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하도

Search Result 68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Comparative Analysis on Channel Forms and Landscapes at Naeseongcheon River and Wicheon River in Gyeongpook Province (경북 내성천과 위천의 하도 형상 및 경관 비교 분석)

  • Lee, Gwang-Ryu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4
    • /
    • pp.1-16
    • /
    • 2010
  • Channel topography, sediment properties, channel landscapes and characteristics of land covers in Naeseongcheon and Wicheon River consisting of granites and sedimentary rocks, respectively, are compared and analyzed. Due to the differences of bedrocks, soils and characteristics of land covers in the basins, Wicheon River with the slow flow speed shows the larger variations in river stage than Naeseongcheon River. While Naeseongcheon River fed by the granite sediments throughout granular disintegration hs tthe regular grain size properties with coarse sand in the most of river, Wicheon River fed by sedimentary rocks indicates the dramatic decertses of grain size lower-ward. Naeseongcheon River with channel interferences such as sand-sized sediment transughoations, dredges, and aggregate collections is analyzed as poorer vegetation covers than Wicheon River due to the dramatic changes in channel surfaces.

Basic Data Analysis on Bio Block Placement for Sea grass Field in the Enclosed Bay (반폐쇄해역에서의 잘피장 조성 바이오블록 거치의 기초자료 분석)

  • Ahn, HyoJae;Lee, JoongWoo;Kang, Seo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83-185
    • /
    • 2015
  • 반폐쇄해역에서는 해수교환이 어렵고 육상에서 유입부하와 적조 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 때문에 항상 수질과 저질이 악화되기 쉬운 환경에 처해 있어서 이의 개선을 위한 일환으로 해양식물(잘피)의 서식환경을 복원하여 해양정화에 기여하기 위한 친환경적 접근이 필요하다. 다양한 해상환경조건하에서 잘피의 서식은 변화므로 특히, 파랑의 극한 외력여건에 견디는 친환경 잘피 지지구조물 기술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잘피장 조성의 기반기술로 해양식생 지지용 바이오 블록을 개발하고 특히, 관광지 및 해양클러스터 단지로 대외적으로 알려져 있는 영도해역에서 영도구가 야심차게 준비해오고 있는 해상낚시터 인근해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 블록의 현장시범거치를 통해 잘피 등 해양식생을 유도하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대상구역에서의 파랑해석과 식생 조성 후에 파랑의 반응특성을 수치모델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계산 결과는 대상지역에 적용할 사면 피복재로 바이오 블록의 규격을 결정하는데 반영될 것이며 후속 연구에서 실제블록의 제작과 현장거치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Improvement of Land Cover over Asian region via Comparison of the Land Cover Data Sets (지면피복 자료들의 비교연구를 통한 아시아지역 지면피복 자료 개선)

  • Kang, Jeon-Ho;Suh, Myoung-Seok;Kwak, Chong-Heum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49-54
    • /
    • 2007
  • 고분해능복사계(AVHRR) 자료로부터 산출한 아시아지역 지면피복 분류자료들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International Geosphere Biosphere Programme: IGBP, University of Maryland: UMd)의 분류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하여 이 지역에 대한 지면피복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서로 다른 지면피복 분류 자료들의 비교를 위하여 지도 투영법을 일치시켰으며 지면피복 정의가 유사한 유형들만 비교하였다. 세 지면피복 자료에서 분류가 모두 일치하는 비율은 33.57%이고 3 자료 중 두 자료에서 분류가 일치하는 비율은 49.69%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나대지(사막), 도시 및 혼합림과 같이 식생의 생물리적 특성이 뚜렷한 유형들에서는 분류의 일치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농지, 낙엽활엽수림, 및 낙엽침엽수렴과 같이 식생의 생물리적 특성이 유사한 유형에서는 일치율이 낮게 나타났다. 분류에 사용된 기본 입력자료수, 지면피복 유형수,분류기법 및 입력 자료의 전처리 수준 등이 지면피복 분류 결과에 차이를 유발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면피복 자료들의 비교결과와 각 유형별 식생지수의 평균 계절변동 특성을 이용하여 이 지역에 대한 지면피복 분류자료를 보완하였다.

