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경내분비암종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3초

자궁경부 소세포암종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in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정은지;이용희;김귀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69-377
    • /
    • 1997
  • 목적 : 자궁경부 소세포암종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조직병리학적인 재검사를 시행하여 조직병리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환자 및 종양의 특징, 방사선치료 후의 치료 성적등을 조직병리학적 유형에 따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81년 10월부터 1995년 4월까지 연세의대 연세암센터 치료방사선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총 2890명 중 조직학적 유형이 소세포암종이었던 환자는 60명으로 $2.08\%$였다. 타병원예서 조직검사 및 병기 결정 후 방사선치료 만을 위해 전과되었던 36예에서는 자궁경부 생검 조직을 확보할 수 없었고, 이들을 제외한 24명에서 조직에 대한 병리학적 재검사가 가능하여 H&E 염색 및 신경내분비 표지인 neuron-specific enolase(NSE), chromogranin, synaptophysin, Grimelius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이들 24예의 환자 및 종양좌 특성,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치료 실패 양상, 5년 생존율 및 5년 무병 생존율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H&E 염색 및 4가지 neuroendocrine marker 검사 후 13예는 신경내분비암종으로 진단되었고 11예는 소세포 유형의 편평상피암종으로 진단되어 병리학적으로 크게 2가지 군으로 분류하였다. 신경내분비암종으로 분류된 13예 중 5예는 중등도 이상으로 분화가 좋은 편아었으나 8예는 분화가 나쁘거나 미분화되었다. 전체 24예 대상 환자들의 연령은 23-79세로 중앙 연령치 54세였으며 FIGO 병기 분포는 Ib 8예$(33.3\%)$, IIa 1예$(4.2\%)$, IIb 11예$(45.8\%)$, IIIa 2예$(8.3\%)$, IIIb 1예$(4.2\%)$, IV 1예$(4.2\%)$로 병기 I-II가 20예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골반 림프절에 전이가 있었던 환자가 5예(20.8%) 있었는데 이 중 3예는 수술후 조직학적으로 확인되었고(2예는 근치적 수술, 1예는 골반 림프절 생검) 다른 2예는 전산화 단층 촬영상 골반 림프절이 커져 있어 전이로 판단되었다. 이들 2가지 병리학적 분류군에 따라 환자 및 종양의 특성을 비교해 보았는데 특별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치료 실패 양상, 5년 생존율 및 5년 무병 생존율 등의 치료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치료 실패 양상에 있어서 소세포형의 편평상피암종에서는 원격 전이가 2예$(18.2\%)$인데 반해 신경내분비암종에서는 6예$(46.2\%)$로 신경내분비암종(neuroendocrine carcinoma)에서 원격 전이율이 높았으나 환자 수가 적어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결론: 병리조직학적 재검사가 가능하였던 24예의 자궁경부 소세포암종 환자 중 13예가 신경 내분비암종으로 진단되었으며 나머지 11예는 소세포형의 편평상피암종으로 분류되었는데 환자 및 종양의 특징, 방사선치료 성적을 비교해 볼 때 신경내분비암종에서 원격 전이가 호발하였으나 $(46.2\%\;vs.\;18,2\%)$,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이런 결과로 자궁경부에서 발생한 소세포암종 중 신경내분비암종의 경우는 원격 전이가 맡으므로 방사선치료, 수술 등의 국소 치료와 더불어 적절한 항암화학요법을 추가하여 치료 결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PDF

유방에서 발생한 원발성 신경내분비암종: 증례 보고와 문헌고찰 (Primary 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Breast: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김정아;김지영;정명자;김성희;김수현;강미진;이지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460-466
    • /
    • 2023
  • 일반적으로 신경내분비암은 소화기나 호흡기에서 발생하고 그 외 장기에서 발견되는 경우는 전이에 의한 경우가 많다. 유방에서 원발성 신경내분비암종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여 정확한 임상양상, 영상의학적 소견, 치료와 예후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지금까지 발표된 문헌 보고는 소수에 불과하다. 본 증례에서는 51세 여자의 유방에서 보인 원발성 신경내분비 암종에 대한 영상 소견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치와와견에서 발생한 비강 신경내분비암종의 침윤에 의한 이차적인 뇌종양 증례; 자기공명영상과 조직학적 특성 (Secondary Brain Tumor Caused by Infiltration of Nasal Neuroendocrine Carcinoma in a Chihuahua Dog: Clinic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 정동인;강병택;김주원;김하정;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6-189
    • /
    • 2010
  • 14년 령의 암컷 치와와견이 발작증세 및 좌측으로의 선회운동 증상을 보여 내원하였다. 신경검사결과 좌측 대뇌 병변이 의심되어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실시하여 좌측 비강에서 좌측 대뇌로 파급된 병변을 확인하였다. 영상 분석 상에서 비강 내에서 유래된 2차적인 뇌종양이 강력하게 의심되었다. 환자의 증상은 프레드니솔론과 로무스틴의 혼합치료 후 상당히 개선되었고 진단 후 2개월간 생존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비강에서 유래한 신경내분비암종으로 확진되었다. 본 증례보고는 개에서 발생한 비강유래 신경내분비암종의 침윤에 의한 2차적인 뇌종양의 임상적인 특징, 영상 진단 결과, 그리고 조직학적인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하인두에 발생한 신경내분비성 소세포암종 1예 (A Case of Neuroendocrine Small Cell Carcinoma Arising from the Hypopharynx)

  • 고윤우;이종대;변장열;이재용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8-201
    • /
    • 2004
  • Neuroendocrine carcinomas are rare neoplasms of the hypopharynx. Neuroendocrine neoplasms are divided into four main types : carcinoid, atypical carcinoid, small cell carcinoma and paraganglioma. The diagnosis is primarily based on light microscopy and should be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cal investigation. Small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hypopharynx is extremely uncommon tumor and surgical results for this tumor have been disappointing.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currently appear the most effective forms of therapy. We report our case of small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hypopharynx with the brief review of literatures.

