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경계

Search Result 1,49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nxiety and ANS Responses in Children Induced by Fearful Stimulus (공포자극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반응과 불안수준과의 관계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Jang, Eun-Hye;Lee, Young-Chang;Im, Soo-Bin;Kim, Sook-Hee;Sohn, Jin-H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3
    • /
    • pp.463-470
    • /
    • 2007
  •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patients who suffer from anxiety disorders. However, there is been not enough attention on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between the two populations with and without anxiety disorde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ANS responses induced by fear in children.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as follow: All subjects were in upper grade levels in elementary school. ANX(anxiety) scales of PIC(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were used to measure fear anxiety. Audio-visual clips were used as stimulus to provoke fear emotion. Baseline of physiological signals, ECG, PPG, EDA, and SKT, were measured for 30 seconds before the fear stimulus. Physiological signals were then recorded for 2 minutes while fear is evoked.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analyzed. All the children reacted to the fear stimulus with high intensity of fear. Physiological responses showed that SKT, SCR, NSCR, HR, RSA, RESP, HF were increased, while R-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of fear induction. Analysis of the level of anxiety and the physiological responses produced by the experience of fear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KT, HR, and RSA.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anxiety, the higher the levels of SKT, HR, and RSA when children experienced fear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rough this research that physiological responses to fear i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anxiety each individual.

  • PDF

ANS responses in Negative Emotions Induced by Audio-visual Film Clips (시청각 동영상에 의해 유발된 부정적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 Lee, Young-Chang;Jang, Eun-Hye;Chung, Soon-Cheol;Sohn, Jin-H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3
    • /
    • pp.471-480
    • /
    • 2007
  • Negative emotions play an important function as to human's existence. In this research, we employed the audio-visual film clips to induce negative emotions and examined the classified responses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ANS) due to each negative emotion.30 adults(22.6 years $old{\pm}1.24$, 15 males and 15 females) took part in this experiment. Through the preliminary experiment, 2 minutes film's stimuli were selected as the emotion-induced stimuli. During the period when participants were viewing and listening to the selected movie, EDA and ECG were examined as soon as one stimulus was displayed, participants were tested by completing the psychological appraisals of their experienced emotion due to each emotional stimulus.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sychological responses, each negative emotion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induced its target emotion. While concerning the result of analyzing ANS responses, each negative emotion induced its respective activation in ANS. What is more, compared with other types of negative emotional stimuli, the scaring stimulus induced higher activ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r system(SNS) as to the indexes in EDh and ECG. This research made segmentation of ANS responses to each negative emotion, which has its significance.

  • PDF

The Influence of Rosemary Oil Inhalation on Memory, Attention and Autonomic Nerve System on the Elderly by Different Concentration (농도별 로즈마리 오일 흡입이 노인의 기억력, 집중력 및 자율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영향)

  • Yang, In Suk;Park, Myung Soo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3
    • /
    • pp.56-67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osemary oil inhalation on memory, attention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in the aged. The resea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were 89 individuals aged 65 or older who live in the community. Participants inhaled almond carrier oil(control group), 10%(experimental group A) and 100%(experimental group B) rosemary oil. Memory, attention,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24.0. The differences of the group and time were analyzed through repeated measure ANOV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mediate recall (F=.42, p =.656), delayed recall (F=.45, p=.639), recognition (F=1.45, p=.242), digit span-forward (F=1.53, p=.223), digit span-backward (F=.46, p=.636), activities of sympathetic nerve system (LF)(F=.19, p=.828), activities of parasympathetic nerve system (HF)(F=.37, p=.694), LH/HF(F=1.39, p=.256), systolic blood pressure (F=.37, p=.694), diastolic blood pressure (F=1.25, p=.291). The inhalation of 10% and 100% rosemary oil for five minute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n memory, attention and automatic nervous system in the aged.

