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 차단술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2초

만성 축성 경부통에 경추 다열근 평면 차단술의 유용성 (Ultrasonography-Guided Multifidus Cervicis Plane Block as a New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Axial Neck Pain)

  • 홍준택;조한얼;박중현
    • Clinical Pain
    • /
    • 제20권1호
    • /
    • pp.30-34
    • /
    • 2021
  • Multifidus cervicis plane block has been effectively used to provide analgesia during and after cervical spine surgery, but not for any other purpose. Here, we report three cases of chronic axial neck pain unresponsive to medical treatment. We performed multifidus cervicis plane block bilaterally, which lowered numerical rating scale (NRS) score within 2 weeks. Thus, multifidus cervicis plane block is one of the novel options that may be used for chronic axial neck pain.

안면 다한증에서 T2 Sympathetic Clipping과 T2 Ramicotomy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T2 Selective Division of Rami-communicantes (Ramicotomy) to T2 Sympathectic Clipping in Treatment of Craniofacial Hyperhidrosis)

  • 김도형;백효채;강두영;전세은;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67-271
    • /
    • 2004
  • 안면다한증의 치료를 위해 교감신경 절제 혹은 클립 차단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을 충분히 줄이지는 못하였다. 보상성 다한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감신경 줄기를 보존하는 술식이 필요하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에서는 2000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안면 다한증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T2 symphatectic clipping 22예(group 1)와 T2 ramicotomy 14예(group 2)를 대상으로 수술의 만족도, 얼굴의 건조도, 보상성 다한증 발생 유무, 보상성 다한증 정도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얼굴의 건조 정도는 group 1에서 dry가 5예(22.7%), humid가 17예(77.3%), persist는 없었으며 group 2에서 dry가 2예(14.3%), humid가 11예(78.5%), persist 1예(7.2%) 있었다.(p=0.389). 수술 후 만족은 group 1이 17예(77.3%), group가 9예(64.2%)로 group 1이 group 2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96).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률은 group 1이 각각 21예(95.4%)로 group 2의 10예(71.4%)에 비해 보상성 다한증 발생률이 높았다(p=0.042). 보상성 다한증의 정도는 group 1에서 grade 1은 1예(4.5%), grade 2는 4예(18.2%), grade 3은 8예(36.4%), grade 4는 9예(40.1%)로 group 2에서 grade 1은 3예(21.4%), grade 2는 5예(35.7%), grade 3은 5예(35.7%), grade 4는 1예(7.2%)로 group 2에서 grade 3, 4의 보상성 다한증에 의해 생활의 불편함이 있는 환자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p=0.036). 제 2 흉부교감신경 클립 차단과 제 2 흉부교감신경 교통지 절제 후의 보상성 다한증 발생을 비교한 결과 교통가지 절제술에서 보상성 다한증 발생의 유의한 감소를 보여 보상성 다한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교통가지 절제술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전침이 흰쥐에서 먹이섭취와 시상하부의 콜레시스토키닌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Food Intake and mRNA Expressions of the Hypothalamic Cholecystokinin in Rats)

  • 우현수;김용석;김창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01-112
    • /
    • 2007
  • 목적 : CCK는 현재까지 가장 많이 연구된 식후의 포만신호 전달물질로, 음식섭취를 감소하고, 캡사이신 반응성의 미주신경에 의해 위장운동과 위내의 공복감을 억제시킨다 전침의 진통효과 발현기전에 영향을 미치는 항아편양 단백물질로서, 내인성 CCK와 그 수용체(CCK-A와 CCK-B)의 역할은 기존의 연구에서 이미 보고되어 왔다.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포만감의 측면에서 전침자극이 내인성 CCK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48시간 절식 쥐 모델을 이용하여, 전침자극 후 30분과 60분 동안, 먹이 섭취량 변화를 측정하고, 먹이섭취량에 영향을 주는 신경전달경로에서 CCK가 관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미주신경절제술을 시행한 쥐와 비교하였다. 한편 48시간 절식 쥐 모델을 대상으로하여 침자극 후 시상하부의 CCK mRNA 발현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전침군에서 30분과 60분 뒤의 먹이 섭취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게 관찰되었는데, 포만감에 관련된 침의 이와 같은 효과는 CCK 수용체에 길항작용이 있는 lorglumide와 미주신경절제술에 의해 차단됨을 알 수 있었다. 시상하부의 CCK mRNA의 발현되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침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확인 할 수 없었다. 결론 : 위의 결과에서, 전침은 포만감에 영향을 미치는 내인성 CCK 메카니즘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알수 있었다.

