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효과

Search Result 48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tability Evaluation of Flood Stage with Vegetation River Restoration (하천의 식생복원에 따른 홍수위 안정성 검토)

  • Kim, Byeong-Chan;Song, Joong-Geun;Kim, Min-Jeong;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48-2052
    • /
    • 2009
  • 최근 우리나라는 선진 외국과 같이 하천자연환경 보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은 단순한 치수 및 이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 그대로의 환경적 잠재기능을 복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하천복원은 하도내 식생, 여울과 소, 기타 국부적인 자연 서식처를 제공하기 때문에 하천단면 축소, 하천식생에 의한 흐름과 조도 변화 및 하상의 변동으로 인하여 홍수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역기능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유량자료가 부족한 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생태공학적 접근을 고려한 식생 설치를 상정하여 하천의 식생복원에 따른 홍수위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HEC-RAS를 이용하여 수리학적 요소들을 산출하고, 도출된 값들을 연직 2차원 수리해석에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구간의 식생 전 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식생전 후의 수위차는 $0.00^{\sim}1.25m$로 계산되어 식생으로 인해 최고 1.25m의 수위 상승 효과가 발생하였다. 가용할 자료가 부족한 하천의 식생복원에 따른 수리안정성 검토시 위 두 방법을 연계 이용한다면 하천복원 전후의 수리특성 변화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draulic Stability Analysis of Revetments Using Hydraulic Model Test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 분석)

  • Lee, Jong-Pil;Park, Eui-Jung;Choi, Kyoung-Hwa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67-1873
    • /
    • 2008
  • 호안은 제방 및 저수로 하안을 강수와 유수에 의한 파괴와 침식작용에 대하여 직접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자연형.생태하천 등 하천의 친수성.경관.생태계의 보전.재생 등이 중요시 되면서 이런 기능을 가진 많은 호안공법들이 개발 및 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호안공법에 대한 홍수시의 수리적 안정성 검토 등의 기술적인 검토가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호안공법이 적용된 호안에 대해 홍수시의 수리적 안정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호안 조사결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시공사례가 있는 콘크리트 식생블록에 대해서 개수로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모형은 실제 하천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H형 식생블록을 1/10 축소모형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호안경사 1:2에 대해 식생이 없는 경우, 식생이 0.08m, 0.04m 간격으로 있는 경우에 대해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식생밀도에 따른 유속 저감 및 소류력 저감 효과에 대한 수리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호안경사 및 식생밀도는 호안부에서 흐름의 에너지 및 유속을 감소시키며, 식생이 없는 호안에 비해 식생이 있는 호안에서는 식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류력이 최대 62.24%까지 감소하였다. 호안부에서의 식생의 발달은 유속 및 소류력을 감소시켜 호안부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lope Stability Analysis of New Gabion Wall System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for Stream Bank Stability and Rehabilitation (계안 복원을 위한 식생기반재 돌망태 옹벽의 계안 안정효과 분석)

  • Choi, Hyung Tae;Jeong, Yong-Ho;Park, Jae-H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1
    • /
    • pp.130-137
    • /
    • 2012
  • This study has conducted to develop new gabion wall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for stream bank stability and rapid rehabilitation. Vegetation base materials are primarily compounded with fine soil, organic composts and peat moss as plant fibers, a water retainer and a soil improver. Normally gabion wall systems resist the lateral earth pressures or stream power by their own weight. Therefore, fill material must have suitable weight, compressive strength and durability to resist the loading, as well as the effects of water and weathering. In this project, 100 to 200-mm clean, hard stones are basically specified, and about 50-mm rubbles are also used. Test application of new gabion wall system carried out in the stream bank of a small stream in the Gwangreung experimental forest, belonging to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in December 16th, 200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ydraulic stability of new gabion wall system, gabion wall system has highest threshold shear stress when the gabion wall covered by vegetation. New gabion wall system is highly resistant to sliding and overturning because safety coefficients exceed 1.5. As a result of term of slope stability analysis of new gabion wall system by Bishop and Fellenius methods, stability of stream bank was highly increased after the construction of gabion wall. Therefore, new gabion wall system is effective to stabilize unstable stream bank.

