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 관찰

검색결과 1,681건 처리시간 0.034초

경북 운문산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한 지역의 식물상 연구 (A Floristic Study of Nature Sabbatical Area of Mt. Unmun in Gyeongsangbuk-Do)

  • 박선주;박성준;황규진;손성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15-431
    • /
    • 2007
  • 운문산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한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3과 235속 338종 3아종 54변종 12품종 총 407분류군으로 동정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산작약과 솔나리 2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참개별꽃, 진범, 할미밀망, 털둥근이질풀, 자주꿩의다리 등을 포함한 13과 19속 15종 4변종 2품종 총 2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고란초, 승마, 산작약, 솔나리, 천마 등 35과 50속 51종 4변종 총 5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4과 10속 9종 1변종 총 10분류군이며 도시화지수(U.I) 및 귀화율(N.I)은 3.51%, 2.46%이다. 생활형조성은 $H-R_5-D_4-e$ type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C_4$형 식물의 분포 조사 (Distribution of $C_4$Type Grasses in Korea)

  • 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7권2_3호
    • /
    • pp.103-112
    • /
    • 1993
  • 한국에서의 $C_3$$C_4$CAM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알아보았다. 한국 전체에서 258 군데의 지역에서 모든 초본식물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각 식물들의 중요값을 통해 우점종을 결정하였으며 이들 식물의 분류에는 크란츠 해부구조의 존재 관찰을 비롯한 여러가지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C_4$형 초본식물은 총 7개과 92종이었으며 $C_4$식물의 대부분은 화본과 식물이었다. 대한민국에서의 $C_3$$C_4$형 초본식물의 분포는 초본식물의 서식지와 관련되어 나타났다. 야외 및 해변의 건조지역에서는 $C_4$형 초본과 조건적 CAM 식물이 주로 서식하고 있는 반면, 습윤 지역에서는 주로 $C_3$형 초본식물이 많이 나타났다. 조사된 총 258개 지역 중에서 잔디가 우점종인 지역은 6개 지역이었다.

  • PDF

수생식물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과 미생물 (Microbial Colonization of the Aquatic Duckweed, Spirodela polyrhiza, during Development)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2호
    • /
    • pp.103-111
    • /
    • 2004
  • 수생식물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의 식물체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미생물과의 상호관계를 주사전자현미경 및 세포학적으로 추적하여 연구하였다. 개구리밥은 부유성 식물로 분화 발달 초기부터 잠수부위에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 남조류, 규조류 등이 서식하였다. 미분화된 어린 식물체에는 성숙 발달한 식물체에 비해 미생물들이 낮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성숙한 식물체에서는 특히 엽상체 하피에 가장 많은 미생물들이 서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점액성 물질이 층을 이루는 근관에 많이 관찰되었다. 반면, 신장 발달 중의 뿌리에는 일반적인 분포를 보였으며, 상피에는 미생물이 거의 분포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 미생물이 개구리밥 조직 내에 침입하여 식물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엽상체, 연결사, 뿌리, 근관, 무성생식낭 등의 구조를 세포학적으로 추적한 결과, 어느 부위에서도 조직 내로 미생물이 침입하여 세포를 괴사시키거나 감염시키는 일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개구리밥 식물체의 발달과정에 있어 미생물들은 어떠한 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개구리밥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질소고정치를 측정하여 그 기능을 식물체의 세포학적 측면과 접목시켜 연구하면 개구리밥과 미생물과의 상호관계가 공생적인지를 더 확실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Pteridine계 화합물의 in-vivo 형광 특성을 이용한 식물 플랑크톤의 동정에 관한 연구 (In-vivo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Pteridine for Identification of Phytoplankton)

  • 박미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9-228
    • /
    • 1992
  • 와편모조류, 남조류, Chloromonadophyceae와 Cryptophyceae를 포함한 12종의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적 형광특성을 in vivo 상태에서 조사하였다. 형광과 exciatation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약 380-435nm 영역에서 강한 세기의 형광 스펙트럼이, 조사된 모든 식물플랑크톤으로부터 얻어졌다. 식물플랑크톤의 성장 상태의 변화에 따른 형광 스펙트럼의$\lambd_{max}$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관찰된 형광 스펙트럼의 형광소를 밝히기 위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구성성분 중에 유사한 형광 특성을 보이는 8가지 pteridine계 화합물의 phosphate 완충용액에 대한 형광 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380-435nm 영역에서 나타난 스펙트럼의 세기와 모양, $\lambd_{max}$를 비교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fluorescence lifetime$(\tau)$과 fluorescence decay curve를 식물플랑크톤에 존재하는 유기화합물들의 표준용액의 $\tau$값과 비교하였다. 430 nm의 들뜨기 파장을 사용하여 얻은 식물플랑크톤의 fluorescence decay는 biexponential과 triexponential decay를 보였다. 박테리아와 식물플랑크톤의 형광 특성을 비교한 결과 형광 스펙트라뿐 아니라 붕괴 양상도 현저한 차이점을 보였다.