  • PDF

원발성 다한증 환자에서 흉부 교감 신경 차단술 후의 심박동수 및 심전도 변화 (The Heart Rate and ECG Changes after Endoscopic Thoracic Sympathectomy in Patients with Primary Hyperhidrosis)

  • 김재준;김영두;박찬범;문석환;조덕곤;사영조;서종희;김치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14-219
    • /
    • 2009
  • 배경: 일차성 다한증은 교감신경의 과도한 활성을 특징으로 하고 흉강경을 통한 흉부 교감신경차단 술은 효과적, 안정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수술로 인한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불균형은 심장, 폐, 그 외 다른 여러 흉부장기에 영향을 준다. 저자들은 수술 후 나타나는 심박수와 심전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우리는 1996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수술 받은 263 명의 환자 중에 130명의 환자를 분석하였고 주된 수술부위에 따라 1, 2, 3군(1군: T2, 2군: T3, 3군: T4)으로 나누었고 수술 전과 후의 심전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후 사망과 큰 합병증이 있는 환자는 없었고 심박수는 $71.6{\pm}10.6$회/분에서 $66.8{\pm}10.2$회/분으로 수술 후 감소하였고 PR 간격은 $148.6{\pm}21.2$ msec에서 $152.8{\pm}20.5$ msec으로 QTc 간격은 $399.2{\pm}15.4$ msec에서 $404.0{\pm}15.1$ msec으로 증가하였다. 흉부교감신경 차단부위에 따라 제1군에서는 심박동수와 QTc 간격이, 제2군에서는 심박동수와 PR간격이, 그리고 제 3군에서는 단지 QTc 간격이 수술전후에 의미 있게 변화하였다. 결론: 수술후 심박수와 심전도에 변화가 있었고 T2, T3, T4의 차단에 의하여 안정시 심장의 전기적 활성에 영향이 있었다.

척추 신경 차단술 환자 특성이 주사시술의 공포감과 방사선의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ear of Injection Procedures and Radiation Risk Recognition on Patients Characteristics Undergo Spinal Nerve Block)

  • 차진영;성열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2호
    • /
    • pp.171-17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spinal nerve block on the fear of injection and the risk of radiation. Subjects were 137 patients (67 males, 70 female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in Cheongju. The method was conducted as a research study using a total of 28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patient characteristics,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nerve block surgery, nerve block fear scale, and radiation risk perception scale.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was secured with a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0.6 or higher. For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was tes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earson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by measurement scale and factor. As a result, the fear scale of nerve bloc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p<0.05). The fear scale of nerve block inj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irst-visit patients than in the second-visited patient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variables in radiation risk perception. In conclusion, patients undergoing spinal nerve block were more aware of the fear of injection than the risk of radiation exposure during the procedure.

안면부 다한증 환자의 제2흉부 교감신경절단술 (T2 Sympathicotomy for Facial Hyperhidrosis)

  • 성숙환;김태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65-470
    • /
    • 1999
  • 배경: 안면부 다한증 환자들은 수장부, 액와부 다한증 환자들 못지 않게 대인관계에 매우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적절한 치료가 없었으나 최근 교감신경차단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안면부 다한증에 대해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 교감신경절제술은 하부 성상교감신경절을 절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호너증후군과 같은 합병증의 우려 때문에 잘 시행되고 있지 않았다. 본 병원에서는 최근 6년간 수장부, 액와부 다한증 치료 경험에서 안면부 다한증도 제2흉부 교감신경절 절단만으로 충분할 것으로 판단되어 시술을 하였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97년 6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연속적으로 38명의 안면부 다한증 환자들에서 2 mm 기구를 이용하여 양측성 제2흉부 교감신경절단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직후 전례에서 안면부 발한이 소실되었다. 합병증으로 수술후 다섯명(13.2%)에서 흉관 삽입이 필요 하였는데, 3명은 불완전한 폐의 재팽창 때문에, 나머지 2명은 심한 폐유착을 박리한후 생긴 혈흉 때문이었다. 예측되는 합병증인 호너증후군, 상완신경총 손상 등은 없었다. 모든 환자가 수술후 평균 1.7$\pm$0.9일에 퇴원하였다. 결론: 안면부 다한증에서 적절한 교감신경 절단 부위는 제2흉부 교감신경절이며, 하부 성상교감신경절을 절단하지 않음으로서 호너 증후군등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미세한 2 mm 흉강경 기구를 이용한 수술이 가능하며 결과도 매우 좋다.