Emotion-Specific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and Patterns in Children (아동의 정서 특정적 자율신경계 반응 분석)

  • 손진훈;이정미;이경화;석지아;방석원;김경환;이미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96-103
    • /
    • 2001
  • 그동안 정서의 실험적 유도의 어려움과 많은 제약으로 인해 성인 위주로만 이루어져 오던 정서연구가 최근 수 년 간의 정서연구에 대한 방법론의 발달로 아동에게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다섯 가지 정서 (기쁨, 분노, 슬픔, 스트레스, 놀람)에 의해 유발되는 아동의 자율신경계 패턴을 확인하고자 한다. 놀람 정서를 추가한 "아동용 정서유발 프로토콜 (양경혜 등, 2000)"을 사용하여 아동에게 정서를 유발시키고, 정서가 유발되는 도안의 자율신경계 반응(KST, ECG, EDA, PPG)을 측정하였다. 초등학교 1, 2 학년인 34명(남: 18, 여:16)의 아동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결과 다섯 가지 정서가 아동들에게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유발되었으며, 정서에 따른 생리반응 변화가 관찰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12개 생리반응 변수 중 8개 변수에서 정서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정서에 따라 다른 자율신경계 반응 패턴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 본 연구실의 선행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아동용 정서유발 프로토콜이 표준화된 아동정서 유발자극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생리반응 주형(template)을 이용하여 아동정서를 구분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PDF

Autonomous Bipedal Locomotion with Evolutionary Algorithm (진화적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율적 2족 보행생성)

  • Ok, Soo-Yo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4 no.5
    • /
    • pp.610-616
    • /
    • 2004
  • In the research of biomechanical engineering, robotics and neurophysiology, to clarify the mechanism of human bipedal walking is of major interest. It serves as a basis of developing several applications such as rehabilitation tools and humanoid robots. Nevertheless, because of complexity of the neuronal system that interacts with the body dynamics system to make walking movements, much is left unknown about the details of locomotion mechanism. Researchers were looking for the optimal model of the neuronal system by trials and errors. In this paper, we applied Genetic Programming to induce the model of the nervous system automatically and showed its effectiveness by simulating a human bipedal walking with the obtained model.

The Effects of 1/f Music on the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Induced by Stressful Visual Stimulation (1/f 음악이 스트레스에 따른 정서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 ;;Estate Sokhadz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35-143
    • /
    • 1998
  • 이 연구에서는 국제 사진 정서체계(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중에서 가장 강한 부적 정서를 유발하는 6장의 슬라이드를 1분 동안 연속적으로 보여주어 스트레스 상태를 야기한 뒤 1분동안 정서를 유발하는 청각자극인 1/f음악이나 which noise를 들려주거나 또는 아무소리도 들려주지 않는 각 조건에서 뇌파의 상대적 출현량(reltive power)및 호흡률, 심박률, 피부전도수준 등의 자율신경계 반응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스트레스 정서 상태에서 이완상태로의 회복을 촉진시켜줌을 시사한다. 한편, 스트레스정서유발 상태에서 1/f 음악과 white noise이 제시되었을 때의 자율신경계 반응은 현저한 대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스트레스 정서유발 이전의 기저선 수준과 비교할 때 1/f 음악에 의한 반응수준이 white noise 에 의한 반응수준 보다 기서선 수준에서 훨씬 더 벗어나 있었다. 따라서 이 결과는 부적정서상태에 부가된 정적 유발이 활성화된 자율신경계 반응의 안정상태로의 회복을 촉진한다는 가설을 지지하거나 부정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이 연구에서 정서자극 제시 후의 회복단계에서 뇌파 반응과 자율신경계 반응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가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이들 생리신호의 반응속도가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이 실험은 시각과 청각의 복합 감각체계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정서상태에 정적정서유발자극이 부가되었을 때 스트레스 뇌파반응에서 이완된 뇌파반응으로의 회복이 촉진됨을 보여준 최초의 연구이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R Interval Analyzer using Microcomputer (1) (Microcomputer를 이용한 R-R Interval Analyzer 개발에 관한 연구 (1))

  • Lee, Joon-Ha;Choi, Soo-Bo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2 no.1
    • /
    • pp.77-80
    • /
    • 1985
  • The R-R interval analyzer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using microcomputer. The system based on 8 bit microcomputer including bandpass filter, R-wave detector and clock generator in order to obtain the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total time, CV value, maximum value and minimum value in the specific view point of R-R interval variation. The pattern of R-R interval change after resting, voluntary standing and deep breathing can be analysed in normal subjects and diabetics with autonomic nervous dysfunction. The amplitude of the R-R interval variation showed sensitive pattern for normal subjects at resting, standing and deep breathing. On the contrary, the periodicities of amplitude for abnormal subjects with autonomic nervous dysfunction showed dull pattern. It was suggested that R-R interval analyzer is a good detection method for dysfunction of autonomic nervous system.