  • PDF

전남 동부지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A Study on the Flora of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the Eastern Part of Jeonnam Province)

  • 이종원;안종빈;강신호;윤호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4-167
    • /
    • 2022
  • 본 연구는 전남동부지역에 위치한 우량산림습원을 대상으로 산림습원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기 위하여 식물상 및 식생 등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진행은 2020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계절별로 각 1~2회씩 총 54회에 걸쳐실시하였다. 전남동부지역 우량산림습원의 관속식물은 93과 251속 336종 5아종 47변종 7품종 총 39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641종의 약 8.5%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에 출현한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과 벌개미취 등 6과 6속 7종 1변종 총 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한반도 특산식물 328분류군의 2.43%가 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0과 12속 10종 1아종 1변종 총 1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종(CR)은 해오라비난초 및 자주땅귀개 등이 관찰되었다. 위기종(EN)은 복사앵도나무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석회암지대에 주로 분포하는 종이기 때문에 식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취약종(VU)은 방울새란과 끈끈이주걱이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약관심종(LC)과 자료부족종(DD)는 이삭귀개, 뻐꾹나리 및 벗풀이 관찰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총 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V등급은 해오라비난초 및 자주땅귀개 등 4분류군으로 파악되었고, IV등급은 산황나무 및 가는잎개고사리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II등급은 천선과나무 및 좀작살나무 등 15분류이 나타났고, II등급은 꼬리조팝나무 및 닭의난초 등이 관찰되었다. I등급은 개미탑과 말오줌때 등 총 3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남동부지역 산림습원 내 침입외래식물은 주홍서나물, 개망초, 달맞이꽃 등 총 19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Naturalized Index)은 4.83%, 도시화지수(Urbanized Index)는 5.90%로 조사되었다. 전남동부지역 우량산림습원의 습지유형 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남 동부지역 산림습원은 절대육상식물이 61.4%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고, 미분류 습지식물 19.1%, 임의습지식물 8.2%, 절대습지식물 4.6%, 임의육상식물 4.5%, 양생식물 2.3% 순으로 확인되었다.

도림천 수변지역 조성을 위한 생태적 관리방안 및 하천환경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cological Management and Stream Environment in Dorim Stream for Establishing Eco-wetland Parks)

  • 이상돈;김석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3-139
    • /
    • 2008
  • 도심하천은 도심개발과 오염으로 인해 기능이 점차 상실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림천의 출현 동물상 및 식물상을 파악하여 도심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지표종을 발굴하고, 습지보전지역의 가능성을 위한 방안을 토론하였다. 도림천에서 안양천에 이르는 구간에 총 113종의 식물종, 포유류 9종, 조류 23종, 양서류 4종, 파츙류 2종과 어류 2종이 관찰되었다. 육상곤충은 71종이 관찰되었으며, 습지식생은 매우 다양하며 총 4개의 권역으로 나누었으며, 도심하천의 특징을 나타내는 수변지역 및 습지식물권역(습지식물권역, 반습지식물권역, 습지주변초지 지역, 습지주변교목지역)에 대한 관리방안이 도출되었다.

  • PDF

Neobacillus sp. JC05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어 반응 검정 (Defense Response of Cucumber Plants Treated with Neobacillus sp. JC05 Extract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 김유리;장화진;상미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3-40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Neobacillus sp. JC05의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에서 고구마뿌리혹선충 감염에 대한 식물의 방어 반응을 조사하였다. Neobacillus sp. JC05의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에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에 의한 감염이 감소하여 control에 비하여 병 발생이 감소하였으며, 식물이 받는 피해도 줄어들었다. 이때 Neobacillus sp. JC05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의 병 저항성 유전자의 발현량을 관찰한 결과, chitinase와 lipoxygenase 유전자의 발현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식물체 내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항산화효소 중 peroxidase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Neobacillus sp. JC05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의 토양 FDase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반면 인산가용화효소와 유레아제 활성은 control에 비해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전의 연구 결과와 종합하면, Neobacillus sp. JC05의 추출물은 직접적으로 고구마뿌리혹선충의 알 부화율을 억제하고 유충의 사멸률을 높여 토양 내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밀도를 감소시키기도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오이 식물체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어 반응을 증가시켜 저항성을 유도하며, 이를 통해 고구마뿌리혹선충병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동해 울릉도-독도해역에서 질소, 인, 철 첨가실험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 및 군집반응 (Growth and community response of phytoplankton by N, P and Fe nutrient addition in around water of Ulleungdo and Dokdo in East Sea)

