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수오염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의 상황과 비교한 네팔의 수질 관련 현재의 문제 및 향후 과제 (Current Issues and Challenges Related to Water Quality of Nepal in Comparison with Korean Situation)

  • 프러티바 반다리;김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11
  • 네팔의 천연 수자원은 풍부한 편이나 모든 인구가 안전하고 깨끗한 식수를 공급받고 있지는 못한 상황이다. 또한, 폐수 처리에 대한 상황 역시 매우 열악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도시로의 인구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한 물의 공급 및 공중 위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수인성 질환의 발병률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네팔의 수질 오염, 식수에서의 비소 오염, 폐수 처리, 그리고 대중의 건강에 대한 수질 오염의 영향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폐수 처리와 연관된 규제와 관련하여 한국의 상황과 비교하여 양국의 상황을 비교 고찰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에 의거하여 대중의 건강 증진을 위한 현존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A형 간염' 잘못된 상식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0권6호통권331호
    • /
    • pp.21-21
    • /
    • 2006
  • 대한소아청소년과개원의협의회(회장 임수흠)는 최근 'A형 간염에 대해 일반인들이 잘못 알고 있는 다섯 가지 오해'를 발표했다. 협의회는 '오염된 음식물이나 식수, 개인 접촉 등을 통해 전파되는 수인성 전염병인 A형 간염은 최근 어린이와 청소년의 항체 보유율이 10% 이하로 떨어져 집단 감염 위험이 커지고 있다.'면서 '적극적인 예방 활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PDF

우리나라 수자원 현황 및 정책방안

  • 최영송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6년도 제4회 하계분리막 Workshop (초순수 제조와 막분리 공정)
    • /
    • pp.1-32
    • /
    • 1996
  • 도시화와 공업화의 부산물인 오염부하량과 그 종류 증가로 우리의 식수원은 날로 위협받고 있으며, 수질 문제가 국민생활의 질 향상과 산업성장의 발목을 조일 수도 있게 되었다. 여기에서 수자원 관리현황과 그 해결 방안을 생각해 보고, 도서지방등 근본적으로 수원확보에 문제가 있는 지역에 대한 대체수원 대책으로 수자원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막처리에 의한 해수 담수화 추진계획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장기 요양 정신병원에서 지하수 오염에 의하여 발생한 A형간염 집단발병 (Outbreak of Hepatitis A caused by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a Long-term Psychiatric Hospital in Korea)

  • 권근상;이명옥;배희주;박정임;김천현;이주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2호
    • /
    • pp.71-80
    • /
    • 2023
  • 목적: 2017년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한 장기요양 정신병원(H병원)에서 A형간염 환자가 집단 발병하여 이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조치 결과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방법: 노출기간 동안 H병원의 근로자 및 재원 환자 234명을 대상으로 사례군 조사 디자인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고, IgM, IgG 혈청검사 및 A형간염 바이러스(HAV)에 대한 PCR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오염원으로 의심되는 지하수, 병원에서 제공되는 식품 및 인근 저수지의 물에서 HAV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출된 HAV는 유전형 검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H병원 환자 및 직원 234명 중 IgG 양성인 168명을 제외한 66명 중 19명이 최종적으로HAV 감염자로 확인되어 감수성자 중 발병률은 28.8%로 나타났다. 환자, 지하수, 식품(석박지) 및 저수지에서 동일 유전형의 HAV가 검출되어 지하수 오염에 의한 집단발병으로 결론 내렸으나, 최초 오염원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유행 종결 선언 이후 지하수에 대한 관리로 염소소독과 UV 조사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HAV가 검출되어 새로운 관정을 개발하여 상황을 종결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장기요양 정신병원에서 지하수 오염에 의한 19명의 HAV 집단발병을 조사하였다. HAV 항체가 없는 대상자 중에서 HAV의 높은 발병률을 확인하였다. 지하수 수질검사에서 바이러스 검사는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하수가 HAV에 오염시 HAV 집단발병 가능성이 높고 상당기간 지속적으로 검출되기 때문에 지하수에 대한 관리지침에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방안을 추가하고 관련 법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먹는 생물과 미생물학적 품질

