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교란

Search Result 23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udy on 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of River Disturbance (하천교란 평가기법 연구)

  • Kim, Ki-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33-637
    • /
    • 2007
  • 하천환경 복원사업이나 자연형하천 정비사업의 근본 목표는 그 하천 고유의 하천경관이나 생태계 등 특성을 회복(Rehabilitation)시키거나 복원(Restoration)하는 것이다. 현재 이 치수기능 확보를 위한 댐 보의 건설, 하천정비 및 골재채취 등 하천의 인공화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하천 및 하도의 물리, 화학,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러한 하천의 인위적 교란은 요인, 규모, 빈도 및 강도는 다르지만 하천생태 서식처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변형, 변질되어 하천생태계가 변화, 단절, 절멸되는 심각한 상태가 빈발하고 있다. 하천교란(River disturbance)은 요인에 따라 유량 및 유사량 변화, 하상변동, 하도준설, 인공호안, 생태통로 차단 등 하천의 물리적 환경 변화를 초래하고, 그에 따른 영향으로 생물종의 감소 및 단순화, 개체수 감소 등과 같이 하천 생태계가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하천의 교란평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또한 표준화된 평가체제가 구축되어 있지 않을 뿐 만 아니라 하천환경의 복원에 대한 의식 보급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교란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하천교란평가기법 개발을 위한 전단계로서 일본의 하천수변 국세조사, 영국의 River Habitat Survey, 호주의 River Assessment System, 미국의 Stream Corridor Restoration 등에서 제시하는 하천모니터링 및 평가체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외국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천교란 요인을 하천정비, 댐건설, 골재채취로 유형화하고 교란요인별 조사해야 할 물리적 인자로서 유량, 유사량, 하도 제원, 특징적 내용, 하도형상, 여울과 소, 점사주, 인공구조물, 제방 호안의 재료 및 특징 등으로 선정, 검토하였으며, 생태계 인자로서는 제방 마루의 토지이용 및 식생구조, 하도의 식생유형, 하도주변 토지이용, 하안(bank) 형상 및 구조, 수종 및 구조, 하도 및 하안 특징 및 구조 등으로 선정, 검토하였다. 이상의 하천교란과 관계되는 지표를 선정하여 물리적, 생태적 조사 및 교란평가기법(안)을 개발,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Close-to-nature Creek Improvement (자연형 소하천정비사업의 식생특성 분석)

  • Yeon, Gyu-Bang;Kang, Sang-Jun;Yun, Kang-Hun;Lee, Jong-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57-66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소하천정비 시범사업 중에서 2003년 하천정비공사가 완료된 후 식생의 침입과 정착하는 과정을 조사함으로서 교란된 하천을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는데 생태학적으로 어떤 공법이 최적의 공법인가를 알아보고자 각 호안공법 별로 식생의 변화특성을 분석한 것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이동 소하천에 적용된 다양한 공법(자연석 쌓기, 식생축조블록, 그린리버(환경)블록, 스톤넷, 친환경 돌망태, 식생매트, 환경블록 H형, 반딧불 블록, 지오그린셀, 자연석 3단쌓기 호안)으로 정비된 자연형 하천 복원 후의 식생조성과 목본식물의 침입 및 정착 과정을 조사하였다. 9가지의 공법 중에서 식생 조성과 목본식물의 침입과 정착에 양호하다고 판단된 공법은 자연석 2단 및 3단 쌓기가 가장 좋다고 판단되었고, 그 다음은 지오그린셀 공법, 식생 매트 공법 그리고 그린리버 공법의 순이었다. 친환경 돌망태 공법, 환경블록 공법, 환경 H블록 공법, 식생 축조 블록 공법 및 반딧불 블록 공법은 다른 공법에 비하여 적절하지 못한 공법이었다. 각 공법 간 식생 조성의 유사도 비교에 의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천 복원 후 하천 변의 식생이 한 방향으로 서서히 수렴되어 가고 있었다. 하천 공법에 관계없이 봄에 침입하는 식물을 보면 둑의 사면에는 갈퀴나물, 큰김의털, 쑥, 환삼덩굴, 점나도나물 이었고, 수로에는 고마리, 소리쟁이, 미나리, 개구리자리였다. 여름에는 둑 사면에 망초, 억새, 환삼덩굴, 토끼풀이, 수로에는 고마리, 미나리, 미국가막사리, 닭의장풀, 그리고 가을에 많이 침입한 식물은 사면에 파종된 외래식물인 큰김의털, 식재한 억새, 강아지풀 및 환삼덩굴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처음 침입한 목본은 갯버들, 아카시나무, 내버들 및 버드나무 등 4종이었으나, 1년 후에는 싸리, 산딸기, 쥐똥나무 및 뽕나무가 새로 침입하였다. 이렇게 침입한 목본식물들은 복원된 하천에 다른 물리적인 교란이 심하게 가해지지 않는다면 당분간 계속 생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Exotic Plants with Geomorphology and Disturbance in the Riparian Zone of Seunggi Stream, Incheon (인천 승기천의 하안지대에서 지형과 교란에 따른 외래식물의 분포와 식생 구조)