후두에 발생한 원발성 소세포암종 1예 (Primary Small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 A Case Report)

  • 최주열;박성호;김남영;김경헌;최익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2-26
    • /
    • 2015
  • Small cell carcinoma of larynx has been reported as a rare disease occurring in 0.5% of larynx cancer. This tumor is known as one of the most lethal of all malignancies and associated with early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leading into death. We experienced a case of a 70-year old male patient, who had admitted for sore throat and dysphagia and diagnosed as small cell carcinoma of larynx. We present small cell carcinoma of larynx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PDF

부비동 및 비강에 발생한 신경내분비암종의 영상소견: 자기공명영상을 중심으로 2예 보고 (MR Imaging Findings of Sinonasal Neuroendocrine Carcinoma: Two Case Reports)

  • 김정은;김루시아;임명관;박선원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1권2호
    • /
    • pp.127-132
    • /
    • 2007
  •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하는 신경내분비암종(neuroendocrine carcinoma)은 매우 드물고, 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대한 보고가 거의 없다. 이에 본 저자들은 비출혈을 주소로 내원한 62세 남자와 74세 남자에서 발생한 신경내분비암종의 2 증례에 대하여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의 소견을 중심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2예 모두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비강과 부비동내에 비교적 크고 경계가 불분명한 종괴가 있었으며, 인접한 골 파괴를 동반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종괴는 T1강조영상에서 등신호 강도를 보였고, T2강조영상에서는 등신호와 고신호가 섞여있는 양상을 보였으며, 조영 증강시 불균질한 조영 증강을 보였고 내부에는 괴사가 포함되어 있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도 종괴에 인접한 골 파괴가 관찰되었다. 2예에서 모두 인접한 접형동내에 T1강조영상에서 고신호 강도를 보이는 점액낭 혹은 종양주변 낭성 부위가 관찰되었다. 2예 모두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에서 일반적인 비강과 부비동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의 비특이적인 소견을 보였으나 종양 주변 낭성 부위의 의미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선암종의 요소를 갖느느 혼압대세포신경내분비암종-1예 보고- (Combined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with Component of Adenocarcinoma-A case report-)

  • 박종운;이재웅;조태준;김건일;이원용;홍기우;엄광석;전선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8호
    • /
    • pp.579-582
    • /
    • 2005
  • 혼합대세포신경내분비암종은 매우 드문 폐암으로, 조직학적으로 대세포신경내분비암종의 종양세포외에 선암종, 편평세포암종, 거대세포암종 혹은 방추상암종의 구성세포를 포함한다. 저자는 간헐적 흉부 동통을 호소하는 44세 남자환자가 우측 중폐야의폐종양으로 내원하여서 시행한 우측 폐전적 출술과 종격동 림프절 곽청술 후 병리에서 선암종의 요소를 갖는 혼합대세포신경내분비암종이 진단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이다.

데스모이드 섬유종증과 점액성 낭성 종양으로 이루어진 췌장의 충돌 종양: 증례 보고 (Pancreatic Collision Tumor of Desmoid-Type Fibromatosis and Mucinous Cystic Neoplasm: A Case Report)

  • 류민중;김재운;이승은;최준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297-1303
    • /
    • 2021
  • 췌장의 충돌 종양은 매우 드문 종양으로서 췌장선암종과 신경내분비 종양, 췌관내유두상 점액 종양과 신경내분비 종양, 그리고 췌장 고형성 가유두상 종양으로 이루어진 증례들이 보고된 바 있다. 우리는 30세 임신한 여성에서 빠르게 자란, 데스모이드 섬유종증과 점액성 낭성종양으로 이루어진 췌장의 충돌 종양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저자들이 아는 한, 섬유종증과 점액성 낭성 종양으로 이루어진 췌장의 충돌 종양을 최초로 보고하는 증례이다.

흉선 낭종을 동반한 비정형 흉선유암종 - 1례 보고 - (Atypical Thymic Carcinoid Tumor with Thymic Cyst - 1 case report -)

  • 정재일;김재욱;김승우;구본일;강윤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634-637
    • /
    • 2002
  • 흉선 유암종 또는 흉선의 신경내분비 종양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재발이나 전이가 많아 예후가 좋지 못하다. 43세 남자 환자로 우측 흉부의 통증과 불편감으로 내원하였다. 단순 흉부 촬영상 우측 전종격동에 $7{\times}8$cm 크기의 종양을 발견하였으며 추가검사 후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다. 절제된 종괴는 조직학적, 면역조직화학적, 전자현미경적 소견상 흉선 낭종을 동반한 흉선의 비정형 유암종으로 진단 되었다. 수술 후 재발이나 전이 소견 없이 3개월째 외래 관찰중이다. 저자들은 흉선 낭종을 동반한 비정형 흉선유암종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