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도랑

Search Result 83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Deogyusan National Park (덕유산 국립공원 삼림식생에 관한 연구)

  • Kim, Chang-Hwan;Oh, Jang-Geun;Lee, Nam-Soo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6 no.1
    • /
    • pp.33-40
    • /
    • 2013
  • From March 2012 to January 2013,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project for making a precise electronic ecological zoning map of vegetation on a highly reduced scale of 1 to 5,000 with a view to improving management efficiency of national parks and enlarging the availability of the data produced from the basic research monitoring the resources of national parks. For the research accuracy and rapidity, a vegetation map was specially created for the on-the-site-vegetation research. To make the map more meticulous, we categorized the vegetation database into five groups: broadleaved forest, coniferous forest, mixed forest, rock vegetation and miscellaneous one. After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data built for the vegetation research and the actual research findings, it was made clear that vegetation of both categories was almost the same in case of broad-leaved forest with 72.20% and 78.45% respectively, and also equivalent in other groups like, for example, coniferous forest (16.70%, 13.41%), mixed forest (9.50%, 7.49%) and rock vegetation (0.60%, 0.15%). According to the precise vegetation map produced from the research,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was the most widely prevalent type in the correlate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occupying 65.78% of the overall vegetation. It was followed by mountain valley forest (15.17%), coniferous forest (10.90%), and plantation forest (7.00%) in order.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Mt. Deogyusan national park has retained a very stable and versatile forest vegetation in the outstanding state since approximately 20% of the mountain turns out to belong to the I grade vegetation conservation classification which contains climax forests, unique vegetation, subalpine vegetation, matured stands which are older than 50 years and etc.

The Vegetation Mapping using High-resolution Imagery and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고해상도 위성영상자 객체지향분류기법을 이용한 식생도)

  • 최상일;박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289-294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해상도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식생도 제작 기법을 연구하는 것이며, 식생도에는 활엽수, 혼효림, 침엽수의 군집 경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객체지향분류 기법을 적용하였다. 객체지향 분류기법은 크게 세그멘테이션의 과정과 세그멘트를 분류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세그멘테이션 과정을 통해서 식생군집의 경계를 추출하고, 영상을 이용하여 상록침엽수를 분류하여 식생조사시 침엽수군락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증대하였다.

  • PDF

Analysis of Spatial-temporal Variability of NOAA/AVHRR NDVI in Korea (NOAA/AVHRR 정규식생지수의 시공간 변화도 분석)

  • Kim, Gwangseob;Kim, Jong P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3B
    • /
    • pp.295-303
    • /
    • 2010
  • The variability of vegetation is strongly related to the variability of hydro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precipitation, temperature, runoff and so on. Analysis of the variability of vegetation will aid to understand the regional impact of climate change. Thus we analyzed the spatial-temporal variability of NOAA(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In the results from Mann-Kendall test, there is no significant linear trend of annual NDVI from 1982 to 2006 in the most area except the downward trend on the significance level 90% in the Guem-river basin area. In addition, using EOF(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the variability of NDVI in the region of higher latitude and altitude i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region since the spatial variability of NDVI follows the latitudinal gradient. Also we could get higher NDVI in June, July, August and September. We had the highest NDVI in Han-river basin area and the lowest in Je-Ju island.

The comparative study of vegetation between River Experiment Center and near-streams (하천실험센터와 주변 하천의 식생 비교 연구)