  • 차성관
    • 식품기술
    • /
    • 제8권2호
    • /
    • pp.20-26
    • /
    • 1995
  • 건강한 성인 한사람은 하루에 약 $3\ell$의 물을 외부로부터 섭취하여야 한다고 한다. 이중 약 $1-2\ell$의 물은 음료 즉, 먹는물의 형태로 외부로부터 섭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음료의 형태로 섭취되는 먹는 물이 우리의 건강을 좌우하게 된다는, 물은 많이 마실수록 건강에 좋고, 깨끗한 생수를 마시는 것이 건강의 비결이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된다. 또 환경오염으로 인한 식수의 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은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 생수 등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한국의 현실에서 1995. 5. 1. 부터 환경부의 "먹는물 관리법"이 새롭게 시행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사용되어오던 "광천음료수"가 "먹는샘물"이라는 용어로 변경이 되고 몇가지 품질규격에 있어 더욱 엄격하게 규제가 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새롭게 시작되는 "먹는물 관리법"의 "먹는샘물"의 정의와 먹는샘물의 미생물학적인 품질의 설명이 필요하고, 또 "먹는물", "먹는샘물"이 환경쪽에서만 다루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먹는 물은 항상 식품과 함께 취급되기 때문에 식품연구의 일환으로서도 취급되어져야 함을 강조하고자 이글을 쓰게 되었다.

  • PDF

Tourmaline특성을 이용한 기능수 생산

  • 최무웅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요약집
    • /
    • pp.49-50
    • /
    • 2002
  • 하천의 원류인 지하수는 하천 상류로 갈수록 수질의 청정성과 미네날 및 육성성의 지질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물이 하류로 이동하는 동안 인위적 오염물질과 혼합되어 자연적의 본래 기능을 상실 해 왔다. 이런 문제 때문에 식수로 쓰는 물에 대한 불신으로 삶의 환경적 충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물을 어떻게 하면 짧은 시간동안에 자연 상태로 환원 시킬 수 있는 가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대적 배경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Tourmaline특성을 이용하였다.(중략)

  • PDF

환경독성평가 시스템에 의한 소양호 퇴적토의 환경독성 평가

  • 문성환;류성민;김재현;이순애;조화진;정진애;정대교;김기영;황인영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2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160-160
    • /
    • 2002
  • 호소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 인자로 외부 유입물질과 퇴적물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호소 수질 관리를 위해서는 호소로 유입되는 점ㆍ비점 오염원 관리와 함께, 퇴적층 관리도 수반되어야만 한다. 특히, 호소수가 주요 식수원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엄격한 퇴적토질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호 퇴적층에 대한 환경지질학적 조사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bioassays 기법(the battery of bioassays)을 적용하여 퇴적토의 오염상태를 평가하였다.

  • PDF

수산 양식용 소독제의 적정 투입시스템 개발

  • 김현주;양찬규;최종수;양승휘;백하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29-230
    • /
    • 2001
  • 최근, 물이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로 인식되며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는 식수에 대한 국민의 생존권 및 건강권 뿐 아니라 청정하지 못한 수질에서 어획 또는 양식되는 수산자원의 안전성과도 결부되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는 중금속 뿐 아니라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먹이연쇄를 통하여 건강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다양한 수처리 기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인 화학적 산화법은 수중 오염물을 화학적으로 산화시켜 생분해성이 좋아지게 하거나 흡착법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최종 또는 중간 생성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염소, 오존, 과산화수소, 과망간칼륨 등이 통용되고 있다. (중략)

  • PDF

방글라데시 지하수 내 비소 오염 현황 및 처리기술 (Current Status and Technologies for Treating Groundwater Arsenic Pollution in Bangladesh)