  • PDF

Estimation Soil Moisture Using Remote Sensing: Nakdong River Hydrologic Survey (원격탐사를 이용한 토양수분 예측: 낙동강 유역조사 분석)

  • Hur, Yoo-Mi;Han, Seung-Jae;Lee, Jong-Ji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19-121
    • /
    • 2012
  • 수문순환과정의 시공간적 거동의 해석 및 정량화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계획을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연구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수문순환과정을 분석하는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수문기상인자 중 토양수분은 지표와 대기에서 물과 에너지를 연결해주는 중요한 인자중 하나로 그 중요성 대두되고 있지만 관측시설의 제한과 큰 시공간 변동성을 가지고 있을 값을 추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선진국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원격탐사 기술을 도입하였다. 특히 원격탐사를 통해 산정된 Normi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와 토양수분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NDVI는 토양수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식생의 활동을 나타내는 인자이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연구에서 NDVI와 토양수분과의 관계에 대해 규명해 왔으며, NDVI를 통한 토양수분의 추정 및 검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에서 산정된 식생지수와 토양수분의 실측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측지에서의 식생지수와 토양수분의 관계를 규명한 후, 이 관계를 이용하여 관측 지역 이외의 장소의 토양수분 값을 추정 할 것이다.

  • PDF

Investigation of channel heads on the basis of field observations: The case of Mugapcheon (실측을 통한 하천시점 연구: 무갑천을 대상으로)

  • Kim, Youngchan;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9-79
    • /
    • 2022
  • 수치표고모형(digital elevation model)으로부터 추출한 하천망이 실제를 제대로 대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하천시점을 지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하천시점 결정 방법은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하천시점의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근본적인 이유는 실측을 통한 하천시점 자료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하천시점의 위치를 조사하였더라도 하천시점은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성 하천답사로 하천시점의 위치를 단정할 수 없다. 이 연구는 실측을 통해 하천시점 결정요인에 대하여 이해를 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무갑천을 대상으로 하여 네 차례(2월, 4월, 5월, 8월) 현장답사를 수행하여 하천시점 위치를 파악하였다. 하천시점의 개수와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2월부터 5월까지 하천시점은 상류로 팽창하는 양상을 보이다 8월에 하류방향으로 수축하는 형태를 나타냈다. 이러한 거동의 원인으로는 2월부터 5월까지유역 내 식생 발달이 비교적 적고 강수량이 증가하여 하천시점이 팽창된 것으로 파악되었며, 8월에는 강수량이 이전의 조사기간 보다 증가하였으나 식생이 활발히 발달하여 하천시점이 수축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Effects of Forest Fire on the Forest Vegetation and Soil (II) (황폐산지(荒廢山地)에서의 산불이 삼림식생(森林植生) 및 토양(土壤)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研究)(II))

  • Woo, Bo Myeong;Kwon, Tae Ho;Ma, Ho Seop;Lee, Heon Ho;Lee, Jong Ha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68 no.1
    • /
    • pp.37-45
    • /
    • 1985
  • The second year's results of surface fire effects on forest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and fire tolerance of various tree species were investigated in Mt. Gwanak, Kyunggi-do, successively after the study of the first year's effect in the same place. Soil moisture contents, organic matters, and most of soil nutrients including exchangeable bases had increased just after fire and went down to become somewhat constant. Available phosphorous at fired area decreased until it became similar to that at unfired area, while pH of subsoil was continuously increasing from just after fire till after 1 year. For Lespedeza and Weigela species, fire tolerance of tree crown was the lowest but reproductive capacity was the highest. And both of them were high for Rhododendron species. More exact classification into Increasers, Decreasers, Invaders and Neutral species was possible in the second year's study. According to comparison of similarities, it was found that the vegetational structure at fired area is slowly restoring to original state as time goes.

  • PDF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북한산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박인협;이경재;조재창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 no.1
    • /
    • pp.1-23
    • /
    • 1987
  • To investigate the forest structure of Mt. Bukhan. ranging from Seoul to Kyongkido, twenty plots were set up by the vegetation physiognomy and veget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leading dominant tree species in canopy stratum, fores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rge groups of natural forest communities, semi-natural forest communities and artificial forest communities, and each of them covered 82.64, 7.03, and 5.71% of Mt. Bukhan area, respectively. Pure or mixed natural forest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ere major forest communities and covered 70.8% of Mt. Bukhan area. The important planted tree species were Robinia pseudoacacia, Pinus rigida, and Alnus birsuta and they were mainly planted at the southern slope and roadside. The degree of human disturbance of vegetation of 8, 7, and 6 area covered 82.64, 0, and 12.74%, respectively. According to forest dimensions, most of forest communities were young aged forests of which mean DBH was 20cm and canopy height below 10m. However, a few mature forest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or Quercus mongolica were found in the small area. The range of Shannon's species diversity of major natural forest communities, pure or mixed forest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as 1.085~1.242. According to stand dynamic analysis by DBH class distribution, the present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ari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may last long their present forest structure and most of other communities may be succeeded to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however, a few communities invaded by Robinia pseudoacacia and Quercus aliena-Quercus acutissima communities may be succeeded to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and Quercus aliena communities, respectively. DCA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this study. DCA ordination were showed that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seem to be from Pinus densiflora through Quercus serrata. Prunus sargrntii. Sorbus alnifolia to Q. mongolica. Fraxinus mandsburica, F. rhynchophylla in the upper layer and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Lespedeza crytobotrya trough Rhus trichocarpa. Rh. verniciflua. Rhododendron mucronulatum. Rh. schlippenbachii to Acer pseudo-sieboldianus. Magnolia sieboldii, Euonymus sieboldianus.