  • Kim, Eun-Jin;Yeo, Hong-Gu;Park, Moon-Hyeong;Kim,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2-742
    • /
    • 20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는 이수, 치수, 환경을 조화시키는 하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2009년 11월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하아리 낙동강변에 준공되었으며 초당 8톤의 인공홍수발생이 가능한 3개의 실험수로와 유 출입수조, 다목적호수실험장, 저류지 및 연구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하천실험센터의 식생과 3가지 유형(본류형, 자연제방지류형, 인공제방지류형)의 인근 하천식생을 비교분석하여 하천실험센터의 현재 식생환경을 파악하고 차후 연구의 기초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1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하천실험센터(급경사수로, 직선수로, 사행수로, 유출수조, 자연식생보존구간), 낙동강 본류, 상리천, 하아천에서 대표성을 갖는 장소 각각 1개 지소를 선정하여 식물상조사 및 식생단면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습생도, 교란도, 외래종율, 종다양성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하여 현재 하천실험센터의 식생환경이 타 조사지의 하천식생과 비교하여 어떤 유사성을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전체조사구간에서 총 108종류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3개의 실험수로는 수 습생식물의 종수가 일반하천의 수 습생식물의 종수보다 적었으며 반면에 육상식물의 종수는 더 많게 조사되었다. 또한 1 2년 식물의 경우 실험수로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고 다년생초본과 목본은 소수였다. 하천실험센터의 자연식생보존구간의 경우 총 식물 종수 및 수 습생식물의 종수가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식물상의 출현유무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하천실험센터의 실험수로는 낙동강 본류, 상리천, 하아천과 유사도가 낮게 구분되었으며 자연식생보존구간은 낙동강 본류 및 상리천과 유사도가 높게 분류되었다. 하천실험센터의 실험수로는 준공당시 기존의 식생이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하천식생의 특징이 두드러지지 않으며 육상식생에 가까운 식생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자연식생보존구역의 경우 다양한 버드나무류와 초본류가 정착되어 있으며 타 대상지에 비하여 가장 뛰어난 생태성을 가지고 있다. 하천실험센터는 하천실험을 위한 장소이나 그 자체로 생태가치가 높으며 차후 생태연구, 홍보, 교육활동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

  • PDF

Analysis of fish habitats suitability by vegetation density and flow changes (식생밀도와 흐름 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처 적합도 분석)

  • Choi, Mikyoung;Kang, Tae Un;Jang, Chang-Lae;Kim, Zoo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3-493
    • /
    • 2022
  • 본 연구는 식생밀도와 흐름에 따른 수치모형(Nays2D)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서식처 적합도 분석 모델(PHABSIM:Phsical Habtiat Suitability Model)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식생밀도에 따른 하상 지형 변화가 어류 서식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금강 부용리 인근 2km를 대상으로 2차원 모형인 Nays2D를 적용하여 흐름(댐 방류량, 2년 빈도 유량, 100년 빈도 유량 등)과 식생밀도(식생미반영, 현재 밀도, 밀도 감소, 밀도 증가 등)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를 실시하였고, 모의 결과값(단면 표고, 유속, 수위)을 물리적 서식처 평가 모델인 PHABSIM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피라미 서식을 위한 적정 유속과 수심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여 각 시나리오 별가중가용면적(WUA: Weighted Usable Area)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여, 식생밀도에 따른 단면 구조의 변화가 WUA 면적과 피라미 서식처 적합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목 밀도를 미반영한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PHABSIM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가중가용면적이 가장 높았고, 식생 밀도를 증가시킨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WUA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피라미의 서식처 적합도 측면에서 식생이 적어 특정 유량에 따른 하상변동의 폭이 커지면서 저수로 최저하상과 고수부 하상과의 표고차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상 단면이 피라미의 서식처 측면에서 유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Ecohydrological Effects of Climate and Land-Use Changes in Jeju Island using Ecosystem Demography Model (ED 모형을 활용한 제주도의 기후 변화 및 토지 이용 변화의 생태수문학적 영향)

  • Kim, Jeongbin;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7-107
    • /
    • 2018
  • 기후 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한반도의 기후 또한 온대에서 아열대로 변화하고 있다. 기후대가 변하게 되면 수문학적 순환 및 식생의 분포 또한 달라지게 된다. 식생의 분포는 결국 토지 이용을 의미하며, 서로 다른 토지 이용은 대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대가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기후 변화 및 토지 이용 변화에 따른 생태수문학적 영향을 Ecosystem Demography Model version 2.2(ED-2.2) 모형을 사용하여 살펴 본다. 제주도의 플럭스 타워 및 산림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ED-2.2 모형을 검증하였다. CRU-NCEP 기상자료 및 Land-Use Harmonization (LUH) 토지이용자료를 활용하여 과거기간(1500~2015)의 잠재 식생 및 실제 식생 상태를 산정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산정된 최종 실제 식생 상태를 바탕으로 기후 및 토지이용 시나리오(RCP 3.0 및 6.0)를 적용하고, 다양한 전지구모형(GFDL-ESM2M, HadGEM2-ES, IPSL-CM5A-LR, MIROC5)의 기상자료에 따라 물 순환, 탄소 순환 및 식생의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분석한다.

