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염수농도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5초

Lidocaine과 dexamethasone 혼합용액의 근육내 주사 후 조직학적 변화 (Microstructural Changes after Intramuscular Injection of Lidocaine and Dexamethasone)

  • 장성민;이경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25-34
    • /
    • 2005
  • 측두하악장애 및 구강안면통증 환자들 중 근막통증에 의한 기능제한이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근막통증환자를 치료할 때 여러 가지 물리치료가 유용하지만, 즉각적인 통증완화효과를 나타내는 발통점주사요법이 근막통증의 치료로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발통점주사요법에 흔히 사용하는 화학약제로 생리식염수, 국소마취제, 스테로이드 등이 있으며, 국소마취제는 근육에 대한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어 사용상 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상품화된 lidocaine과, dexamethasone 주사제의 혼합용액을 근육내 주사한 후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근육에 대한 위해성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용액의 농도에 따라 각각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위해성이 없는 적정한 농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생후 9주된 BALB/c 생쥐 (자성) 63마리를 7군으로 분류하여, 앞정강근 (전경골근, tibialis cranialis) 에 각각 생리식염수, dexamethasone, 2.0% lidocaine, 생리식염수와 혼합한 1.0% lidocaine, 생리식염수와 혼합한 1.5% lidocaine, dexamethasone과 혼합한 1.0% lidocaine, dexamethasone과 혼합한 1.5% lidocaine을 주사하였다. 그 후 1일, 7일, 14일째에 희생시켜 실험부위를 절취한 후 조직절편을 만들어 HE염색과 Van-Gieson염색을 거쳐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Lidocaine과 dexamethasone의 혼합용액을 근육내 주사하였을 때, lidocaine의 농도가 1.5% 이하인 경우 조직학적으로 유해하지 않았으며, 통증완화효과와 항염증작용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상기 혼합용액을 발통점주사요법의 약제로 사용할 경우, 인체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올 것인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산소주입에 의한 FLAIR 영상에서 생리식염수의 신호 변화 (Signal Change of Normal Saline by Oxygen Injection in FLAIR Image)

  • 신운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55-63
    • /
    • 2019
  • 고농도의 산소를 흡입하는 경우에 자기공명영상의 FLAIR(fluid attenuated inversion-recovery, FLAIR) 영상에서 뇌척수액에서 신호가 억제되지 않고 고신호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가 젤로 고정한 팬텀을 제작하여 산소를 주입한 생리식염수와 조영제를 희석한 생리식염수의 신호를 FLAIR 기법의 반전시간(TI : inversion time)을 변화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마련 하고자 하였다. 부산 P병원의 Philips Achieva MR 3.0T를 이용한 결과에서 자기공명영상의 FLAIR 기법에서 산소가 주입된 생리식염수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는 산소가 주입되지 않은 생리식염수 보다 증가되었다. 하지만 희석된 조영제보다는 높지 않았다. 반전시간 1,800ms에서는 산소에 의한 신호 증강이 없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산소가 주입된 생리식염수와 조영제의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에서도 임상에서 주로 사용하는 반전시간 2,800ms보다 1,800ms에서 높게 증가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가 자기공명영상의 FLAIR 기법에서 산소 주입에 따른 뇌척수액의 신호 변화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흰쥐에서 내측 편도핵의 손상이 염산 자극에 의한 췌장 외분비에 비치는 영향 (Effect of Damage to Medial Amygdaloid Nucleus on Pancreatic Exocrine Secretion Stimulated by Hydrochloric Acid in the Rat)

  • 김명석;윤신희;한상준;김미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2권2호
    • /
    • pp.273-280
    • /
    • 1988
  • 본 연구는 십이지장내 생리 식염수와 0.01 N HCl을 주입했을때 내측 편도핵의 손상이 췌액 분비와 혈장 secretin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44마리의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다. 그 중 21마리의 흰쥐는 뇌정위 고정장치에 의해 내측 편도핵에 삽입된 전극을 통해 양측성으로 내측 편도핵을 파괴한 내측 편도핵 손상군이고, 나머지 23마리는 편도핵의 손상없이 동일한 수술 조작만을 가한 수술 대조군이다. urethan 마취후에 십이지장 근위부에 위치한 관을 통해 십이지장 내강에 0.01 N HCl 또는 생리 식염수(0.9% NaCl)를 0.18ml/min 속도로 주입하면서 20분간 췌액을 채취하였다. 췌액 체취후 복대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장 secretin농도를 측정하였다. 내측 편도핵 손상군에서 십이지장내 생리 식염수는 물론 0.01 N HCl 주입에 의한 췌액량은 수술 대조군의 것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내측 편도핵 손상군의 췌액내 단백질량은 생리 식염수 주입시 수술대조군의 것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0.01 N HCI 주입시에는 유의하지는 않지만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기초상태 및 염산 자극에 의한 혈장 secretin 농도는 내측 편도핵의 손상에 의하여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내측 편도핵은 기초 상태 및 염산 자극에 의한 췌액의 분비에 촉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나, secretin 분비기전이 이 촉진 영향에 관련되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 PDF

