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 해부학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1초

족삼리 취혈방식 제안: 신경해부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Suggestion on Locating Method for ST36 Acupoint Based on Neuroanatomical Features)

  • 문희영;윤다은;류연희;이인선;도디창;포니치앙;채윤병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40권3호
    • /
    • pp.128-133
    • /
    • 2023
  • Objectives : There are many variations in the ST36 acupoint loc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a method of locating the ST36 acupoint. Methods : Based on the available research and the neuro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underlying acupoint, we summarized the proper procedure for finding the ST36 acupoint. Results : ST36 is 3 B-cun inferior to ST35 and is vertically situated on the line that connects ST35 and ST41. The ST36 acupoint corresponds to the deep peroneal nerve, which is situated in the tibialis anterior muscle's back. The neurovascular bundles that are located on the interosseous membrane between the interosseous crests of the tibia and fibula include the deep peroneal nerve, anterior tibial artery, and anterior tibial vein. According to both classical and modern literature, this acupoint can be found horizontally between the two muscles, tibialis anterior and extensor digitorum longus. Conclusions :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neuroanatomical features, we suggest that ST36 can be positioned horizontally between tibialis anterior and extensor digitorum longus. Additional imaging studies and clinical proof are required to determine ST36 acupoint.

요추 및 천추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시술 (Ultrasound-Guided Injections in the Lumbar and Sacral Spine)

  • 고광표;송재황;김환정;김상범;민영기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5-195
    • /
    • 2018
  • 연구 계획: 문헌 조사 목적: 초음파를 이용한 중재 시술은 임상적으로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하요추부 통증이 보존적 치료에 실패한 경우 수술적 치료 이전에 흔하게 시행하게 되는 치료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요추 및 천추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시술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함에 있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초음파를 이용한 중재 요법은 근육, 인대, 건, 혈관, 신경 등의 연부조직을 직접 관찰할 수 있으며, 환자나 시술자에게 방사선 노출이 없고, 컴퓨터 단층 촬영이나 C형 투시검사 장비처럼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이 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요추부의 정상, 비정상 초음파 소견과 요추 및 천추부에서 시행할 수 있는 초음파 유도하 중재 요법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기술을 하였다. 결과: 요천추부의 정확한 초음파 중재 시술을 위해서는 검사 시 환자의 자세 및 해부학과 정상, 비정상 초음파 소견 등에 대한 숙지가 필요하다. 초음파를 이용하면 후방 관절 내 주사 및 내측 분지 차단술, 경막외 차단술,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천장관절 주사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결론: 요추 및 천추부에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요법은 요천추부 통증의 치료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술기이다.

족부 및 족관절 부위에서 비복 신경의 해부학 및 수술시의 의미 (Anatomy of the Sural Nerve in the Foot and Ankle and Its Surgical Implications)

  • 이우천;박현수;한영길;장병춘;임장운;라종득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8-92
    • /
    • 1998
  • The course of the sural nerve in the calf has been well documented, but there is a general lack of information concerning the distal course of the n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distal course of the sural nerve and its surgical implications. Seven fresh amputated specimens were dissected to show the anatomy of the sural nerve in the foot and ankle. At the level of about 10cm proximal to the plantar surface, the sural nerve coursed anteriorly and inferiorly away from the Achilles tendon. 2 to 4 lateral calcaneal branches arose. The first branch of the lateral calcaneal branches coursed along the lateral border of the Achilles tendon, and it arose at 8cm proximal to the plantar surface in 2 specimens, 12cm proximal to the plantar surface in 4 specimens, and at 12cm proximal to the plantar surface in one specimen. The main nerve trunk continued distally plantar to the peroneal tendons and divided into two terminal branches and crossed peroneus longus tendon at the level of the inferior border of the calcaneo-cuboid joint, at about 3cm(range, $2.5\sim3.0$)cm from the plantar surface. In conclusion, a longitudinal incision lateral to the Achilles tendon would cross the path of the sural nerve at about 10cm proximal to the plantar surface. When the first branch of them arise more than 10cm above the plantar surface, a logitudinal incision lateral to the Achilles tendon may be made without damage. The other lateral calcaneal branches will be cut when we make transverse incision paralled to the plantar surface. The terminal branch also may be in danger by the same transverse incision.

