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다양도 지수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robabilistic Approach to Estimation of Drought Possibility for Vegetation Based on Satellite Observation (위성관측 기반의 식생의 가뭄 가능성 추정을 위한 확률론적 접근방법)

  • Won, Jeongeun;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5-115
    • /
    • 2021
  • 식생은 증발산, 강우, 토양 수분 등 다양한 수문기상 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식생의 상태는 가뭄 발생 시 물 부족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가뭄에 따른 식생의 변화와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식생-기후의 피드백을 이해해야 한다. 식생과 기후변수의 상호관계를 묘사하고 결합 확률을 구성하는 것은 식생-기후의 피드백을 이해하는데 적절하다. Copula 함수는 모든 변수를 연결하는 이점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확률 변수를 결합하는 강력한 접근방법으로, copula를 통한 확률론적 접근방법은 수문 기상 스트레스에 대한 식생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copula 기반의 식생-기후의 상호관계를 통해 가뭄 발생 시 식생이 받을 수 있는 영향을 정량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위성 자료를 활용한 식생건강성지수(Vegetation Health Index, VHI)와 위성관측된 강수 및 잠재증발산 자료를 적용하여 높은 공간 해상도에서 한국 전역의 식생 가뭄 가능성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강수 및 잠재증발산 자료를 통해 다양한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copula 결합 이론을 기반으로 VHI와 가뭄지수 간의 이변량 결합 확률모델이 제안된다. 이에 조건부 확률을 적용하여 다양한 가뭄 시나리오에서 식생의 가뭄 가능성을 추정하고, 가뭄에 취약한 지역을 공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가뭄 스트레스에 따른 식생 변화와 생태학적 가뭄의 공간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rone-based Vegetation Index Analysis Considering Vegetation Vitality (식생 활력도를 고려한 드론 기반의 식생지수 분석)

  • CHO, Sang-Ho;LEE, Geun-Sang;HWANG, Jee-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3 no.2
    • /
    • pp.21-35
    • /
    • 2020
  • Vegetation informa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urban planning, landscaping, water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Vegetation varies according to canopy density or chlorophyll content, but vegetation vitality is not considered when classifying vegetation areas in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in order to satisfy various applied studies, a study was conducted to set a threshold value of vegetation index considering vegetation vitality. First, an eBee fixed-wing drone was equipped with a multi-spectral camera to construct optical and near-infrared orthomosaic images. Then, GIS calculation was performed for each orthomosaic image to calculate the NDVI, GNDVI, SAVI, and MSAVI vegetation index. In addition, the vegetation position of the target site was investigated through VRS survey, and the accuracy of each vegetation index was evaluated using vegetation vitality. As a result, the scenario in which the vegetation vitality point was selected as the vegetation area was higher in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vegetation index than the scenario in which the vegetation vitality point was slightly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Kappa coefficient for each vegetation index calculated by overlapping with each site survey point was used to select the best threshold value of vegetation index for classifying vegetation by scenario. Therefore, the evaluation of vegetation index accuracy considering the vegetation vitality sugges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support in various business fields such as city planning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Vegetation Indicator for Assessment of Naturalness in Stream Environment (하천환경의 자연성 평가를 위한 식생지표의 개발)

  • Chun, Seung-Hoon;Chae, Soo-Kw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6
    • /
    • pp.384-401
    • /
    • 2016
  • The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has been developed recently as a biological part of the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for river environm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iver restoration projects. This study carried out to test the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and to reset its grade criteria on experimental streams. We classified and mapped vegetation communities at the level of physiognomic-floristic composition by each assessment unit. A total of 204 sampling quadrats were set up on the 68 assessment units at 5 experimental streams. By analyzing the vegetation data collected, we examined the appropriate numbers of sampling quadrats, the criteria of vegetation index score,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community, and grade criteria for vegetation assessment. The developed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composed with the vegetation complexity index (VCI), the vegetation diversity index (VDI), and the vegetation naturalness index (VNI) was proved to reflect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streams sufficiently. The contribution of vegetation naturalness index to grading by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was larger, but three indexes were closely correlated to each other. Also there was more clearer discrimination of grading with the application of adjusted criteria of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and the standardized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community, but the stream segment type did not influence the vegetation assessment grade significantly.

