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생리

Search Result 1,23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hysiological Fuzzy Neural Networks for Image Recognition (영상 인식을 위한 생리학적 퍼지 신경망)

  • Kim, Gwang-Baek;Mun, Yong-Eun;Park, Ch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69-185
    • /
    • 2005
  • 신경계의 뉴런 구조는 흥분 뉴런과 억제 뉴런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흥분 뉴런과 억제 뉴런은 주동근 뉴런(agonistic neuron)에 의해 활성화되며 길항근 뉴런(antagonist neuron)에 의해 비활성화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 신경계의 생리학적 뉴런 구조를 분석하여 퍼지 논리를 이용한 생리학적 퍼지 신경망을 제안한다. 제안된 구조는 주동근 뉴런에 의해 흥분 뉴런이 될 수 있는 뉴런들을 선택하여 흥분시켜 출력층으로 전달하고 나머지 뉴런들을 억제시켜 출력층에 전달시키지 않는다. 신경계를 기반으로 한 제안된 생리학적 퍼지 신경망의 학습구조는 입력층, 학습 데이터의 특징을 분류하는 중간층, 그리고 출력층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퍼지 신경망의 학습 및 인식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정확성이 요구되는 의학의 한 분야인 기관지 편평암 영상인식과 영상 인식의 주요 응용 분야인 차량 번호판 인식에 적용하여 기존의 신경망과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된 생리학적 퍼지 신경망이 기존의 신경망보다 학습 시간과 수렴성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식에 있어서도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Neurophysiological Evidence for Sensory Processing Disorder (감각처리 장애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증거들)

  • Kim, Eun-Young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 no.1
    • /
    • pp.5-16
    • /
    • 2012
  • Sensory integration started as a theory to provide a occupational therapist with a useful frame for explaining and intervening the problems which children have. Most researches on sensory processing disorder (SPD) have been found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e sensory integration theory by measuring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SPD. Recently,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diagnosis of SPD have begun to use neurophysiological methods to establish objective evidence for sensory integration. These studies reported the neurophysiological indexes reflecting the maladaptive behaviors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SP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using electrodermal activity, vagal tone, EEG. Future neurophysiological studies on SPD will be expected to prove the efficacy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Electrophysiological Features of Diabetic Polyneuropathy: Motor Nerve Conduction Studies (당뇨병성다발신경병증의 전기생리학적 특징: 운동신경전도검사)

  • Kang, Ji-Hyuk;Lee, Yun-Seob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0
    • /
    • pp.237-245
    • /
    • 2010
  • Nerve conduction studies (NCS) are the most objective measure of nerve function and essential for the diagnosis of sub-clinical neuropathy in diabetes mellitus and diabetic polyneuropathy (DPN). This study evaluates the characteristic of electrophysiological abnormalities in DPN. Electrodiagnostic data from 120 patients with diabetic polyneuropathies and 77 control subjects were reviewed.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ies (MNCV), distal motor latencies (DML),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CMAP) amplitudes, No potential frequency and conduction block were analyzed. Data were normalized based on normative reference values, and the proportion of nerves with abnormal values in the lower and upper limbs were evaluated. DPN was systemic demyelinating peripheral polyneuropathy and more severe abnormal nerve conduction was found in lower limbs than in upper limbs. The abnormal degree was more severe in peroneal nerve. It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conduction block in control and DPN group. Our findings suggest that DPN had more common and severe peroneal nerve involvement in the motor nerve conduction studies (MNCS).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lectrophysiological evaluation of DPN.

The Neurophysiological Approaches in Animal Experiments (신경생리학적(神經生理學的) 동물실험(動物實驗))

  • Cheon, Jin-Sook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5 no.1
    • /
    • pp.3-16
    • /
    • 1998
  • The neurophysiological study has been widely used in 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rain and behavior. The basic techniques for the animal experiments of this kind such as stereotaxic techniques, lesioning methods, the methods of electrical stimulation and recording, and confirmation of histological location were briefly reviewed.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complementary neurochemical, neuroanatomical and behavioral studies can not be neglected.