  • PDF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 후 다중 통증 조절법을 이용한 초기 통증 조절의 유용성 (Effectiveness of Multimodal Pain Control in Early Phase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 박창민;김종해;김석준;최창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2
  • 목적: 사각근간 상완 신경총 차단 하 회전근 개 복원술 후 다중 통증 조절법을 통한 초기통증 조절의 유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관절경 하 회전근 개 복원술을 시행한 8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술 전 마취로 사각근간 상완 신경총 차단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견봉하 공간에 Bupivacaine 유치 도관을 통한 일회성 통증 조절만 시행한 A군 (Group A : Local analgesia group)과 유치 도관 주사에 추가하여 경구 약물로 아편양 제재, 아세트아미노펜-트라마돌 복합제, 선택적 COX2 억제제를 사용하는 다중 통증 조절법을 시행한 B군 (Group B : Multimodal control group)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수술 당일 야간, 술 후 1, 2, 3일 및 술 후 2주의 주간과 야간의 통증 점수 (visual analogue scale, VAS), 입원 중 추가 투여한 ketolorac 주사의 횟수와 약물과 관련된 부작용에 대해 비교, 분석을 하였다. 결과: 수술 당일 야간, 술 후 1, 2, 3일, 술 후 2주의 주간 및 야간의 평균 VAS는 A군에서 각각 7.4점, 7점/6.8점 (주/야), 4.5점/5.2점, 4.8점/5.0점, 2.2점/2.7점 이었으며 B군에서 각각 6.5점, 4.3점/5.4점, 3.2점/4.3점, 3.0점/4.1점, 2.4점/2.5점으로 수술 당일 야간과 수술 후 1,2,3일의 주간통 및 술 후1일의 야간통에서 각각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0.05). A군과 B군의 하루 당 평균 ketolorac 투여 횟수는 각각1.1회, 0.5회였고 부작용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관절경적 회전근 개 복원술 후 다중 통증 조절법을 통한 초기 통증 조절은 효과적인 진통조절을 보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다한증 환자에서의 Clipping에 의한 T2 Sympathetic Chain Block의 효과 (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 Block for Essential Hyperhidrosis)

  • 이두연;윤용한;백효채;신화균;이성수;강정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45-748
    • /
    • 1999
  • 배경: 원발성 다한증 환자에서 높은 만족도와 수술성공률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6개월이 지나면 과도한 보 상성 다한증의 결과로 만족도가 66%까지 떨어지게 된다. 보상성 다한증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시도 되었으 나 실제적으로 이와 같은 문제에서의 완전한 치료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훙부외과에서는 1998년 7월부터 1998년 11월까지 42례의 다한증 환자에서 42례 의 협자에 의한 흉부교감 신경절 차단술(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을 시행하였으며 2명을 제외한 40명 의 환자에서 추적 가능하였으며 평균 수술시간은 40분이었으며 평균입원기간은 1일이었다. 결과: 수술 후 보상성 다한증은 31례(77.5%)에서 나타났으며 생활에 불편한 정도의 보상성 다한증은 9례(22.5%)였다. 수술 의 만족도는 95.0%에서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2례(5.0%)에서 만족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결론: 협자을 의한 T2 흉부교감 신경차단술(Clipping of T2 sympathetic chain)은 다한증의 치료를 위한 한 방법으로 생각되어지며 특히 여름철에 수술하는 경우와 안면부 다한증의 경우에 가역적인 수술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성상신경절 차단후 발생한 반대측 호너 증후군 (Contralateral Horner's Syndrome after Stellate Ganglion Block -A case report-)

  • 송선옥;이덕희;박대팔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8권1호
    • /
    • pp.164-167
    • /
    • 1995
  • 대상포진후 신경통으로 체성신경 차단과 함께 성상신경절 차단을 반복적으로 받아오던 64세 여자환자에서 열세번째 우측 성상신경절 차단후 반대측인 좌측에 호너씨 증후군이 발생되었다. 그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시술 도중 환자머리의 좌측회전으로 인한 해부학적 위치변화와 술자의 부정확한 지표선정 및 주사바늘의 안쪽방향등으로 약제가 중앙선을 넘어 주입된 것으로 추정할수 있다.

  • PDF

에르고타민으로 인한 혈관경축 (Ergotamine-induced Vasospasm)

  • 임창영;이헌재;이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45-248
    • /
    • 2005
  • 에르고타민이 포함된 약물은 편두통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경련성의 혈관수축은 가장 심각한 약물 부작용 중의 하나로 이는 허용된 약물 투여량의 복용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저자는 15년간 편두통으로 인해 꾸준히 에르고타민이 포함된 약물을 복용한 과거력이 있는 63세 남자환자에 나타난 혈관경축에 의한 상지의 심한 허혈상태를 인조혈관 우회로 이식술, 교감신경 차단술, 그리고 헤파린과 프로스타글란딘 El으로 치료하였으나 결국 에르고타민이 포함된 약물을 중단하고서야 극적인 임상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