항암제 함유 골시멘트에서 유리되는 아드리아마이신의 세포 독성 (Cellular Toxicity of Adriamycin Eluted from Adriamycin-impregnated Bone Cement)

  • 장동욱;이동신;최선실;최승준;어수익;김병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2
    • /
    • 2001
  • 목적 : 아드리아마이신 함유 골시멘트의 국소 항암제 치료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Palcos R, LVC, CMW 3, Simplex P의 4종류 골시멘트에 아드리아마이신 2.5mg, 5mg, 25mg의 각각 다른 농도로 균일하게 섞은 후, 원주형 또는 납작한 형의 모양에 따른 아드리아마이신 용출 차이, ddH2O, 0.45% 식염수, 0.9% 식염수, 3% 식염수 등의 주위 환경에 따른 아드리아마이신 용출 차이를 연구하였다. 또한 용출된 아드리아마이신의 세포 독성을 알아보고자, 골육종 세포주 Saos-2를 골시멘트 단독, 각기 다른 3종류의 아드리아마이신 농도를 함유한 골시멘트와 같이 37 C, 5% $CO_2$ 조건하에서 가습 배양기내에서 배양을 실시하여, MTT assay 방법으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결과 : 납작한 모양이 원주형보다 아드리아마이신 용출이 많았고, 3%, 0.9%, 0.45%의 식염수 순으로 아드리아마이신 용출이 줄어 들었으며, CMW 3, Simplex P가 Palacos R, LVC보다 아드리아마이신 용출이 많았으며, 아드리아마이신 농도가 2.5mg, 5mg, 25mg 순으로 세포 독성은 각각 95%, 98%, 99%이었다. 결론 : 적절한 용량의 아드리아마이신을 골시멘트에 섞는다면, 용출된 아드리아마이신이 세포 독성을 가져 국소 항암제 치료 수단으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근적외 분광분석법을 응용한 마요네즈의 식염 농도측정 (Measurement of Mayonnaise Salt Content by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차익수;김진호;김현위;김형찬;이윤경;박기문;유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0-43
    • /
    • 1996
  • 비파괴적이고 신속분석이 가능한 근적외 분광분석법으로 마요네즈의 식염분석을 시도하였다. 식염은 근적외선영역에서 주성분 피크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식염 함량을 다양한 통계처리 기법중에 PLS회귀법을 사용하여 100시료로 검량식을 작성하였다. $1{\sim}15$개 요인변수를 사용하여 작성된 검량식 중에서 최소값의 SECV, SE를 갖는 3개의 검량식(요인변수 : 10, 11, 12)을 선택하였다. 이 검량식들을 독립된 40시료의 검정용 시료에 적용시켜 검정한 결과, 요인변수 11의 검량식이 R 0.946, SEP 0.0166%로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마요네즈의 식염분석이 근적외 분광분석법으로 측정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6. 우렁쉥이 젓갈의 제조 및 품질평가(II)-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6. Processing and Quality Evaluation of Fermented Ascidian(II)-)