  • PDF

시각자극과 삼음교 자침으로 유발된 성적 흥분의 대뇌 활성화 영상의 비교 : 3 테슬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 (Comparison of Brain Activation Images Associated with Sexual Arousal Induced by Visual Stimulation and SP6 Acupuncture : fMRI at 3 Tesla)

  • 최남길;한재복;장성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2호
    • /
    • pp.183-194
    • /
    • 2009
  • 목 적 : 정상인 여성을 대상으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 fMRI)을 이용하여 성적 흥분반응과 관련되는 시각자극과 삼음교(SP6, 三陰交) 경혈자극 의한 대뇌 활성화 영역의 차이점을 밝히고, 나아가서는 성적흥분의 기전을 신경해부학적인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성기능이 정상적인 오른손잡이 여자 21명(19$\sim$32세 : 평균 22세)을 대상으로 3.0 Tesla MR scanner를 이용하여 fMRI 영상을 얻었다. 성적 흥분을 유도하기 위한 패러다임은 3분간의 에로틱 비디오 시청과 삼음교(SP6)자침에 의한 자극을 주었으며, 자극 전 후에는 각각 1분간의 휴지기를 두었다. 또한 광명혈(GB37) 후방으로 3 cm 위치에 있는 비경혈점에 자극을 주어 경혈(acupoint)과 비경혈(shampoint) 자침에 의한 대뇌의 활성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획득은 AC-PC line을 기준으로 20개의 횡단면으로부터 총 2,000개의 기초영상을 얻었으며, SPM9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활성화 영상을 얻었다. 결 과 : 삼음교 경혈과 비경혈의 침자극에 의한 비교실험에서 경혈은 비경혈에 비하여 대뇌 신피질에서 평균 5배, 변연계에서 2배 높은 활성화도를 보였다. 비경혈 자극시에 간뇌의 HTHL, 기저핵의 GLO, AMYG, 그리고 두정엽의 SMG 등에서는 활성화 신호가 관찰되지 않았다. 성적흥분과 관련된 대뇌의 해부학적인 영역을 시각자극과 삼음교 경혈자극 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자극간의 평균 활성화율(activation ratio)은 신피질과 변연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반면 평균 활성화도(activity)는 신피질의 경우에는 두 자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변연계의 경우에는 경혈 자극시에 유의하게 더 높은 활성화도를 보였다(p < 0.05). 결 론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을 이용하여 성적흥분과 관련된 시각자극과 경혈 침술자극에 의하여 유발된 대뇌 활성화 양상의 차이점과 신경해부학적 기전의 차이점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방의 경혈, 경락 이론을 과학적인 측면에서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부인두강 종양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Tumors of the Parapharyngeal Space)

  • 김영민;노영수;박영민;임현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8-45
    • /
    • 1994
  • 부인두강(Parapharyngeal space)는 비인두강과 구인두강에 인접하여 위로는 두개저, 아래로는 설골사이에 위치하는 해부학적 잠재공간으로 이곳에 발생하는 종양은 매우 드무나 다양한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보이며 인접한 중요장기들로 인한 수술적 어려움으로 두경부 외과의사의 관심이 되어 왔다. 최근 CT나 MRI의 도입으로 이학적 검사가 어려웠던 이부위의 진단에 많은 도움을 얻게 되었고, 발달된 수술방법의 사용으로 크기가 매우 큰 종양도 절제가 가능하게 되었다. 저자들은 1990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한림대학교 이비인후과학교실에서 술전 CT나 MRI를 시행한 후 조직검사로 확진된 부인두강 종물 22례의 후향적 임상분석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양성종양이 11례(30.0%), 악성종양이 11례(50.0%)로 빈도에 차이는 없었다. 2) 종양의 조직학적 기원은 타액선종양이 10례(45.5%)로 가장 많았으며 신경종양이 4례(18.2%)였고 기타 종양이 8례(36.4%)로 다양하였다. 3) 방사선학적 진단방법으로는 18례(81.8%)에서 CT를 시행하였고 필요한 경우에 MRI를 5례(22.7%), 혈관조영술을 3례(13.6%)에서 시행하였다. 4) 치료방법으로는 악성종양은 수술 및 방사선치료 또는 항암약물요법을 병리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단독 또는 병합하여 시행하였고, 양성종양의 경우에는 모두 수술을 시행하였는데 수술방법은 경이하선 접근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5) 추적조사는 평균 20개월로 양성종양의 경우는 모두 종양의 재발이 없이 치료되었으나 악성종양 중 전이암 1례와 악성 임파종 1례가 사망하였다.