The Preservation of Vegetation Lanscape in Urban Park Using CAD - The Case of Kwangju Park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 (CAD를 활용한 도시공원 식생경관 보전방안 - 광주광역시 광주공원을 사례로 -)

  • 이규완;황국웅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0 no.1
    • /
    • pp.103-112
    • /
    • 1996
  • By preservation of vegetation landscape in urban park, the uniqueness and attractiveness of a city can be created and maintained. In this study, the CAD simulation of Dwangju Park was implemented, and it was proved that CAD simulation can be used to preserve the vegetation landscape and to regulate the building construction. But, when simulated short range vegetation landscape, such as the position, height and forms of trees, vegetation structure, dtc., are can be important factors. And, the method of suveying and presenting trees in CAD for efficient simulation are need to be sutdied futher.

  • PDF

Planting Guidelines for Home Energy Savings (주택 에너지 절약을 위한 식재계획 지침)

  • 조현길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2 no.4
    • /
    • pp.63-74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의 냉방 및 난방에너지 절약을 위한 적절한 식재계획의 지침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미국 중동부 내륙의 한 도시인 쉬카고(Chicago)의 북서쪽에 위치한 주거지였다. 쉬카고 는 온대 기후대에 속하는 도시로서, 본 연구는 한국 중부지역의 주택들에 있어서 식재를 통해 냉방 및 난방에너지를 절약하고, 또한 그 에너지 절약 으로부터 대기오염물의 배출을 저감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주택의 에너지 절약에 기여하는 주택주변 현존 식생 의 차양(Shading), 증발산 및 방풍의 효과를 모델링하였다. 식재로부터 절 약된 에너지의 총비용은 식생피도가 58.9%인 주거블럭에서 1993년 한해동 안 한 가구당 46.3달러였다. 그 중, 증발산효과가 53.7%, 방풍효과가 26.1%, 차양효과가 20.2%를 각각 차지하였다. 한편, 피도가 36.3%인 주거블럭에서 의 연간 총 에너지 절약은 가구당 8.6달러였다. 식생피도가 높은 주거지에 서 식재에 의한 에너지 절약의 효과는 더욱 증대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존 수목은 부적지에 위치되어 겨출철에 주택내로의 광선의 입자를 차단 함으로써 난방에너지의 요구를 증가시켰다(수목 한 개체당 최대 6달러). 차 양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주택건물의 남쪽가까이에서는 교목의 식재 를 가급적 회피하고, 수관이 가능한 한 넓은 교목을 주택건물의 서쪽과 동 쪽가까이에 식재하여야만 한다. 증발산과 방풍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건 물의 북쪽, 북동쪽 및 북서쪽에서의 고밀도 식재가 요구된다.

  • PDF

A Plot Scale Experiment to Assess the NPS Reduction for Non-irrigated Cropland (밭 비점오염 저감효과 평가를 위한 포장실험 연구)