  • ;;전민수;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2-154
    • /
    • 2022
  • 지하수의 비소(As) 오염은 방글라데시의 주요 문제 중 하나이다. 독성은 부종, 피부암, 방광암, 폐암, 각화 과다증, 조산, 흑사병과 같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한다. 지하수의 오염은 주로 인위적 활동의 영향을 받는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에서 발생된다. 방글라데시 국민의 대부분이 지하수에 식수를 의존하고 있기에 비소 오염 현황을 조사하고 물이 부족한 지역에 안전한 식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소 처리를 위한 수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92개의 논문을 기반으로 방글라데시의 지하수 As 오염 관련 최근 현황과 다양한 저비용 정화 기술에 대한 트렌드를 조사하였다. 방글라데시에서 지하수 비소 오염이 가장 높은 지역은 Brahamanbariya, Tangail, Barisal, Pabna, Patuakhali 및 Kurigram등 총 4곳이며, Magura 및 Faridpur 등의 지역에서는 비소 농도가 0.05mg/L를 초과한다. WHO 표준 가이드라인 값(<0.01 mg/L)을 만족하는 지역은 Kushtia, Khagrachari, Jessore, Dinajpur, Meherpur 및 Munshiganj 등 총 6곳으로 나타났다. 수중에서 As를 처리하는 기술이 다양하다. 시간-비용효율적인 처리 방법은 Mg-Fe계 Hydrotalcite와 유사 화합물, electro-chemical As remediation (ECAR) reactor, aerated electrocoagulation 등이 적용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예산, 운영 및 유지 관리 비용, 재료의 가용성 및 전문 지식 요구 사항 등을 고려하여 수질 내 비소를 처리해야 한다.

연속유출분석모형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 물 수지 분석 (Water Budget Analysis of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Continous Rainfall-runoff Model)

  • 이명진;정우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93-293
    • /
    • 2011
  • 고성군의 상수도 보급률은 2008년 기준으로 61%이며, 인근지역인 통영시의 92%에 비하여 매우 낮은 실정이다. 고성군 용수공급 전망을 살펴보면 2014년 일 최대 $25,830m^3$/일의 수요가 예상되나 현재 광역상수도를 전량 수수하는 고성군의 배분량은 $20,500m^3$/일로 $5,330m^3$/일이 부족하여 용수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성군의 218개소 저수지중 주변의 오염요소가 적은 42개소 저수지 유역에 대해서 강우-유출모형을 모의 수행하였으며, 토양과 관련된 각종 자료와 이를 GIS기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산정하여, 연속유출분석모형인(NWS-PC)를 통하여 42개 유역의 유입량을 모의 수행하였다. 이러한 산정된 매개변수를 통해 2006년~2009년 동안의 강우량을 토대로 유출모의를 수행하였으며, 2008년 강우량을 토대로 극한 가뭄시의 경우도 모의 수행하였다. 최악의 가뭄시 최저 강우량을 2008년으로 선정하였기에 고성군의 평균유입량은 2,866.8천$m^3$/년으로 나타났다. 1990년~2005년도 평균 농업용수 이용량은 5,879.4천$m^3$/년이며, 2006년~2007년의 평균 농업용수 이용량은 2,186.2천$m^3$/년으로 2005년 이전 농경지 면적이 50%이상 줄어듦에 따라 이용량도 줄었다. 고성군의 평균 식수량은 406.3천$m^3$/년으로 산정되었으며, 고성읍, 하이면, 마암면, 거류면에서 유입량과 농업용수 및 식수량 차이에서 부족한 현상이 나타났으나 고성군 전체 평균으로 봤을 때는 274.3천$m^3$/년의 양이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성군 지역은 대부분의 농촌지역에서 생활용수를 마을상수도나 지하수에 의존하며 생활한다. 고성군 관내 농업용 저수지 중 식수겸용 저수지로 활용함으로써 인근 마을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게 되면 안정적인 마을상수원확보와 이상기후에 대비한 물 부족 대책을 수립할 수 있으며, 상습가뭄지역의 물 부족 문제가 해결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