  • PDF

침자기전(鍼刺機轉)의 중추신경계(中樞神經系)에서의 신경해부(神經解剖).생리학적(生理學的) 기초연구(基礎硏究) (A Neuroanatomical and Neurophsiolgical basic Study on the Mechanism of Acupuncture in central nervous system)

  • 김정헌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514-550
    • /
    • 1996
  • There are many theory in acupuncture mechanism, so we must know the detail contents. and then we can use the acupuncture as we know. the follow article will be helpful in this part. 1. Spinal cord are role in intermediate part in somatosensorypathway also in acupuncture stumulating tract 2. Acute pain pathway started in laminae I, V of gray colmn, next are the spinothalamic tract(trigeminal spinothalamic tract in above neck part) and then go to the specific thalamic nucleus. but chronic pain in laminae II, III, VI, VII, next are spinoreticular tract(trigeminal spinoreticular tract in the neck part) and finally to the nonspecific thalamic nucleus. 3. Thalamus is very important area in somatosensory stimuation including acupuncture stumulating sensory also as a pain control center. but except this, there are Hypothalamus, Limbic system Cerebral cortex and Cerebellum as intermediator. as we Know hypothalamus is related to the emotional analgesic system with a limbic system. 4. A ${\delta$ fiber has relationship in Acute, sharp and initial pain, contrary this C fiber is related with Chronic, dull and last pain. 5. In Acupuncture mechanism of pain analgesia, there are two theory, one is gate control theory as large fiber another is stimuation produced analgesia as small diameter fier. 6. In DNIC, the stimulation sources are mechanical, thermal, heating, pain and acupuncture stimulation etc. we call these as a Heterotopic Noxious Stimulation. 7. In DNIC, SRD(Subnucleus reticularis dorsalis)is core nucleus in pain imtermediated analgesic mechanism. 8. Takeshige insisted nonacupuncture point dependent analgesic mechanism and acupuncture point dependent analgesic mechanism. and protested that Stimulation acupuncture piing evoke blocking nomacupuncture point analgesic pathway.

  • PDF

뇌전도 기반 마우스 제어를 위한 동작 상상 뇌 신호 분석 (Motor Imagery Brain Signal Analysis for EEG-based Mouse Control)

  • 이경연;이태훈;이상윤
    • 인지과학
    • /
    • 제21권2호
    • /
    • pp.309-33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사지가 마비되어 신체를 움직이지 못하지만 뇌의 기능은 살아있는 장애인들을 위하여, 생각만으로 외부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Brain-Computer Interface) 기술을 연구하였다. 신경생리학 분야에서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신체를 움직이는 상상을 할 경우, 뇌의 운동/감각 피질 영역에서는 $\beta$파(14-26 Hz)와 $\mu$파(8-12 Hz)가 억제/증가되는 ERD/ERS(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 / Synchronization) 현상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혀, 발, 왼손, 오른손의 동작 상상을 자극으로 이용하여 변화하는 뇌 신호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피험자의 생각을 읽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 하 좌 우의 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제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동작 상상 시 발생하는 뇌 신경 활동의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서 뇌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높은 시간 해상도로 측정이 가능한 비침습적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phy)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뇌전도 신호는 특성상 신호의 크기가 미약하고, 잡음의 영향을 많아 분석이 어렵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통계적 방법을 기반으로 한 기계학습 기법인 CSP(Common Spatial Pattern)와 선형판별 분석(Linear Discriminant Analysis)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동작 상상에 의해 발생하는 뇌 신호들 간의 분산이 최대가 되도록 신호를 변환하여 인식 성능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분석된 뇌 신호의 시각화를 통해, 기존에 알려진 뇌의 해부학적, 신경생리학적 지식과 일치하는 ERD/ERS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원발성 및 전이성 척추종양에 대한 전 척추 절제술의 단기 추시 결과 (Short Term Result of Total en Bloc Spondylectomy in Spine Tumor)

