 때 농가시비량의 절감 가능량은 성분량으로 4,347톤(질소 1,265톤, 인산 1,123톤, 칼리 1,959톤)으로 추정 할 수 있었다.

재배방법(栽培方法)이 감자의 흑지병 발생(發生)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ultural Methods on Infection by Rhizoctonia Disease (Rhizoctonia solani $K\"{u}hn$) and Yield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 박천수;함영일;신관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51-255
    • /
    • 1987
  • 본(本) 시험(試驗)은 복토(覆土)깊이, 파종기(播種期), 최아방법(催芽方法) 및 고조제처리(枯凋劑處理)가 감자흑지병발생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남작(男爵)(Irish Cobbler)과 수미(秀美)(Superior)를 공시(供試)하여 실시(實施)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복토(覆土) 깊이가 깊을수록 출아(出芽)가 늦어졌으나 이병률(罹病率)은 뚜렷한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며 수량(收量)은 10cm구(區)에서 증수(增收)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이병률(罹病率)은 4월 28일 파종구(播種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5월(月) 이후(以後)의 파종간(播種間)에는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수량(收量)은 조기파종(旱期播種)인 4월(月) 28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낮았고 5월(月) 8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높았다. 3. 욕광최아처리구(浴光催芽處理區)에서 이병률(罹病率)이 가장 낮았고 수량(收量)은 가장 높았으며 무광최아(無光催芽)에서는 무최아(無催芽)보다도 이병률(罹病率)이 높았으며 수량(收量)은 낮았다. 4. 고조제처리(枯凋劑處理) 후(後)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질수록 이병괴경(罹病塊莖)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는데 지상부(地上部) 고사(枯死) 후(後) $6{\sim}15$일(日)까지는 괴경이병율(塊莖罹病率)의 증가폭(增加幅)이 컸으나 그 후(後)부터는 완만(緩慢)하였다. 5. 나작(男爵)은 수미(秀美)보다 경(莖)의 이병률(罹病率)은 높았으나 괴경이병률(塊莖罹病率)은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양송이 합성배지(合成培地) 제조(製造) 및 균배양(菌培養)을 위한 Bulk Pasteurization System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ulk Pasteurization System for Composting and Spawn Running of the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 신관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69-274
    • /
    • 1982
  • Bulk pasteurization system을 농가(農家)에 보급(普及), 실용(實用)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고 동(同) system을 이용(利用)한 퇴비배지(堆肥培地)의 발효방법(醱酵方法)을 확립(確立)하기 위(爲)한 실험(實驗)을 실시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양송이배지(培地)의 후발효과정(後醱酵過程)은 bulk pasteurization system으로 실시(實施)하는 것이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우수(優秀)하여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이 높았다. 2. Bulk pasteurization system으로 균배양(菌培養)을 한 결과(結果)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불량(不良)하고 수량(收量)이 낮았는데 이것은 송풍기(送風機)의 결함(缺陷)과 불완전(不完全)한 작업(作業)에 기인(基因)하였다. 3. 기존(旣存) 양송이재배사(栽培舍)를 개수(改修)한 간이(簡易) bulk pasteurization system은 배지(培地)의 발효(醱酵)가 불량(不良)하여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이 낮고 재배(栽培)의 안정성(安定性)이 적었다. 4. 배지(培地)의 후발효(後醱酵)를 bulk pasteurization 방법(方法)으로 할때 정열도달시간(頂熱到達時間), 후발효시간(後醱酵期間) 및 배지(培地)의 성분변화(成分變化)는 기온(氣溫)의 영향(影響)을 받았으나 관행방법(慣行方法)보다는 현저(顯著)한 안정성(安定性)을 보였다. 5. 시설(施設)이 잘된 bulk pasteurization system으로 후발효(後醱酵)할 때 입상시(入床時) 배지(培地)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발효(醱酵)에 큰 影響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배지(培地)의 성분(成分)에 약간 차이(差異)가 있었다.