  • Park, Tae-Yang;Kim, Sung-Jae;Jang, Jeong-Ryeol;Choi, Kang-Won;Kim,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3-313
    • /
    • 2011
  • 오염물질은 배출원의 형태에 따라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구분하고 있고 점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환경기초시설 방류수 등으로 발생원이 명확하고 수집하여 처리 및 관리가 용이하나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위치가 명확하지 않으며, 강우 시 일시적으로 대량 배출되는 특징을 가진 농경지, 도로, 대지, 임야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비점오염은 전체 수질오염의 42~67%(2003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15년에는 전체 수질오염의 65~7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중 농업 비점오염원은 총 수질 오염량의 30%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이를 저감하기 위한 최적관리방법의 효과검증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중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기법으로 다양한 규모와 형태의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를 설치하여 밭 비점오염에 대한 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제어대책을 개발하여 최적관리기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하려 한다. Silt Fence는 주로 건설공사현장에서 홍수유출 발생 시 인접한 하천 및 호소 등으로 유사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시설로 합성 직물 필터를 나무나 금속 막대로 연결하여 등고선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대상 지역의 토양이 교란되기 전에 그 지역 아래쪽에 설치한다. 식생밭두렁은 밭의 이랑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강우 시 빗물이 하단에 이를 때 늘어난 유량과 빠른 유속으로 토양침식이 가중되는데, 이때 30~35m간격으로 식생밭두렁을 설치하게 되면 상부와 하부의 침식정도가 유사한 경향을 보여 식생밭두렁을 설치하지 않은 지역에 비해 토양의 침식정도가 작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의 밭 비점오염의 저감효과 평가 및 제어대책 개발을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일대에 시험포장을 조성 하였으며, 시험포장내에 6개의 Plot을 만들어 하단부에 포장에서의 유출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플룸을 설치하였고 실내실험을 통해 플룸의 수위-유량관계 곡선을 작성하였다. 포장의 토양특성을 판별하기 위해 Plot별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특성을 분석 한 결과 6개 Plot모두 모래함량이 많은 점토질 사질토로 분류되었다. 향후 강우 시 시험포장에서 발생하는 유출수의 수질을 분석하고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의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제어대책을 개발하게 되면 농업수자원확보를 위한 관리방안 선정을 위한 정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으며 비점오염 배출을 최소화시켜 수질의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농업에 적합한 최적영농관리기술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Vegetation Development Mechanism and Flood Drainage Capability Reduction Characteristic at Downstream of Dams (댐하류 하도의 식생 메카니즘과 홍수소통능력 저감특성)

  • Yeo, Woon Ki;Lim, Ki Seok;Lee, Seung Yun;Jee, Hong 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22-926
    • /
    • 2004
  • 197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화와 도시화는 국토 전반에 걸쳐서 개발을 촉진시켰으며, 그 결과로 나타나기 시작한 홍수재해와 용수부족은 보다 많은 저수시설을 요구하게 되었다. 즉, 홍수유출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유역의 저류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댐 건설은 이수적인 측면에서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보장해주는 수단으로 겸용되어 왔으며, 특히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하도의 첨두홍수유출량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해 왔다. 댐에 의해 홍수가 사실상 사라진 댐 하류에서는 유사이송이 줄어들면서 주수로는 좁아지며, 낮아진다. 홍수가 없어진 주변 홍수터에는 식생이 활착하여 그 폭이 점차 커지고 하상은 높아진다. 과거 댐 건설 전까지 불안정했던 작은 독려 사주에도 홍수가 없어지면서 식생이 뿌리를 내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식생에 의한 난류변화와 와류의 형성으로 주변에 유사의 퇴적이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식생이 활착할 수 있는 면적이 확장되면서 사주는 점차 넓어진다. 특히, 홍수터나 사주의 외딴 관목 식생에 의한 주변 하상의 세굴, 미립토사의 퇴적, 하상재료의 분급효과는 생태 서식 측면에서 귀중한 휴식처나 피난처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도의 상류에 댐이 건설되고 난 후에 댐하류의 하도에서 발생하고 있는 식생 메카니즘과 이로 인한 조도증가와 유속저하 및 홍수소통능력의 저감현상을 규명하였다.

  • PDF

Vegetation index analysis using Satellite images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식생지수 상관분석)

  • Won, Sang-Yeon;Kim, Gi-Hong;Kim, Hyeong-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10.04a
    • /
    • pp.239-243
    • /
    • 2010
  • This paper shows how to establish vegetation index analysis for reducing soil erosion in mountain watershed. Soil erosion results from a combination of rainfall, soil, topography, and vegetation, so we need much time and costs when analyse it. We comparatively analysed the factors of topography, soil, and vegetation with variable resources, then established GIS DB.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this DB was also analysed. The soil and vegetation information of the sediment runoff section, and the NDVI vegetation index from KOMPSAT-2 imagery were referenced for this conducting research.