  • PDF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Four Major Islands in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태안해안국립공원 주요 4개 섬의 식생특성)

  • Cho, Hyun-Seo;Choi, Song-Hyun;Cho, 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2
    • /
    • pp.93-100
    • /
    • 2010
  •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is the only seashore national park in Korea.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four islands such as Oedo, Janggodo, Godaedo and Gauido in Taeanhaean National Park, sixteen plots(size is $100mm^2$) were set up, and four plots were set up in each island. In the result of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of each island, Oedo and Janggodo was dominated by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Godaedo was dominated by P. thunbergii-P. densiflora community and Gauido was dominated by Carpinus turczaninovii-P. densiflora community. But accord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ach island, there was a subtle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 even though the same P. thunbergii or P. densiflora community. The analysis of ordination and similarity turned out that the degree of similarity was lowest(6.58%) between Oedo and Gauido. The analysis result of species diversity and number of individuals shows that Gauido had high species diversity (2.7183) than the other islands.

3D Numerical Simulation of Partly Vegetated Open-Channel Flows Using Reynolds Stress Model (레이놀즈응력모형을 이용한 부분 식생된 개수로 흐름의 3차원 수치모의)

  • Kang Hyeongsi;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429-43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레이놀즈응력모형(RSM: Reynolds Stress Model)을 이용하여 부분 식생된 개수로 흐름을 수치모의 하였다. 부분 식생된 개수로 흐름에서의 평균유속 및 난류구조를 수치모의 하고 기존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모형이 식생된 개수로 흐름을 매우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차흐름 벡터도를 수치모의 한 결과 식생구간과 비식생 구간에서 방향이 서로 다른 새로운 이차흐름 구조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흐름방향으로의 최대유속이 비식생 영역의 수면 아래에서 발생되고, 식생 및 비식생 영역의 경계면에서 난류량이 최대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Vegetations of Hansan and Chubong Islets (한산도와 추봉도의 식생)

  • Kim, In-Taek;Lee, Ji-Hoon;Jin, Young-Gyu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3 no.5
    • /
    • pp.391-395
    • /
    • 2000
  • The vegetations of Hansan and Chubong islets in Tongyoungsi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1997 to December, 1998 and a synthesis tabl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synthesis table, the vegetation was classfied into 6 communties: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Chamaecyparis obtusa afforestation, Cryptomeria japonica afforestation,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and 3 subcommunities: Pinus thunbergii typical subcommunity, Quercus variabilis subcommunity, Carpinus coreana subcommunity. The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around Jeseungdang area is well preserved. However the islet requirs the ecological restoration, and we suggest that the rare species such a Crypsinus hastatus, old trees of Machilus thunbergii and Pinus thunbergii, and the habitat for Machilus thunbergii and Camellia japonica must be preserved.

  • PDF

제주도의 토양.식생에서 본 토지이용의 개선에 의한 장래성에 관하여

  • 도가장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3
    • /
    • pp.41-44
    • /
    • 1978
  • 1977년 7월 25∼31일까지 겨우 1주일간의 짧은 기간이었지만, 한국 제주도의 용암동굴 및 암석, 토양, 식생 등의 조사를 할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한국의 건국대학 공교수를 비롯하여, 같이 참여해 주신 여러 선생님들과 아울러 제주도청의 지사, 부지사, 그밖의 관계제위 및 제주자연보호회 여러분의 협력과 원조의 덕분이라고 충심으로부터 감사드리는 바입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