  • PDF

세포배양과 전기생리학적 방법을 통한 도파민 수용체의 연구

  • 김경만;임동구;오기완;최수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31-231
    • /
    • 1994
  • 이 연구는 인삼 성분 약물이 도파민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첫 단계로써 그 기본적인 assay system을 정착 시키기 위함이 목적이었다. 우리는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생후 2-4 일의 쥐를 사용하여 흑질, 선조체, 해마구, nucleus accumbens등의 뇌 부위에서 신경세포 배양을 시도하였다. 흑질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들의 경우엔 면역 세포학적방법을 써서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신경이 도파민성 신경이나 GABA성 신경들 이었다. 또한 이들 세포들의 전기 생리학적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흑질에서 신호 전달체계가 잘 확립된 GABA 수용체의 작용을 살펴 본 결과 이 신경세포들은 GABA-A 및 GABA-B 수용체의 발현은 물론 이온 채널에 미치는 신호 전달체계를 완전히 갖추고 있었다. 도파민 수용체의 작용을 전기 생리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배양한 신경세포에 도파민agonist를 가해서 이온 채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았다. 선조체에서 배양한 신경세포들은 Dl 과 D2 agonist에 대해서 상반되는 반응을 나타냈다. 즉 Dl agonist는 선조체 신경세포를 활성화 시켰으나 D2 agonist는 선조체 신경세포들을 억제 하였다. 한편 해마구의 CAI 과 CA3 부위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에 대한 도파민 agonists의 작용은 선조체의 신경세포에 대한도파민 agonists의 작용과는 상반되는 반응 이었다. Dl agonist는 해마구로 부터 배양한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 하였으나 D2 agonist는 이들 신경세포들의 활성을 증가 시켰다. Nucleus accumbens 에서 배양한 신경세포들은 도파민에 의해서 그 활성이 억제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봐서 같은 도파민 수용체라도 분포되어 있는 조직에 따라서 신호전달 에 관여 하고 있는 C-단백이나 이차 전령물질이 달라서 신경세포에 대한 작용이 다르든지. 약리학적으로는 구분되지 않으나 뇌의 조직에 따라서 분포가 다른 도파민 수용체의 아그룹이 존재 한다고 생각된다.

  • PDF

Physiological Fuzzy Neural Networks for Image Recognition (영상 인식을 위한 생리학적 퍼지 신경망)

  • Kim, Kwang-Baek;Moon, Yong-Eun;Park, Choong-Shik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1 no.2
    • /
    • pp.81-103
    • /
    • 2005
  • The Neuron structure in a nervous system consists of inhibitory neurons and excitory neurons. Both neurons are activated by agonistic neurons and inactivated by antagonist neuron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physiological fuzzy neural network by analyzing the physiological neuron structure in the nervous system. The proposed structure selectively activates the neurons which go through a state of excitement caused by agonistic neurons and also transmit the signal of these neurons to the output layers. The proposed physiological fuzzy neural networks based on the nervous system consists of a input player, and the hidden layer which classifies features of learning data, and output layer. The proposed fuzzy neural network is applied to recognize bronchial squamous cell carcinoma images and car plate image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s shows that the learning time, the convergence, and the recognition rate of the proposed physiological fuzzy neural networks outperform the conventional neural networks.

  • PDF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INTRAEPITHELIAL NERVES OF ORAL MUCOSA OF RATS DURING AGING (증령에 따른 백서구강점막 상피내신경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 CHOI DAI HO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14 no.1
    • /
    • pp.7-16
    • /
    • 1984
  • 구강점막 각 부위의 지각신경의 특징은 근년 생리학적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 되어왔다. 일반적으로 생리학적 기능은 연령과 더불어 감소된다는 소견이 구강점막에서도 적용된다고 하나 이에대한 형태학적 지견을 중심으로 볼 때 그러한 감소가 순전한 기능저하의 결과인지 혹은 지각신경의 해부학적 형태변화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본 논문은 Spraque-Dawely와 Fischer 344 두종의 숫자 20마리를 이용하여 각종을 6개월과 30개월의 연령으로 2군으로 나누어서 연령에 따른 구강점막내 신경섬유와 신경종말의 전자현미경적 특성의 변환을 관찰하고, 단위면적당 분포하고 있는 신경요소의 변화를 정량해 보았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점막에 분포하는 신경섬유와 신경종말의 전자현미경적 형태에 있어서는 젊은백서와 늙은백서 사이에 인정할 만한 질적 차이가 없었다. 2. 연령증가에 따라 구강점막의 상피내 간격에 존재하는 신경요소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3. 이와 같은 감소는 신경섬유보다 신경종말의 경우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 PDF

Recognition of Emotion Based on Simple Color Using Phrsiological Fuzzy Neural Networks (생리학적 퍼지 신경망을 이용한 단일 색상 기반 감성 인식)

  • 주이환;김배성;강동훈;성창민;김광백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536-540
    • /
    • 2003
  • 최근에 개인의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대한 복합적인 감성을 측성 및 분석하여 공학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인간이 보다 편리하고 안락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색채 심리를 바탕으로 한 감성을 인식할 수 있는 생리학적 퍼지 신경망은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생리학적 퍼지 뉴런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입력층, 퍼지 귀속 시넵스(Fuzzy Membership Synapse) 및 출력층으로 구성되며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으로 동작된다. 제안된 생리학적 퍼지 신경망을 단일 색상 정보에 따른 감성 인식에 적용한 결과, 단일 색상 정보에 따른 감성 인식에 있어서 효율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