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체 흡수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31초

수도묘(水稻苗)에 시용(施用)한 규산(珪酸)과 인산(燐酸)의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s of Silicate and Phosphate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Rice Seedling)

  • 김문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21
    • /
    • 1970
  • 답(畓)에 시용(施用)한 규산(珪酸)과 인산(燐酸)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 연구(硏究)하기 위해서 직경(直徑) 15cm의 Petri dish에 200grs의 풍건세토(風乾細土)와 3 수준(水準)의 규산(珪酸) 인산(燐酸) 처리(處理)를 하고 질소(窒素)와 가리(加里)는 동일량(同一量)을 매회(每回) 처리(處理)하는 9개구(個區)를 설치(設置) 농림(農林) 25호(號)를 100립(粒) 씩 최아(催芽) 낙종(落種)하여 5회(回) 계속(繼續) 재배(栽培)하고 식물체분석(植物體分析) 및 토양분석(土壤分析)을 실시(實施)한 성적(成績)을 분석(分析) 평가(評價)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산(燐酸)의 흡수량(吸收量)이 많을수록 수도묘(水稻苗)의 건물중(乾物重)은 현저히 증대(增大)하였으나 규산(珪酸)의 흡수량(吸收量) 증대(增大)로 건물중(乾物重)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시험(試驗) 후(後) 토양(土壤)의 유효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많은 것일수록 식물체중(植物體中)의 규산함량(珪酸含量) 및 흡수량(吸收量)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며 $SiO_2/P_2O_5$의 비율(比率)은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3. 규회석(珪灰石) 시용(施用)으로 시험(試驗) 후(後) 토양중(土壤中)의 유효 규산(珪酸), 석회(石灰) 함량(含量)과 식물체(植物體) 중(中)의 규산(珪酸) 함량(含量), 규산(珪酸) 흡수량(吸收量) $SiO_2/P_2O_5$의 비율(比率)은 현저히 증대(增大)되었으며 4. 토양중(土壤中)의 유효규산함량 자체(自體)의 증대(增大) 보다도 석회함량(石灰含量)의 증대(增大)가 식물체(植物體) 중(中) 규산함량(珪酸含量) 규산(珪酸) 흡수량(吸收量) 및 $SiO_2/P_2O_5$ 비(比)의 증대(增大)와 더욱 높은 상관(相關)을 보였다. 5. 식물체중(植物體中)의 $SiO_2/P_2O_5$의 비율(比率)을 조절(調節)하기 위해서는 토양중(土壤中)의 $SiO_2/P_2O_5$의 비율(比率)을 조절(調節)하므로서 가능(可能)하며 6. 식물체중(植物體中)의 $SiO_2/P_2O_5$의 비율(比率)(y)은 시험(試驗) 후(後) 토양중(土壤中)의 유효 $SiO_2/P_2O_5$의 비(比)(x)와 $y=0.665+1.420x-0.0825x^2$의 회귀관계(回歸關係)가 있으며 적중율(適中率)($r^2$)은 82%였다.

  • PDF

배추 기원 Peroxidase의 정제 및 성질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roxidase from Chinese Cabbage)

  • 이해익;박경숙;이상영;최용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70-476
    • /
    • 1991
  • Peroxidase를 다량 함유하는 식물체를 검색할 목적으로 십자화과 식물 9종에 대하여 효소활성 분포를 조사하였다. 검색한 식물체 중 배추 뿌리에서 본 효소의 활성이 강하게 나타나 배추 뿌리로 부터 본 효소의 정제를 행하였다. 정제된 효소는 분자량 50,000의 단량체로서 pH 7.0, $50^{\circ}C$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내었다. phenol 및 phenol이 유도체가 좋은 기질로 작용하였으며 pyrogallol에 대한 $H_2O_2$의 Km 값은 1.6mM이었다. 본 효소는 406nm 에서 soret 흡수대를 나타내어 다른 peroxidase와 마찬가지로 분자내 보결분자단으로 heme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정제된 배추뿌리 기원의 효소는 면역화학적, 전기영동적 성질이 horseradish 기원의 peroxidase와 유사하였다.