  • PDF

A Research 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s in the World Cup Park Landfill Slope District (월드컵공원 사면지구 식생현황 및 변화 특성 연구)

  • Han, Bong-Ho;Park, Seok-Cheol;Choi, Han-By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4
    • /
    • pp.1-15
    • /
    • 2023
  • This research intended to reveal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tendency of change of -landfill slope districts, which are reclaimed land, through an investigationsinto the presently existent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World Cup Park landfill slope district. For the analysis of changes in veget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in 1999, 2003, 2005, 2007, 2008, 2012, 2016, and 2021. For the investigation into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 field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 2021 with six fixed investigation districts designated in 1999 as subjects.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the past data on the population, the number of the species, and the species diversity by the layer in 2021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landfill slope district, which is reclaimed land.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 distribution and the power had been affected by typhoons (Kompasu). Above the plantation foundation, which had been dry and poor, Salix koreensis, marsh woody plants that had formed the community, decreased greatly. The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after the typhoon in 2010, decreased in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Afterward, it showed a tendency to rebound. Regarding the Ailanthus altissima-Robinia pseudoacacia-Paulownia tomentosa community, the number of the species and the population had shown a change similar to the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The Paulownia tomentosa and the Ailanthus altissima have been culled. The slope was predicted as a Future Robinia pseudoacacia forest. The Salix pseudolasiogyne community has been transitioning to a Robinia pseudoacacia forest. Only some enumeration districts, the Robinia pseudoacacia forests and the Salix pseudolasiogyne, had been growing. However, most had been in been declining. It was predicted that this community will be maintained as a Robinia pseudoacacia forest in the future. As these vegetation communities are the representative vegetation of the landfill slope districts, which is reclaimed land,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ecosystem changes of the community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vegetation restoration of reclaimed land.

Identification of Palustrine Wetlands in Paldang Reservoir Using Spectral Mixture Analysis of Multi-temporal Landsat Imagery (다중시기 위성영상의 분광혼합화소분석에 의한 팔당 상수원보호구역의 소택형 습지 판별)

  • Kim, Sang-Wook;Park, Chong-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7 no.3
    • /
    • pp.48-55
    • /
    • 2004
  • 본 연구는 중 저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하천주변 습지를 판별해내는 보다 개선된 기법을 개발해 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 저해상도 위성영상의 하나의 화소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동질한 물체의 분광반사값을 나타내기보다는 다양한 분광값을 가진 물체들의 대표값으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식생, 수문 및 토양요소의 혼합체인 습지의 판별을 위해서, 하나의 화소가 하나의 물체를 대표함을 전제로 하는 기존의 분석방법 보다는, 혼합화소 (mixed pixel)를 대상지 의 토지 피복을 가장 잘 반영 하는 순수한 화소값(endmember)들로 분해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판별 및 분류를 가능케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극세분광 위성영상의 분석에 활용되는 기법인 분광혼합화소분석(Spectral Mixture Analysis)을 이용하였는데, 습지 각 화소의 식생, 수문 및 토양요소의 흔합정도를 분해한 후, 이들의 분할영상 (fraction images)을 추출해내고 이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팔당상수원보호구역의 소택형 습지를 대상으로 봄 가을의 Landsat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봄 가을 각각의 영상에 대하여 4개씩 endmember를 선정하였으며, 분할영상과 원자료 각각에 대하여 습지판별을 수행한 결과, 가을영상에 대하여 분할영상을 이용한 방법의 소택 형 습지 판별 정확도가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생산자 정확도 : 83.3%, 사용자 정확도 : 86.5%). 둘째, 소택형 습지로 판별된 지역만을 대상으로 보다 세분화된 분류가 가능한 지 알아보기 위하여 소택형 습지로 판별된 지역의 영상에 대해 ISODATA 무감독분류를 수행한 결과 2개의 클러스터로 대별되었다. 현장조사, 기존 연구의 수심자료 및 식생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위의 2개의 클러스터를 조사한 결과, 수문조건에 따른 분류인 아계(subsystem) 단계의 '영구적 침수형 소택형 습지'와 '계절적 침수형 소택형 습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