The Analysis Method of Landscape Fragmentation using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식생지수에 의한 경관파편화의 해석기법)

  • Jeong, J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 no.3
    • /
    • pp.16-22
    • /
    • 1999
  • The various spatial structure of biological habitat has tighten relationship with biodiversity. Due to increasing of population,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urban structure, various change of landscape has became these days. These change of landscape has raised the decrease of habitat and landscape fragmentation. This paper summarizes research to analysis vegetation index according to P/A ratio, Shape Index, and Fractal dimension using Landsat Thematic Mapper(TM). The analysis of landscape fragmentation using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0.5~1 has the most profitable for detection of vegetation fragmentation. The analysis of vegetation index of Seoul and Kyunggi province has also showed that Fractal dimension has the most fragmentation index. In near future, time series analysis is needed for fragmentation of vegetation on the same area, and for various landuse of fragmentation analysis. Thes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for preservation strategy of vegetation and biodiversity.

  • PDF

The Distribution Analysis of Coastal Wetland Vegetation Using Landscape Index (경관지수에 의한 연안습지 식생의 분포 분석)

  • Jeong, Jong-Chul;Cho, Hong-La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39-43
    • /
    • 2008
  • 경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상호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관지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경관구조 및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노력은 1950년대 후반부터 기하학적 이론을 기초로 하여 제기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원격탐사, GIS, 정보이론, 프랙탈 이론에 근거한 지표 등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습지 식생의 발달과 분포 특성을 공간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Landsat 영상에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선정한 지표면 식생비율을 10개 클래스로 구분한 후 각 클래스에 대해 경관지수를 적용하여 식생비율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새만금방조제를 비롯한 많은 연안습지에 생성되는 습지식생의 공간적 분포를 변화탐지 하고 이들의 시-공간적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해석하여 연안습지의 보존과 개발에 대한 기초 정보를 위성자료를 통해 추출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Vegetation Index for Zoning of Natural Ecosystem on Baekdudaegan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의 지역구분을 위한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 김갑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3
    • /
    • pp.223-232
    • /
    • 2002
  • For the zoning of natural ecosystem, Vegetation Index is calculated from the vegetation data surveyed on Baekdudaegan (Pijae-Doraegijae). Five factors -biodiversity, conservation value of the stand, environmental quality, longevity of the stand, site productivity- are considered in the calculation of Vegetation Index. Vegetation Index might be a useful zoning tool for management of Baekdudaegan. For Vegetation Index I, 59 sample plots 52.2% of total 113 sample plots are belong to core area, 34 sample plots 30.l% and 20 sample plots 17.7% are belong to buffer zone and transition area, respectively. For Vegetation Index II, 49 sample plots 43.4% of total 113 sample plots are belong to core area, 38 sample plots 33.6% and 26 sample plots 23.0% are belong to buffer zone and transition area, respectively.

Correlation Analysis of Vegetation Index and Drought Index (식생지수와 가뭄지수의 상관성 분석)

  • Kim, Kyung Tak;Park, Jung Soo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8 no.1
    • /
    • pp.49-58
    • /
    • 2006
  • Drought is an natural phenomenon which effects greatly on our society. It has various time scale and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beginning and the end. So we can't aware it quickly and the damage of drought become severe. To cope with these problems, it needs to construct drought monitoring system. And it is required that the definition of drought which is objective and can be applied widely and proper drought index for drought monitoring. Meteorology and hydrology have developed drought index for drought monitoring. There are many attempt to interpret the drought using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or LST(Land Surface Temperature) in remote sensing. In this study, drought index and precipitation is used to find drought severity of last ten years in South Korea. NDVI and VCI is applied to perceive the state of drought. Finally, the possibility of drought monitoring and evaluating drought depth is estimat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egetation Index and drought index.