  • PDF

플라보노이드 세포 수송 기전 (Cellular Flavonoid Transport Mechanisms in Animal and Plant Cells)

  • 한유리;이소영;이지혜;이성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7-141
    • /
    • 2013
  •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의 주요 2차 대사산물 중 하나로 자외선 차단, 식물의 수분을 위한 곤충 유인 등 외부환경에 적응하는데 이로운 역할을 한다. 특히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노화방지와 생활습관 질병예방에 유용한 건강기능식품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의 생체이용률은 매우 낮으며 이러한 플라보노이드 흡수과정에 관한 생물학적기전은 최근에 조금씩 밝혀지기 시작하고 있다. 플라보노이드의 수송기전에는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소포체 매개 수송과 세포막 및 소기관 표면 단백질에 의한 막 수송체 매개 수송이 있다. 소포체 매개 수송의 경우 cellular trafficking에 의한 일련의 소포체 유래 vesicle의 융합 반응을 거쳐 식물 세포의 경우 액포 내에 플라보노이드가 축적되거나 세포 외부로 배출된다. 표면 단백질에 의해 플라보노이드의 세포막 흡수가 일어나게 되는데 ATP를 사용한 능동수송, 막 전위를 이용한 2차 수송에 관여하는 다수의 수송체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종류의 플라보노이드가 존재하는 만큼 플라보노이드 수송체도 다양하며 어쩌면 모든 플라보노이드의 특이적 수송체를 규명하는 것은 불가능 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식품에 다량 존재하는 주요 플라보노이드를 모델 화합물로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면 이에 관련된 주요 수송체 단백질과 관련 메커니즘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체 이용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특히 낮은 혈중 농도 조건에서도 조직 세포 내에 플라보노이드 축적을 통해 건강 기능성을 최적화하는 노력을 기울이는데 적절한 과학적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인광석 처리 토양에서 담배의 인산 흡수와 생육에 미치는 인산 가용화균의 효과 (Effect of Phosphate Solubilizing Fungi on P Uptake and Growth of Tabacco in Rock Phosphate Applied Soil)

  • 박명수;;석영선;정종배;안기섭;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33-238
    • /
    • 2003
  • 인광석을 처리한 토양에서 인산 가용화균 Penicillium oxalicum CBPS-3F-Tsa이 식물의 인산 흡수와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온실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인광석을 처리한 토양에서 담배 식물체중의 인산 농도는 증가하였으며, 인산 가용화균을 접종한 경우에는 인산 농도가 더욱 증가하였다. 식물체의 총 인산 흡수량도 인산 가용화균을 접종한 경우 증가하였다. 담배 식물의 생육 또한 인광석과 인산 가용화균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 인광석만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인산 가용화균의 생육 촉진 효과는 인산 흡수에 미치는 영향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인산 가용화균과 인광석 처리에서 나타난 식물의 인산 흡수량 및 생육 증대 효과는 결국 접종한 인산 가용화균에 의한 난용성 인광석의 가용화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건조스트레스가 감자 식물체 무기성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rought Stress on Inorganic Compound and Growth of Potato Plant)

  • 백계령;이계준;조지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41-248
    • /
    • 2017
  • 가뭄조건에서 봄감자의 무기성분함량 및 생육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기간 중 식물체 내 무기성분함량 중 유효인산은 생육 초반 청주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개화기 이후 차이가 없어졌으며, 칼슘은 청주지역보다 강릉에서 더 빠르고 흡수되고 많은 체내 축적을 보였다. 마그네슘은 청주보다 강릉에서 높은 함량은 보여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칼슘 흡수와 매우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육기간 중 토양 양분 흡수량은 모든 무기양분을 청주가 강릉보다 더 많이 흡수하였으며, 이는 청주의 감자 생육량이 건조스트레스로 제대로 생육하지 못한 강릉의 감자보다 크고, 생육기간도 더 길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감자주요 생육기의 생육은 강릉과 청주 모두 비슷하였지만 강릉에서의 생육량 감소가 더 큰 경향을 보였다. 각 생육지표들의 상관관계는 건조에 취약한 잎을 제외한 다른 요소들은 강릉과 청주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잎의 영향을 받는 요소들은 강릉에서 그 상관관계를 볼 수 없었다. 감자 괴경의 수량은 상품비율은 건조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때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건조스트레스 하에서 지상부의 생육이 저하되고 생육기간이 짧아 수량은 크게 감소되었다.