  • 이강호;조호성;이동호;김민기;조영제;서재수;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0-339
    • /
    • 1993
  • 향미의 손상과 변색 등 가공적성상의 결함을 극복한 가공품의 개발이 아직 없는 우렁쉥이 이용을 위하여, 우렁쉥이 젓갈에 대한 고유한 색과 풍미를 안정화할 수 있는 식염농도, 숙성온도 및 첨가효소의 영향 등 숙성조건의 최적화를 검토하였다. 1. Bromelain, papain, ficin을 사용하여 아미노질소, 관능적 품질평가 등으로 그 영향을 검토한 결과 $0.05\%{\sim}0.1\%$ papain의 첨가가 가장 좋았다. 2. Papain과 protease-A(복합효소)를 $0.1\%$ 첨가하여 $25{\pm}1^{\circ}C$에서 5일간 숙성중 아미노질소, 휘발성염기질소, 관능검사 실험 결과 papain은 2일, protease-A는 1일 숙성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3. 저온숙성($5{\pm}1^{\circ}C$)중 아미노질소는 숙성 20 일경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단일효소인 papain보다는 복합효소제인 protease-A가 아미노질소값이 월등히 높았다. VBN은 papain이나 protease-A를 첨가한 경우 식염 $5\%$의 경우 숙성 30일경에, 식염 $10\%$의 경우는 35일경에, 식염 $15\%$의 경우는 45일경에 $30{\sim}40mg/100g$을 나타내었다. 4. 저온숙성중 total creatinine의 변화는 숙성 20일까지 서서히 증가한 후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식염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protease-A보다는 control이나 papain을 첨가한 경우가 증가폭은 작았다. Total carotenoid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저농도의 식염보다는 고농도때가, 첨가효소별로는 control이나 papain보다는 protease-A가 감소폭이 컸다. Glycogen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protease-A를 첨가한 경우가 감소폭이 컸다. 5. 저온숙성중 원료 우렁쉥이의 아미노산 조성은 taurine, aspartic acid, histidine, lysine, alan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serine의 순서로 함량이 많았으며 이 중에서 taurine 및 aspartic acid가 각각 $27.8\%,\;22.5\%$를 차지하였다. 20일 숙성 후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taurine이 가장 많았고 proline, alanine, glutamic acid, lysine, valine 순이었다. 6. 저온숙성중 관능검사 결과 $0.1\%$ papain과 protease-A에 식염 $5\%$를 첨가한 경우 숙성 30일경부터, $10\%$$15\%$의 경우는 35일 및 45일부터 우렁쉥이 특유의 상큼한 향기가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렁쉥이육을 숙성시킬 목적으로 사용한 효소첨가 실험결과, 단일효소로는 papain을 $0.1\%$첨가한 시험구가 우수하였는데 상온($25{\pm}1^{\circ}C$)은숙성 2일경, 저온($5{\pm}1^{\circ}C$)은 숙성 20일경이 최적숙성기간이었으며, 복합효소인 protease-A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도 앞의 papain과 유사하게 protease-A $0.1\%$ 첨가구에서 상온($25{\pm}1^{\circ}C$), 저온($5{\pm}1^{\circ}C$)각각 1일 및 20일경이 최적숙성기간으로 생각되었다.

  • PDF

개에서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의 흉막 및 심낭에 대한 유착방치효과 (The Effect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on Prevention of Post-operative Pleural and Pericardial Adhesions in Dogs)

  • 정동규;정종태;이경갑;김희석;최민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68-375
    • /
    • 2000
  • 개의 개흉술이나 개심술 후에 주요 합병증인 유착에 대한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SCMC)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1% SCMC총액을 흉막 및 심낭에 적용하였다. 10두의 개를 SCMC투여 군과 생리식염수 투여 군으로 각각 5두씩 배치하고, 개흉 후 4번째 메서 7번째 늑골의 늑연골 연접부 부위에 찰과상을 유도하였고 심낭 절개 후 심낭의 내측 및 닿는 심근에 각각 $2{\times}2cm$크기로 찰과상을 유발하였다. 찰과상 유발 후 생리식염수 투여 군은 멸균 생리식염수를 3.5m1/kg을, SCMC투여 군은 같은 용량의 1% SCMC를 흉강 및 심낭 내에 각각 도포 하였다. 수술 전후에 CBC와 혈장 plasminogen치를 측정하였다. 유착 정도 는 수술 30일 후에 0-4로 점수화하여 판정하였다 십장과 심낭의 평균 유착치는 SCMC투여 군이 2.4$\pm$0.8, 생리식염수 투여군이 $3.7{\pm}0.9$로 나타나 SCMC 투여군에서 유착 발생이 유의 성 있게 낮았다(p<0.01). 폐염과 흉막간의 평균 유착치는 SCMC 투여군이 1.7$\pm$0.2이었고, saline 투여군은 $3.5{\pm}0.8$로. SCHC투여 군에서 유착 발생이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1). Saline 투여군의 혈중 plasminogen 농도는 술 후 1일에 $28.2{\pm}5.677$로 감소하였고,술 후 7일에 $47{\pm}1.4%$.증가하였다(p<0.05). SCMC 투여군에서는 실험적 수술 1일 후 $27.1{\pm}10.3$로 감소하였고 7일 후에는 $30.3{\pm}21.6%$로 증가(p<0.01)하였으나 두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 상의 결과로 볼 때 개흉술 및 개심술시 1% SCMC를 투여하여 흉강 내의 유착을 방지함으로써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에 수술의 어려움과 조직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것으로 사료된다.로 사료된다.