  • Sin, Dong-Ho;Jo, Gang-Hye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4 no.5
    • /
    • pp.273-280
    • /
    • 2001
  • We investigated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exotic plants along stream geomorphology and disturbance factors in the riparian zone of Seunggi stream, Incheon. Total 53 exotic plant species were found in the riparian corridors of Seunggi stream. The percentage of exotics ranged from 25% to 33% of total species richness, and its mean value was 24% in the whole riparian area. The percentage of exotics reflected the vulnerability of riparian zones to plant invasions by disturbances, and it could be used as an indicator of riparian system dysfunction. The distinct distribution patterns of exotic plants did not found in the lateral topographic features of the stream. Invasion and proliferation of the exotic plants were somewhat remarkable at terraces and bank slopes of the stream. Among various disturbance factors, plowing and trampling were important on the invasion of exotic plant species of Seunggi stream.

  • PDF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Patterns of Riparian Vegetation Establishment and Typical Cases in Korea (하천식생 활착 유형과 사례의 기초 조사연구)

  • Woo, Hyo-Seop;Park, Moon-Hyeong;Cheong, Sa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74-478
    • /
    • 2009
  • 한반도 하천은 몬순기후와 노년기 지형 등의 영향으로 평상시 물이 흐르는 하도와 충적토로 덮인 주변 사주 및 홍수터를 보여 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하천이 대규모로 정비,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한반도 하천 고유의 '화이트리버'는 점차 식생으로 덮여 '그린리버'로 바뀌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하천 사주 및 홍수터에 식생이 활착하는 현상에 대해 요인별로 몇 가지 패턴으로 구분하고 대표적인 사례를 제시한다. 패턴 1은 상류 댐, 취수 등 인위적 유황 및 유사이송 변화와 그에 따른 하상 소류력 감소, 홍수터에 신선한 유사퇴적 감소 등으로 식생이 번성하게 되는 경우이다. 패턴 2는 하천개수, 골재채취 등으로 하도가 인위적으로 교란되는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패턴 3은 특히 중소하천에서 비점오염물질(인, 질소) 과다 유입으로 식생이 과다하게 번식하는 경우이나, 아직 현장에서 실제적인 확인은 되어 있지 않다. 이 같은 양상은 어느 하천에서 단독으로 일어날 수도 있고, 복합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본 조사 연구는 각 양상에 대해서 구체적인 사례를 같이 제시하고, 그 의미를 검토한다.

  • PDF

A study on variation of velocity characterisics in vagetated flow (식생 하천의 유속특성 변화 연구)

  • Park, Hyun Keun;Roh, Young Si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1-291
    • /
    • 2019
  • 하천에서 식생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수생식물의 집단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자연 저항체로서 하천의 평균 흐름을 교란하고 변화시킨다. 식생의 성장은 흐름 저항을 발생시켜 일시적으로 수위유량관계의 전이(shift)를 유발한다. 이러한 수위-유량관계의 전이는 식생의 성장 및 전도와 소멸로 발생하는 식생의 구조변화에 따라 측정 단면에 대한 평균유속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의 구조변화에 따른 평균유속 특성의 변화를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고령군(귀원교) 지점은 하천 좌우안 식생의 흐름 저항을 받아 측정 평균유속의 영향을 받는 지점으로, 식생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수리특성을 분석하여, 식생의 활착 및 전도에 따른 평균유속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고령군(귀원교) 지점의 수위-평균유속 관계는 식생의 활착 또는 전도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고리형태(loop)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생이 활착 후 전도되면서 측정된 유속성과는 수위하강시 유속이 증가하는 역 고리형태(loop)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식생이 전도된 이후의 측정성과는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유속이 증가하는 정상적인 수위-유속의 고리형태(loop)를 보인다.

  • PDF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Jindo-gun, Jeonnam (전남 진도군 관매도 해안 방풍림의 식생과 관리방안)

  • Kim, Ha-Sou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1 no.1
    • /
    • pp.5-11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that forms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located in Jodo-myeon, Jindo-gun, Jeollanamdo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areas of Korea from December 2005 to April 2007 and to suggeste the ecological management methods of coastal windbreak areas. P. thunbergii community, a coastal windbreak forest of Gwanmaedo, was classified into disturbance, growth, mixture, stability, and back mountain vegetation according to major companions species and vegetation types. P. thunbergii community of disturbance and growth vegetation needs active management through tree thinning, mowing, weeding out, use of rest space, and felling sick pine trees. P. thunbergii community of mixture, stability, and back mountain vegetation needs active preservation of a coastal windbreak to restore natural vegetation by making a windbreak walk and a forest buffer zone and inducing vegetation success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ecological management method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actual state of distribution by habitat characteristics of coastal windbreak areas such as management of beaches and surrounding area of idle lands, restoration of back wetlands, inhibition of foreign plants, maintenance of diversity of species and habitats, and prevention of aging and spread of damage from insects.