벼와 잡초에서 온도조건(溫度條件)에 따른 Bensulfuron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대사(代謝) (Absorption, Translocation and Metabolism of Bensulfuron in Rice and Weeds at Different Temperatures)

  • 강태구;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1-328
    • /
    • 1995
  • 온도조건에 따른 벼의 품종별 bensulfuron의 약해기구(藥害機構) 및 잡초에 대한 살초성(殺草性)을 구명하고자 $^{14}C$-bensulfuron을 사용하여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대사실험(代謝實險)을 수행하였다. 1. $^{14}C$-bensulfuron 흡수실험에서 품종간 벼의 흡수량(吸收量)은 삼강벼보다 상풍벼에서 많았으며 전반적으로 25/$20^{\circ}C$ 보다는 30/$25^{\circ}C$에서 흡수량이 많았다. 잡초의 흡수량은 올미, 너도방동사니, 피 순으로 많아 올미와 너도방동사니에서 살초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고 온도간에 $^{14}C$-bensulfuron의 흡수량은 차이가 적었다. 2. 이행율(移行率)은 벼의 경우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풍벼에서 높았으며 25/$20^{\circ}C$ 보다 30/$25^{\circ}C$에서 더 높은 경향이었다. 잡초는 너도방동사니, 올미, 피 순으로 이행율이 높았으며 3초종 모두 30/$25^{\circ}C$에서 이행율이 높았다. 따라서 피에서는 이행량이 낮았기 때문에 내성을 보였고, 올미와 너도방동사니는 이행량이 높아 감수성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3. $^{14}C$-bensulfuron의 대사실험에서 식물체내에 남아있는 친화합물(親化合物)인 bensulfuron은 감수성인 상풍벼가 삼강벼보다 높았으며 잡초에서는 25/$20^{\circ}C$에서 내성을 보인 피가 가장 적었으며 올미와 너도방동사니는 높았으며 30/$25^{\circ}C$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따라서 벼 품종간의 선택성 차이는 식물체가 가지고 있는 불활성 대사능력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 생각되며 잡초에서의 살초성 작용기작은 bensulfuron 흡수량과 이행율이 관계된다고 생각되며 온도의 상승은 흡수 및 이행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약해(藥害)와 살초력(殺草力)을 증가시켰다고 사료된다.

  • PDF

벼에 의한 Sr-85의 흡수 축적 및 토양-작물체간 전이계수 (Absorption and Accumulation of Sr-85 by Rice(Oryza sativa L.) and Its Transfer Factor from Soil to Plant)

  • 장병춘;박무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4-188
    • /
    • 1997
  • 벼 품종간 Sr-85의 흡수와 작물체 부위별 분포, 그리고 토양으로부터 작물체로 전이되는 Sr-85의 전이계수를 조사하기 위하여 a/2000 pot에 사양토를 공시토양으로 하여 일품벼(만생종)와 오대벼(조생종)를 공시하고 건조토양 1g 당 Sr-85를 각각 무처리, 74Bg과 222Bq를 처리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확기에 일품벼와 오대벼의 Sr-85의 흡수율은 각각 0.39-0.43%, 0.66-0.73%로 오대벼의 흡수율은 전반적으로 일품벼보다 약 1.5배 많았다. 2. 토양으로부터 흡수된 Sr-85의 대부분은 볏짚과 왕겨에 축적되었으며 현미로 전류된 량은 약 1.3%에 불과 하였다. 3. 벼 부위별 Sr-85 농도는 Sr-85 처리량에 따라 높았으며 오대벼는 일품벼보다 모든 부위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4. 두 품종에서의 토양-식물체간 전이계수는 품종간 유의성은 없으나 현미 0.037과 볏짚 4.13의 범위였으며 부위별 전이계수는 볏짚>왕겨>현미 순으로 높았다. 5. 토양으로부터 흡수한 Sr-85는 벼의 생장과 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뿌리를 통하여 흡수된 Paraquat에 대한 잡초종(雜草種)들의 반응(反應) (Study on the Response of Weed Species to Paraquat Absorbed Through Root System)