  • PDF

간장 및 마가린중의 식염함량의 전기화학적 측정법 (Electrochemical Measurement of Salt Content in Soysauce and Margarine)

  • 이종혁;이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5-108
    • /
    • 1993
  • 한국 간장과 마가린의 식염함량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시관 간장과 가정에서 양조한 간장, 그리고 마가린을 선정하여 전기전도도(conductivity)를 이용한 측정법을 설정하였다. Wien bridge를 사용하여 제작한 conductivity meter로 측정한 값과 식염농도와의 사이에 다음 직선식이 성립하였다. $15^{\circ}C$ y=0.083x-1.253 (1) $20^{\circ}C$ y=0.077x-2.062 (2) $25^{\circ}C$ y=0.071x-2.686 (3) $30^{\circ}C$ y=0.066x-3.153 (4) $35^{\circ}C$ y=0.062x-3.522 (5) y=(-0.001139t+0.0999)x+(-0.126t+0.557) $(temperature\;range;\;15{\sim}35^{\circ}C)$ (6) x : conductivity $[{\mu}{\Omega^{-1}{\cdot}cm^{-1}]$ y: 식염농도 [%], t : 온도 $[^{\circ}C]$ $20^{\circ}C$에서 식 (2)과 실측 전기전도도에서 산출한 식염 함량과 종래법(Mohr법, A A법)으로 정량한 값의 편차는 0.27[%]이었다. 그리고 Table 2에서 $|A{\sim}B|$의 평균편차가 0.23[%]에 불과하므로 식 (6)에 의거하여 임의의 온도에서 측정한 conductivity는 별도의 온도 보정없이 식염함량을 산출할 수 있다. 마가린 : 마가린을 100배 희석하여 에멜죤을 파괴한 다음 $20^{\circ}C$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와 종래법으로 정량한 식염함량간에는 다음 식이 성립되었고 편차는 평균 0.028[%]로써 정확성의 양호한 일치를 보였다. y=0.00266x+0.57 (7) y 식염농도 [%], x : conductivity $[{\mu}{\Omega}^{-1}{\cdot}cm^{-1}]$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저자들이 제작한 conductivity meter는 간장과 마가린의 식염함량을 중래의 분석방법보다 정화도가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신속(수초내지 3분이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또 휴대가 간편하여 생산현장에서 이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4% 고농도 식염수를 이용한 구강함수가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구강건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4% Hypertonic Saline Solution Mouthwash on Oral Health of Eld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 김주옥;김남초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20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4% hypertonic saline solution mouthwash and tooth brushing education on the oral health of elders living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Methods: I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2% experimental group (n=20), a 4% experimental group (n=20), and a control group (n=20).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repeated measures ANOVA, Fisher exact test, Chi-square test, Kruskal-Wallis test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ith the SAS program. Results: Regular tooth brushing and use of 4% hypertonic saline solution mouthwash by elders provided better oral health by decreasing xerostomia, oral tongue plaque, halitosis, and the number of oral bacteria.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regular tooth brushing with continuous 4% hypertonic saline solution mouth washing education promotes oral health for eld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thus the dental care described in this study is recommended for elders in long term facilities.

저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3. 저염정어리젓의 미생물상의 변화 (Studio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3.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Fermentation of Low Salted Sardine)

  • 차용준;정수열;하재호;정인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1-215
    • /
    • 1983
  • 식염 $8\%$$10\%$에 에틸알코올 $6\%$, sorbitol $6\%$, 젖산 $0.5\%$를 첨가하여 담근 저염정어리젓의 숙성중의 미생물상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숙성기간중의 수분함량은 식염을 $20\%$ 첨가한 대조시료의 경우, 숙성 20일 경에 $57.2\%$에서 숙성 80일경에 $62.8\%$로 증가하였으며, 식염을 $8\%$$10\%$ 첨가한 저염정어리젓에서는 $63\%$ 내의로 큰 변화는 없었고 pH는 전시료 모두 다 6.0 부근이었다. 2. 식염농도 $8\%$$10\%$ 정어리젓의 경우, 숙성기간중 식염농도 $20\%$의 정어리젓 보다 생균수가 적은 이유는 알코올, sorbitol, 젖산첨가에 의한 미생물생육억제효과라 생각된다. 3. 정어리젓 숙성중에 분리동정된 균은 Bevibacterium marinopiscosum,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sp., Halobacterium sp., Pseudomonas sp., Flavobacterium marinovirosum, Pediococcus cerevisiae의 7종의 세균과 1종의 효모인 Torulopsis sp.으로 추정되었으며, 숙성초기에 Brevibacterium, Pseudomonas, Flavobacterium, Baciilus 속의 균이 분리되었으나 숙성후기에는 대조시료에서는 Halobacterium, Micrococcus, Pediococcus 속 및 Torulopsis 속의 균이 분리되었고, 식염을 $10\%$$8\%$를 첨가한 저염정어리젓에서는 Brevibacterium, Micrococcus, Pediococcus 속의 균이 분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