  • PDF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 (Isolation of Protoplasts from Flammulina velutipes)

  • 여운형;유영복;박용환;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0-78
    • /
    • 1988
  • 평이버섯의 유전연구(遺傳硏究)와 신품종(新品種) 육성(育成)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팽이버섯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제(諸) 요인(要因)을 구명(究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팽이버섯의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에 알맞은 배지(培地)는 Potato Dextrose peptone Agar였으며 5일간(日間) 배양(培養)된 지수적(指數的) 생장기(生長期)의 균사체(菌絲體)에서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량(裸出量)이 가장 많았다. MMM 배지(培地)에서는 전혀 나출(裸出) 되지 않았다. 원형질체(原形質體)의 나출(裸出)은 Novozyme 234+Cellulase CP를 10 mg$ml^{-1}$ 농도(濃度)로 사용(使用)하였을때 $52.0{\times}10^{5}ml^{-1}$로 가장 높았으며 최적(最適) 반응시간(反應時間)은 3시간(時間)이었다. Novozyme 단독처리구(單獨處理區)에서는 나출량(裸出量)이 반정도 였다. 효소액(酵素液) pH의 영향(影響)은 삼투압조절제(參透壓調節劑)의 종류(種類)에 따라 차이(差異)를 보였다. 예소액(醴素液)의 반응시간(反應時間)은 Novozyme 234+cellulase CP 10 mg $ml^{-1}$의 경우 3시간(時間) 후(後) 최대(最大) 조출량(操出量)을 보였다. 삼투압조절제는 0.6 M의 Sucrose가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완형액(緩衡液)없이 pH 6.2로 사용(使用)할 때 원형질체(原形質體)의 나출량(裸出量)이 가장 많았다.

  • PDF

DELAY M9 탄약의 신뢰도 및 저장수명 연구 (A Study on Reliability and Shelf-Life of DELAY M9)

  • 이정호;최재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4-72
    • /
    • 2020
  • 지연관 M9 탄약은 항공용 투하탄의 신관(M904, M905)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탄약이다. 탄약의 특성 상 한 번 사용하면 더 이상 재현이 불가능하고 동시에 파괴되므로 실제 사용 전에는 탄약의 성능이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없다. 군에서 사용 중인 탄약의 운용 특성 상 장기간의 저장이 불가피하며, 필요시 즉각 사용을 위해 저장된 탄약의 성능 유지 및 확인을 위한 시험평가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과거부터 현 시점까지 수행한 저장탄약신뢰성평가(ASRP : Ammunition Stockpile Reliability Program)를 통해 확보한 시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연관 M9 탄약의 신뢰도 및 저장수명을 추정한 연구 결과이다. 현재 저장하고 있는 지연관 M9 탄약에 대해 성능 평가 시험 결과를 분석하고, 저장기간 및 생산연도에 따라 결점 수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탄약의 신뢰도와 저장수명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지연관 M9에 대한 저장신뢰성평가 계획 수립 및 평가 시험, 결과 분석, 그리고 탄약 상태 판단 등 탄약 운영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서 란타늄-황토 복합체의 흡착특성 (Evaluation of Lanthanum(III)-Loess Composite as an Adsorbent for Phosphate Removal)

  • 신관우;추연덕;김금용;류홍덕;이상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3-148
    • /
    • 2011
  • 본 연구는 호소나 댐과 같은 닫힌 수계에서 부영양화의 주요물질인 인을 제거하기 위한 란타늄-황토 복합체 개발에 관한 것이다. 연구 결과 황토 1 g에 붙을 수 있는 최적 란타늄 양은 2.68 mg이었으며, 인 제거를 위한 최적 반응시간은 황토에 부착된 란타늄 양이 증가할수록 최적 반응시간은 단축되었다. 수중의 인 농도는 제조된 란타늄-황토 복합체의 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 제거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란타늄이 부착되지 않은 황토와 란타늄이 첨가된 복합체를 사용한 경우에서 인 제거 경향이 달랐다. 수중의 인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황토 및 란타늄-황토량은 후자가 전자보다 약 1.5~10배 적게 소요되었다. 란타늄-황토 복합체의 인 흡착 경향은 Freundlich 및 Langmuir 등온흡착식과 일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수중의 인 제거시 제조된 복합체의 pH에 대한 영향은 넓은 pH범위(pH 5~8)에서 높은 제거율을 보임으로써 자연수계에 직접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된 복합체 살포시 침전시간은 30분 이내로 짧았다. 침전되는 동안 수중의 인을 흡착하면서 침전되며, 인 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본시장의 글로벌화와 한국 통화정책의 독립성 (Globalization of Capital Markets and Monetary Policy Independence in Korea)