  • 김재도;장재호;박찬재;정재윤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2007
  • 목적: 원발성 및 전이성 척추종양의 치료는 해부학적 특성상 근치적 광범위 절제술이 용이하지 않다. 원발성 및 전이성 척추종양에 대해 다양한 수술을 시도하였으며, 그 중 전 척추절제술이 양호한 임상결과를 보여, 본원에서 원발성 및 전이성 척추종양으로 전 척추절제술을 받은 5례를 대상으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6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치료하였던 환자 중 전 척추절제술을 받고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원발성 척추종양 1례와 전이성 척추종양 4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이성 척추종양의 원발 병소는 신장암 2례, 유방암 1례, 원발 병소 불명의 선암 1례였다. 전 척추절제술의 임상적 평가 방법으로 동통과 신경학적 증상을 McAfee의 4 point scale과 VAS(Visual Analogue Scale), 및 Frankel 분류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술 후 3개월마다 반복적인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단순 방사선촬영으로 국소 재발 및 골유합, 합병증을 관찰하였다. 결과: 동통의 평가는 McAfee scale에서 술 전 평균 3에서 술 후 평균 1.6으로 감소하였고, VAS는 술 전 평균 9.2에서 1.6으로 감소하였다. 술 후 신경학적 결손은 Frankel 분류 C에서 D로 호전되었다. 추시기간 중 제 4요추의 전이성 선암 1례에서 국소 재발이 관찰되었다. 결론: 전 척추절제술은 척수 신경을 완전하게 감압시키고 골격통을 신속하게 감소시키며 생존 기간 동안 삶의 질을 높이는 유용한 술식이다.

  • PDF

에듀테크를 활용한 기초의학 분야 플립드 러닝 수업 설계 모형 개발 : RECIPE 모델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Class Design Model in Basic Medicine using Edutech : RECIPE Model)

  • 이문영;이효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55-26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도구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 수업 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기초의학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모형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검토 및 현장 적용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도구를 활용한 플립드러닝 수업 설계 모형으로서 RECIPE (R: Ready, E: Establish a Plan, C: Create and Connect Media, I: Into the Classroom, P: Process-focused Assessment, E: Evaluation)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플립드 러닝을 설계하는 각각의 단계에서 적합한 스마트도구를 적용함으로서 학습효과를 제고시키는 모델이다. 2019년 1학기 해부학 및 신경과학 강의 개발에 본 모델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흥미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기초의학 분야에서의 특화된 모델로서 제안하는 바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RECIPE 모델은 여러 기초의학 관련 수업에 적용 가능하며, 이에 기초한 플립드 러닝 수업 설계를 통해 학생들의 기초의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외상에 노출된 소방관들의 뇌 구조 및 휴식기 뇌기능 변화: 예비 결과 (Structural and Resting-State Brain Alterations in Trauma-Exposed Firefighters: Preliminary Results)

  • 박예원;전선영;노주환;정석종;한상훈;이필휴;김창수;이승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676-687
    • /
    • 2020
  • 목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이하 PTSD)가 없는 외상에 노출된 소방관들에서 뇌 구조의 변화와 휴식기 뇌기능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모든 피험자는 휴식기 기능 뇌자기공명영상(resting-state functional MRI; 이하 rsfMRI) 검사를 시행하였다. PTSD가 없는 40세 이상의 31명의 소방관(31명, 평균 연령, 49.8 ± 4.7세)이 포함되었다. 26명의 외상을 받지 않은 건강한 대조군(26명, 평균 연령, 65.3 ±7.84세)도 포함되었다. Voxel-based morphometry 분석을 시행하여 뇌 해부학상의 국소적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휴식기 뇌기능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seed-based functional connectivity analysis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서울언어학습결과(Seoul Verbal Learning Test)의 평균 z 값을 비교했을때 소방관은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즉각회상(immediate recall), 지연 회상(delayed recall), 통제단어연상검사(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이하 COWAT)의 동물(animal)과 음소(phonemic) 항목에서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신경인지 기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관은 좌위마루이랑(left superior parietal gyrus)과 좌하관자이랑(left inferior temporal gyrus)의 회색질 부피가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 소방관은 방추향이랑(fusiform gyrus)과 소뇌(cerebellum) 등을 포함한 여러 부위에서 rsfMRI 값의 변화를 보였다. 결론 구조적 뇌 및 휴식 상태 기능 이상은 외상에 노출된 소방관의 변화를 확인하는 데 유용한 이미징 바이오 마커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