  • 강병화;심상인;이상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2
    • /
    • 1995
  • 제초제(除草劑) paraquat는 대표적(代表的)인 비선택성(非選擇性) 제초제(除草劑)로서 식물체(植物體)내에서 광합성(光合成)의 전자(電子)흐름을 방해 하여 독성(毒性)을 나타낸다. 본(本) 실험(實驗)은 paraquat를 뿌리를 통해 흡수시킨 후 잡초종(雜草種)들의 반응(反應)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1. Paraquat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은 식물종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과 깊은 관계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일년생(一年生)보다는 다년생(多年生)이나 월년생식물(越年生植物)의 저항성(抵抗性)이 크게 나타났다. 2. 꿀풀과와 석죽과 십자화과의 식물들이 비교적 paraquat에 저항성(抵抗性)을 보였으며, 반면에 화본과의 식물들이 비교적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었다. 3 꿀풀과의 쥐깨풀은 강한 저항성을 나타냈고, 대부분의 종(種)이 감수성(感受性)을 보인 화본과와 국화과에 있어서도 참새피와 지칭게 등은 강한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냈다. 4. Paraquat는 발아(發芽)에도 영향을 주였으나, 발아(發芽)시기의 반응(反應)과 성식물(成植物)의 반응(反應)과는 일치하지 않는 경향이었다.

  • PDF

수생식물(水生植物)을 이용(利用)한 수질오염원제거(水質汚染源除去)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2보(第2報) 부레옥잠의 영양염류(營養鹽類) 및 중금속(重金屬) 제거효과(除去效果) (Studies on Removal of Water Pollutants by Aquatic Plants II. Removal of Water Polluted Nutrients and Heavy Metals by Water Hyacinth)

  • 이규승;김문규;변종영;이종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9-154
    • /
    • 1985
  • 열대성(熱帶性) 수생식물(水生植物)인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의 오염물질(汚染物質) 제거효율(除去效率)에 관한 실험(實驗)을 통해 나타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농도(初期濃度) 10, 25 및 50 ppm 용액(溶液)에 대해 처리(處理) 3일후(日後) 질산성질소(窒酸性窒素)는 0.7, 0.9 및 1.2ppm 그리고 인산염(燐酸鹽)은 0.1, 0.2 및 0.5ppm 으로 제거(除去)되었으며, 이러한 영양염류(營養鹽類)의 제거능력(除去能力)은 초기(初期)에서 더욱 높았다. 2. 중금속(重金屬)의 제거(除去)는 Cu, Pb에서 컸으며, 중금속(重金屬)에 의한 부레옥잠 피해는 Cu, C에서 심하였고, 식물체에 의한 중금속(重金屬) 제거경향(除去傾向)은 대상 중금속의 종류(種類)에 따라 서로 달랐다. 3. 식물체(植物體)로 흡수(吸收) 제거(除去)된 중금속량(重金屬量)은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많았고, 중금속별(重金屬別)로는 Cu, Pb, Cr, Cd의 순이었으며, 식물체내(植物體內)에서의 분포는 뿌리 부분에 많았다. 4. 부레옥잠 처리(處理) 10일후(日後)의 식물체내(植物體內)로의 중금속(重金屬) 흡수(吸收)와 뿌리에 흡착(吸着)은 모두 Cu와 Pb는 Cr과 Cd에 비하여 컸으며, 뿌리에의 흡착량(吸着量)은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많았고, 중금속별(重金屬別)로는 Cu, Pb, Cd, Cr 순(順)이었다.

  • PDF

가축분뇨 시용 토양에서 식물체의 축산용 항생물질 흡수양상 (Antibiotic Uptake by Plants from Soil Applied with Antibiotic-Treated Animal Manure)

  • 서영호;조병욱;강안석;정병찬;정영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66-470
    • /
    • 2010
  • 최근 축산용 항생제를 함유한 축산분뇨 퇴액비를 토양에 시용하였을 때 식물체가 항생제를 흡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유럽과 미국에서 발표되었다.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 타이로신, 설파메타진 등 3종의 항생제를 처리한 돈분 액비를 처리하고, 상추, 토마토, 헤어리베치 등 3종을 기른 다음 식물체의 항생제 함량을 분석하여 항생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 22.9 mg $L^{-1}$, 타이로신 27.8 mg $L^{-1}$, 설파메타진 32.4 mg $L^{-1}$ 수준의 항생제를 처리했을 때, 생체중 기준으로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은 3.4 ng $g^{-1}$ 이하, 타이로신 20.1 ng $g^{-1}$ 이하, 설파메타진은 20.9-63.3 ng $g^{-1}$가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