  • PDF

Generation of Fine Resolution Drought Index using Satellite Data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고해상도 가뭄지수 산정모형 개발)

  • Kim, Gwang-Seob;Park, Ha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07-161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뭄을 관측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가뭄지수의 단점 등을 보완하고자 가뭄에 관련되는 식생지수를 연계한 공간해상도 높은 가뭄지수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지상관측을 통해 산출할 수 있는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와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같은 가뭄지수는 기온과 강수량 등의 기후자료만을 이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두 가뭄지수는 관측하기 어려운 가뭄의 시기와 심도를 설명하고자 여러 연구를 통해 개발한 지수이지만, 두 가뭄지수만을 가지고 우리나라 전역의 가뭄의 공간적인 분포를 설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PDSI의 경우 강수량과 기온과 토양의 수분함유량을 가지고 산출하는데, 전 관측지점을 똑같은 토양수분함유량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 계산되고, SPI의 경우 강수량만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PDSI의 경우 과거의 가뭄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매우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의 가뭄정도를 나타내는 데는 문제를 가지고 있고, SPI의 경우는 누적강수량을 가지고 시간단위로 계산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가뭄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지만, 입력 자료로 강수량만 들어간다는 점에서 약점을 가진다. 이런 기후지수만을 이용한 가뭄정보 생산이 공간정보를 구현하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가뭄에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보다 세밀한 공간정보를 가진 식생, 토지이용, 고도 등의 자료와 기후정보로부터 산정된 가뭄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기존의 기후지수보다 고해상도를 가진 위성의 정규식생지수(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같은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기존보다 더 향상된 해상도의 가뭄지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지상관측소 76개 지점 중에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정규식생지수 자료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자료의 보유기간이 짧은 지점과 섬지점 등을 제외한 57개 지점을 선정하고, 연구기간동안의 강수량과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PDSI와 SPI를 산출하였다. PDSI와 SPI자료를 고해상도 가뭄지수 산정의 기본 변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역거리가중평균법을 이용한 연구기간동안의 한반도 지역 PDSI와 SPI 가뭄지수 지도를 생산하였다. 각각의 가뭄지수와 식생 상태를 나타내는 NDVI와의 상관특성과 계절 변화에 따른 변화특성을 분석하고,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상 자료만을 사용한 가뭄지수가 가지는 시공간적 변화 특성 제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한 보다 해상도가 높은 조합가뭄지수를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Coastal Wetalnd NDVI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Data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연안습지 식생지수 분석)

  • Jeoung, Jong-Chul;Yong, Yoo-H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37-40
    • /
    • 2007
  • 대규모 연안개발은 연안지형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식물상의 변화를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때문에 시화방조제, 새만금방조제, 남양만 방조제 등의 대규모 방조제 공사 이후에 연안갯벌에서 나타나는 식물상의 변화를 관측하는 것은 연안습지환경의 변화를 분석하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리랑 2호 의 고해상도 자료를 바탕으로 연안습지의 지형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생물상의 식생지수를 분석하고 이들의 시-공간적변화가 연안지형의 특성과 공간규모의 대칭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특히,중급해상도에 의해 분석되었던 식생지수를 고해상도 위성관측 자료와 현장조사 자료를 비교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 PDF

Investigation on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NDVI values in urban area: An application of Landat 5 TM (도심지에서 NDVI 값 변화 특성 고찰: Landsat 5 TM의 응용)

  • Bhang, Kon Joon;Lee, Jin-duk;Kwak, J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109-110
    • /
    • 2013
  • 도심화는 녹지의 제거로 인해 야기괴는 다양한 환경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도심화 현상은 종종 원격탐사영상을 이용하여 평가되는데, 대표적으로 정규식생지수와 지표온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식생지수는 두 개의 광학채널을 이용하기 때문에 식생이 아닌 도심지에서 식생과 같은 지수를 나타나는 오류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에서 정규식생지수와 지표온도가 도심지 표면의 물질의 혼합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