Rapid Ecoassessment Technique about Anthropogenic Disturbance Potentiality of Land Use (토지의 훼손 잠재성에 대한 신속한 생태평가기법)

  • 김종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6 no.1
    • /
    • pp.19-22
    • /
    • 2003
  • In order to determine the degree of anthropogenic disturbance potentiality (ADP) of the area a rapid ecoassessment techniqu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ctual vegetation map. ADP degree of relevant unit cell was computed by using four criteria of land use patterns such as forested area, open water and stream, agricultural area, and urbanized area. Ultimate ADP degree of each cell was obtained by means of direct and indirect computation process. Finally the map of ADP was drawn and analyzed. Vulnerable cell and disturbance nuclei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disturbance vector which is a kind of potential disturbance pressure of relevant cell influenced by surrounding cell. A case study was accomplished in the Gijang area of Pusan metropolitan city. 973 meshes (500m×500m) were analyzed and a total of 79 meshes were currently threatened. Present technique of rapid ecoassessment was practically useful for diagnosing and planning land use.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I) - Vegetational Structure -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 - 식생구조 -)

  • 오구균;김용식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0 no.1
    • /
    • pp.87-102
    • /
    • 1996
  • To study vegetational structure of the Korean warm temperate region fifty two plots were surveyed 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southern islands. The vegetational structures among sites were dissimilar in virtue of geographical isolation and artificial disturbance. The surveyed plots were general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the group in which plant succession has proceeded naturally, the second, the group which was disturbed and managed for a long time, the third, the group which was afforested and has been succeeded in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The species with constancy over 80% in fifty two plots were Machilus thunbergii, Eurya japonica,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idium, Cinnamomum japonicum, and Ligustrum japonicum. The community of Lozoste lancifolia, which is assumed to be a climax community of the Korean warm temperate region, remains in Chudo and Aedo. The secondary succession of seashore forest which were disturbed in the past will be done into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Location Environment of the Albizzia kalkora Community (왕자귀나무군락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 특성 연구)

  • Kim, Ji-Suk;Park, Seok-G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0 no.4
    • /
    • pp.783-79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location environment of Albizzia kalkora (AK) growing in Mt. Yudal located in Mokpo city and in the nearby islands. The AK community in Mt. Yudal in Mokpo city (Community I) is located in a region which is relatively high above the sea level. The average age of the major kinds of trees found in the region is about 30 years.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community shows an early stage of vegetation development due to continued disturbance. In Community IV, on the sandy soil in the flatland near the seashores, the average age of the major kinds of trees is about 9 years. In this community, a pure forest is presumed to have been formed in a poor environment which is artificially disturbed in relatively recent times even as AK with its strong adoptability was introduced into the region. In other communities (II, III), the vegetation state shows a competition between AK and deciduous oak trees, and the average age of the major kinds of trees is about 13 to 30 years. AK communities with a better developed vegetation structure are located on the higher steep slopes near the seashore. In the early stage of vegetation development, the forest floor received more effective light for photosynthesis, and thus more seedlings of AK emerged and grew. The probability of AK appearing in the damaged or sterile soil near the seashore was high because of its strong adaptability. However, as the vegetation structure developed further and the soil fertility increased, the domination of AK in the vegetation structure decreased as deciduous oak trees won the competition with AK.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Abandoned Salt field in Gasado (가사도 폐염전의 식생 현황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 김하송;임병선;이점숙;박송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7 no.2
    • /
    • pp.123-132
    • /
    • 2003
  • This ecological study investigated the vegetation changes of abandoned salt field, 21 plots(1${\times}$lm, 1${\times}$2m) set up by the methods of Braun-Blanquet and Elenberg in a coastal island, Gasado, Jindogun, from July to September,2002. The vascular plants of abandoned salt field in the surveyed site identified 17 families and 48 species. Of these species, halophytes and mesophytes were 20(42%) and 28(58%) species. In addition, the disturbance to this habitat led to the change of halophytes in abandoned sald field, exotic plants was distributed 23 species, which included Dactylis glomerata, Conyza canadensis, Oenothera odorata, Cosmos bipinnatus, etc., in the group of, mesophytes were 20(71%) species, vegetation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3 community types, i.e. the halophyte grassland community(Limonium tetragonum community, Suaeda japonica community, Spergularia marina community), the wetland grassland community(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Carex scabrifolia community, Phaceturus latifolius var. angustifolius community), and the mesophyte grassland community(Erigeron bonariensis community, Daucus littoralis var. koreana community). Each communities was described the structual, distribution and changes of the vegetation in the abandoned salt field, the vegetation table and actual vegetation map were prepa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