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에듀테크를 활용한 기초의학 분야 플립드 러닝 수업 설계 모형 개발 : RECIPE 모델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Class Design Model in Basic Medicine using Edutech : RECIPE Model

  • 이문영 (호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이효림 (경북대학교 가정교육과)
  • Lee, Mun-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Honam University) ;
  • Lee, Hyo-Rim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1.09.17
  • 심사 : 2021.12.27
  • 발행 : 2021.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도구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 수업 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기초의학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모형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검토 및 현장 적용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도구를 활용한 플립드러닝 수업 설계 모형으로서 RECIPE (R: Ready, E: Establish a Plan, C: Create and Connect Media, I: Into the Classroom, P: Process-focused Assessment, E: Evaluation)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플립드 러닝을 설계하는 각각의 단계에서 적합한 스마트도구를 적용함으로서 학습효과를 제고시키는 모델이다. 2019년 1학기 해부학 및 신경과학 강의 개발에 본 모델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흥미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기초의학 분야에서의 특화된 모델로서 제안하는 바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RECIPE 모델은 여러 기초의학 관련 수업에 적용 가능하며, 이에 기초한 플립드 러닝 수업 설계를 통해 학생들의 기초의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basic medical education by developing a flipped learning class design model using smart tools and verifying its validity. To this end, in this study, a model proposal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ts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expert review and field application. In this study, as a flipped learning class design model using smart tools, RECIPE(R: Ready, E: Establish a Plan, C: Create and Connect Media, I: Into the Classroom, P: Process-focused Assessment, E: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This model is a model that enhances the learning effect by applying an appropriate smart tool at each stage of designing flipped learning.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model to the development of'Anatomy'and'Neuroscience'lectur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students' interest and satisfaction are high, and it is proposed as a specialized model in the field of basic medicine. Therefore, the RECIP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various basic medicine-related classes, and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basic medicine through the design of the flipped learning class based on this.

키워드

과제정보

이 성과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NRF-2017R1C1B5018044).

참고문헌

  1. 장연훈(2021). 코로나19 치료.방역인력의 직무 요구, 직무자원이 직무소진, 이직의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신영석, 윤강재, 김소운, 이나경, 임재우, 이진형, 김진호(2018).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3. 박정현, 박경한, 이영일(2011). 기초의학 통합 강의 운영을 위한 가상강의(Cyber Lecture)의 개발 및 적용.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5): 2222-2229. https://doi.org/10.5762/KAIS.2011.12.5.2222
  4. 박혜진, 김대현, 박원균, 금동윤, 권선영, 김재범, 김진희, 황일선, 김민서(2016). 임상실습 중 의과대학생의 기초의학 관련 요구도 조사: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과학적 개념과 원리 중심. 의학교육논단, 18(2): 65-82. https://doi.org/10.17496/KMER.2016.18.2.65
  5. 최정빈, 김은경(2015). 공과대학의 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교과운영사례. 공학교육연구, 18(2): 77-88.
  6. 김상홍(2019). 플립러닝기반 SW교육 효과성 분석. 교육논총, 39(2): 1-20.
  7. 홍예식(2015).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인문학연구, 20: 85-110.
  8. 곽한영(2016).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기법을 활용한 법교육 수업모델 연구: 대학 학부 헌법 수업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11(1): 43-71.
  9. 문지윤, 이정민, 조보람, 박현경(2016).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영어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영어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교육종합연구, 14(2): 127-152.
  10. 서정목(2015).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과목의 융복합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스크린영어, SNS영어 및 TED영어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9(3): 193-214.
  11. 허난(2015).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의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9(2): 197-214.
  12. Singh, K., Mahajan, R., Gupta, P., & Singh, T.(2018). Flipped Classroom: A Concept for Engaging Medical Students in Learning. Indian pediatrics, 55(6): 507-512. https://doi.org/10.1007/s13312-018-1342-0
  13. Shiau, S., Kahn, L.G., Platt, J., Li, C., Guzman, J.T., Kornhauser, Z.G., Keyes, K.M., & Martins, S.S.(2018). Evaluation of a Flipped Classroom Approach to Learning Introductory Epidemiology. BMC medical education, 18(1): 63. https://doi.org/10.1186/s12909-018-1150-1
  14. Sohn, S.H., Lee, Y.M., Jung, J.H., Cha, E.S., Chun, B.C.(2019). The Flipped Classroom Model for an Undergraduate Epidemiology Cours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31(2): 103-113. https://doi.org/10.3946/kjme.2019.122
  15. 박수향, 이문영(2017). 기초의학 과목에서 동영상 사전학습을 적용한 플립드 러닝의 만족도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2): 261-269.
  16. 신인선(2019). 4차산업혁명 시대의 요구 역량과 유아 중심의 에듀테크 사례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홍정민(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교육. 책밥.
  18. 이현정(2018). 스마트교육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 노년기 내용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6): 367-391.
  19. 이문영(2020). 기초의학 수업에서 스마트기기와 스테이션 로테이션 모델 적용에 대한 만족도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651-658.
  20. 이문영(2019). 가상현실(VR)을 적용한 기초의학 수업의 만족도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7): 531-537.
  21. 김소영, 김승미(2017). 가상해부테이블(virtual dissection table)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보건기초의학회지, 10(2): 37-43
  22. Richey R.C., & Klein J.D.(2014)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In: Spector J., Merrill M., Elen J., & Bishop M.(eds)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Springer, New York.
  23. 김선희(2014).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포럼연극 수업설계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김성욱(2016). 모바일 탐구학습을 위한 수업 설계 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Rubio, D.M., Berg-Weger, M., Tebb, S.S., Lee, E.S., & Rauch, S.(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https://doi.org/10.1093/swr/27.2.94
  26. 이은현(2021). 측정도구의 심리계량적 속성 1: 내용타당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7(1): 10-13.
  27. Bergmann, J., & Sams, A.(2021). Before You Flip, Consider This. Phi Delta Kappan, 94(2): 25. https://doi.org/10.1177/003172171209400206
  28. 김규훈(2016). 플립드 러닝의 문법교육적 적용 방안-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문법교육, 26(0): 157-186. https://doi.org/10.21850/KGE.2016.26..157
  29. 김은진(2016). 외국어 수업을 위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수업 모형 개발 연구: 대학 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 중심으로. 교양학연구, 0(3): 131-154.
  30. 제미순, 남창우(2017). 플립러닝(Flipped-Learning)을 활용한 간호대학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수.학습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 375-401.
  31. 김향아, 유연수(2020). 디자인 교육을 위한 플립러닝 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디자인교육 적용효과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1(1): 113-125.
  32. 남선우(2021).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실시간 수업 설계 및 개발 연구: 기독교교육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66: 343-382.
  33. 류창주, 이상덕, 한승조(2020). MR 기반 침술 훈련 시스템을 위한 침술 컨트롤러 및 인체 모형 설계. 스마트미디어저널, 9(2): 86-91. https://doi.org/10.30693/SMJ.2020.9.2.86
  34. 류광모, 임정훈(2017).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모델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3(3): 433-463.
  35. 진승헌, 조진만, 김수형(2021). 코로나 이후 시대의 디지털 ID 관리기술 요구사항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지, 2021(6): 24-28.
  36. 이미림, 이효철.(2021).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일부 보건계열전공 학생들의 인식과 교육요구도 조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3): 193-202.
  37. 김성희.(2021). 디지털 빅데이터 교실에서 스마트교육의 실제와 활용 :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습자 중심 교육.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4): 279-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