  • PDF

Effects of Odors on the Autonomic Responses caused by Mental Stress (스트레스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에 향이 미치는 영향)

  • 정순철;민병찬;김상균;민병운;오지영;김수진;김혜주;신정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13-416
    • /
    • 1999
  • 본 연구는 쾌하고 안정의 감성을 유발하는 향과 상대적으로 쾌도가 작고 각성의 감성을 유발하는 향이 스트레스 자극 후에 안정 상태로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향은 100%의 Rose oil bulgarian, Lemon oil misitano, Jasmin abs., Lavender oil france (KIMEX co. Ltd)의 네 가지이고 자율신경계의 반응은 심전도, 피부저항의 생리신호로 측정하였다. 스트레스의 유발은 단계적으로 난이도를 증가시키면서 덧셈의 연산 결과가 옳은지 틀린지를 검증하게 하였다. 실험과정은 처음의 안정 상태를 3분간 측정하였고, 2분의 계산 부하가 주어졌고 다시 3분간의 회복 상태를 측정하였다. 3분간의 회복 과정 측정 시 향을 제시하지 않은 상태를 통제 집단으로 하여 각각의 향을 제시했을 때의 상태와 비교하였다. 주관적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레몬과 라벤더 향은 긍정과 이완 감성을, 자스민과 장미는 부정과 긴장 감성을 유발하는 향이라고 피험자들은 대답하였고 이것은 생리신호의 분석결과 스트레스 자극 유발 후 안정상태로의 회복이 향을 제시하지 않은 상태와 비교해서 레몬과 라벤더 향을 제시했을 때 빨라지고, 장미향을 제시했을 때 느려진다는 사실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 그러므로 비록 예비 실험이기는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교감신경계 활성화의 회복을 촉진시키거나 또는 더디게 하는 향의 심리적 효과를 자율신경계의 반응으로서 검증할 수 있었다.

  • PDF

The Assessment of Odors Using Autonomic Nervous Responses (자율신경계 반응을 이용한 향(香)의 영향 평가)

  • 민병찬;정순철;김상균;민병운;오지영;김수진;김혜주;신정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07-41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향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00%의 Rose oil bulgarian, Lemon oil misitano, Jasmin abs., Lavender oil france (KIMEX co. Ltd)의 네가지 향을 사용하여 심전도, 피부온도, 피부저항의 생리신호를 측정하였고, 생리신호의 측정과 함께 주관적 설문지의 평가를 통해 생리신호와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주관적 평가 중 양극 척도의 긴장/이완에 해당되는 문항의 분석결과 장미>자스민>레몬>라벤더 순으로 피험자들에 의해 장미가 가장 긴장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향의 선호도 조사에서는 장미향이 가장 진한 향으로 레몬 향이 가장 좋은 향으로 분석결과가 나왔다. 생리신호 중 평균 R-R 간격의 측정 결과는 장미향에서 가장 긴장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주관적 평가 결과 역시 장미향이 긴장도가 높게 나와 생리신호와 주관적 평가의 결과가 상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피부온도 결과에서는 평균 R-R 간격에서 긴장도가 가장 높은 장미가 피부온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피부저항은 레몬 향이 가장 긴장된 것으로 나온 반면 라벤더가 가장 이완으로 나타났으며 라벤더의 경우 주관적 평가와의 상관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향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주관적 평가와 생리신호를 동시에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주관적 평가와 생리신호의 상관성을 통해 향이 자율신경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 수가 있었다.

  • PDF

The Reviews of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in Neurorehabilitation (신경계 재활에서의 작업기반중재(occupation based intervention)에 관한 고찰)

  • Lee, Mi-Ji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6 no.2
    • /
    • pp.29-36
    • /
    • 2017
  • Introduction: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is effective intervention of nervous system clients.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oretical background, definition, and domain of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study suggested neurological references to apply it in realistic occupation therapy area. Body: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is performed in occupation based practice. Client's proper performance in natural environments is important. That is application of meaningful occupation in client's realistic environment is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At this point, meaningful occupation is included client's motivation, selective task, and habituation of performance. Conclusion: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were included motivation, habituation, and realistic environment of clients. The reviews identified that each factor is based on neurological basis. Therefore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need to use in realistic neurorehabil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