  • 백승호;이민지;김윤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86-195
    • /
    • 2016
  • 동해 울릉도-독도 2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조성 및 수직적 영양염분포 특성과 표층 현장수를 이용하여 N, P, NP, Fe을 첨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영양염소비 및 성장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장에서 영양염류농도는 유광층 상부에서 낮았고, 100 m보다 깊은 수심에서 증가하였다. N:P비는 Redfield비(16)보다 표층에서 21-25로 높았고, 조사 최대심도인 400 m 층에서는 6 전후로 극히 낮게 관찰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총개체수는 St.UD3과 St.50에서 각각 $4.9{\times}10^5cells\;L^{-1}$$1.9{\times}10^5cells\;L^{-1}$로 관찰되었다. 주요 우점종은 St.UD3에서 침편모조류 Heterosigma akashiwo, 은편모조류 Crytomonas spp., 규조류 Leptocylindrus danicus로 파악되었고, St.50에서는 규조류 Chaetoceros socialis, H. akashiwo, L. danicus로 각각 관찰되었다. 영양염첨가실험의 +N과 +NP실험군에서 빠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반응을 보였고, +P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하게 식물플랑크톤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아울러 Fe을 첨가한 대조군, +N, +P, +NP실험군에서 Fe을 첨가하지 않은 다른 실험군과 비교하여 형광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은 Fe첨가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반응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p>0.05). 결과적으로 현장에서 우점한 H. akashiwo 와 L. danicus는 영양염이 추가적으로 공급된 환경의 생물검증실험에서도 빠르게 반응하여 높은 개체수로 우점한 것을 파악하였고, 특히 +Fe 실험군에서 L. danicus의 빠른 성장이 두드려졌다.

Dienes 염색법을 이용한 마이코플라스마성 식물병의 진단과 몇가지 염색방법의 개선 (Use of Dienes' Stain in Diagnosis of Plant Mycoplasmal Diseases and Modification of Diagnostic Procedure)

  • 신현동;나용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5-220
    • /
    • 1984
  • Dienes 염색법을 국내에 발생하는 마이코플라스마성 식물병의 진단에 적용해 보면서 본 염색법의 보다 효과적인 이용을 위한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ienes 염색법을을 통한 식물 마이코플라스마병의 진단방법은 일일초와 뽕나무에서만 지정적이었고, 대추나무, 오동나무 및 붉나무에서는 부정적이었다. 2. Dienes 염색액의 $0.2\%$$0.4\%$ 수용액이 일일초와 뽕나무에 각각 적합했으며, 염색시간은 $5\~10$분 그리고 탈색시간은 $10\~20$분이 좋았다. 3. 정확한 현미경적 관찰이나 선명한 사진을 위해서 절편의 두께는 $50\~100{\mu}$가 적당하였다. 4. 공시식물의 각 부위중에서 줄기 정부 바로 밑의 부위가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엽병이나 중륵도 거의 동등한 결과를 나타냈다. 5. 이병식물에서 염색반응의 정도는 병세와 비례했으며, 병징발견 초기의 시료는 건전시료와 염색반응에 있어서 쉽게 구별되지 않았다. 6. 시료를 종절할 경우 대부분의 관요소들이 상처를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관찰이 용역하므로 시료를 횡절할 경우보다 효과적이었다. 7. 염색된 시료를 현미경 관찰할 경우 filter를 사용하지 않고 텅스텐 적색광을 그대로 사용하면 사관요소와 도관요소 간의 색갈 대비를 증가시키며 정확한 해석에 도움을 주었다. 8. 시료를 고정액에 고정시키면 염색반응이 방해되었으며, 시료는 신선한 것일수록 염색반응이 뚜렷하였다.

  • PDF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에 감염된 딸기의 병태조직에 관한 연구 (Histopathology of Strawberry Plant Infected with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 문병주;정후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58-164
    • /
    • 1986
  •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에 의한 딸기 시들음병에 감염된 딸기 식물의 병태조직학적 특징을 광학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자연 또는 인공 감염된 뿌리, 관부, 잎자루 및 포복지의 도관내에는 본 병균의 균사와 대형, 소형 분생포자가 관찰되었으며, 이들 균체에 의한 도관의 폐쇄와 유관속내에 형성된 강(Cavity)이 관찰되었으나 다른 분화형에서 볼 수 있는 도관유조직의 비대현상, 분충체 및 pectin 물질에 의한 도관폐쇄는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딸기 시들음병의 위조발생은 균체에 의한 도관의 폐쇄가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