  • 김소영;신관호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2권2호
    • /
    • pp.1-26
    • /
    • 2010
  • 본 논문은 한국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변동환율제 도입과 더불어 자본자유화로 자본시장이 글로벌화된 상황에서 외부로부터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수 있었는지를 자본자유화 이전 기간과 비교하여 분석했다. 트릴레마 이론에 비추어보면, 자본자유화 이전에는 환율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을 해도 이론적으로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으며, 자본자유화 이후에는 환율제도가 자유변동환율제도로 전환함에 따라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과 같은 소규모 개방경제의 경우 자본시장이 완전히 개방되어 국가 간 연계성이 증가하고, 막대한 양의 국제자본 유출입이 발생하여 환율과 자산 시장의 심각한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외국의 통화정책과 자본 흐름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통화정책을 집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논문의 실증분석에서는 부를 미국으로 국한하여 한국의 통화정책이 미국의 통화정책으로부터 독립적인지 블록 외생성 구조 VAR 모형을 이용하여 자세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통화정책이 자본자유화 이전과 이후 두 기간 모두에서 미국의 통화정책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으로 운용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자본자유화 이후 기간의 경우 완전한 변동환율제를 실제로 운용하기는 쉽지 않았고, 이로 인해 필연적으로 한국의 통화정책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이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본자유화 이후 기간에는 포트폴리오 자본의 유출입이 자본자유화 이전 기간에 비해 매우 민감하게 변화하여 독립적인 통화정책의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자본의 글로벌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통화정책을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정책의 틀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 PDF

영지(靈芝)버섯 균사(菌絲)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 및 재생(再生) (Some Factors Affecting the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from the Mycelium of Ganoderma lucidum(Fr.) Karsten)

  • 신관철;여운형;유영복;박용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85-192
    • /
    • 1986
  • 영지(靈芝)버섯의 유전(遺傳) 및 신품종(新品種) 육성(育成)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要因) 구명(究明)하고 원형질체(原形質體)의 재생(再生)에 관한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영지(靈芝)버섯균(菌)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에 적합(適合)한 배지(培地)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빠르고 기생균사(氣生菌絲)의 발달(發達)이 양호(良好)한 SCM이었다. 2. 영지(靈芝)버섯균사(菌絲)의 세포벽(細胞壁) 분해효소(分解酵素)는 Novozym 234였고 최적농도(最適濃渡)는 $10mg{\cdot}ml^{-1}$이었으며 이때 원형질체(原形質體)의 나출수(裸出數)는 $10.47{\times}10^6ml^{-1}$이었다. 3.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을 위한 최적(最適) 삼투압조절제는 0.6 M Suaose였고 Kcl에서 나출(裸出)된 원형질체(原形質體)는 크기가 매우컸다. 4. 영지(靈芝)버섯균(菌)은 3일간(日間) 배양(培養)한 균사체(菌絲體)에서 원형질체(原形質體)의 형성(形成)이 최대(最大)였고 분해효소액과의 반응시간(反應時間)은 3시간(時間)이 가장 좋았다. 5. 나출(裸出)된 원형질체(原形質體)는 MCM, MMM 및 SCM 배지(培地)에서 0.2~0.27%의 재생율(再生率)을 보였다. 6. 원형질체(原形質體)에서 재생(再生)된 균주(菌株)의 13~29%는 Monokaryon 균주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