  • PDF

Effect of New Mattress System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on the Vegetation Coverage of Stream bank (계안 복원을 위한 매트리스형 식생기반재 돌망태 공법의 계안사면 피복효과)

  • Choi, Hyung Tae;Jeong, Yong-Ho;Park, Jae-H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2
    • /
    • pp.175-184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ew mattress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for protecting stream bank and rapid rehabilitation. Vegetation base materials are primarily compounded with fine soil, organic composts and peat moss as plant fibers, a water retainer and a soil improver. Peat moss can usually provide necessary natural fibers and organic materials in soil. Especially, peat moss can absorb up to 25 times its own weight in water and is therefore valued as a water retainer to prevent drying effect of vegetation base materials which can harm the growth of vegetation in mattresses. Normally mattress systems resist the lateral earth pressures or stream power by their own weight. Therefore, filled materials must have suitable weight, compressive strength and durability to resist the loading, as well as the effects of water and weathering. In this project, 100 to 200-mm clean, hard stones were basically specified, and about 50-mm rubbles were also used. Test application of new mattress system carried out in the stream bank of a small stream in the Gwangreung experimental forest, belonging to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in December 16th, 2006.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of vegetation coverage of test application plots (each plot size is 4 by 2 m), the coverage of all plots reached 100% in the end of May, 2007 (approximately 50 days passed after the first gemination of vegetation). The coverage of the plots using big hard stones and organic composts and the plots containing peat moss increased more rapidly. The results show that peat moss is effective to retain soil moisture and establish more sound environment for vegetation gemination.

The Study on the Quantification of Pollution Load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오염부하 저감효과 정량화 연구)

  • Jeong, Hyeonyong;Kum, Donghyuk;Yu, Nayeong;Woo, Soomi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13-313
    • /
    • 2021
  • 남·북한강 상류 수계에는 만대지구, 가아지구, 자운지구, 도암호유역, 골지천유역, 대기지구 등 총 6개의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이 지정되어 있으며,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관리대책 및 시행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등의 원인으로 뚜렷한 비점오염 저감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개별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명확한 저감효율이 정량화되지 않아 탁수저감 기여도 및 효율성 평가 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별 저감효율 제시가 미흡하였던 시설 중 돌망태, 식생토낭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저감효율 평가를 위해 경사도 3%, 사면 폭 4 m, 사면길이 22 m의 시험포를 조성하였다. 강우시 발생하는 유출수를 대조구와 비교하였으며, 영농시기를 고려하여 영농작업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제거효율법을 통한 저감효율 산정 결과 돌망태와 식생토낭의 SS항목은 80.5%와 73.7%로 저감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OD는 71.2%, 60.2%, T-N은 70.5%, 64.7%, T-P는 63.7%, 63.1%로 나타났다. TOC는 46.8%, 38.8%로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저감효율이 나타났다. 부하량합산법을 통한 저감효율 산정 결과 돌망태와 식생토낭의 T-N 항목은 78.6%와 70.8%로 저감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OD는 77.5%, 65.4%, SS는 76.7%, 67.8%, T-P는 68.4%, 63.7%로 나타났다. TOC는 62.7%, 44.6%로 시설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제거효율법과 부하량합산법을 이용하여 저감효율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40%이상의 저감효율이 나타났으며, 돌망태가 식생토낭에 비해 저감효과가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사면의 흙탕물 저감을 위해서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가 우선되어지나, 탁수저감 기여도 및 저감효율 제시를 위한 정량화는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효율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에 따른 유역 내 오염물질 발생 모의를 위한 모델링의 기초차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