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조사

Search Result 6,45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of Halmibong(Mt.) and Gusibong(Mt.) located in Baekdu trail of Korea (백두대간 할미봉과 구시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 Park, Sam-Bong;An, Jong-Bin;Park, Jeong-Geun;Kim, Jin-Jung;Ha, Hyoun-Woo;Kim, Bong-Gyu;Choo, Gab-Chu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9 no.6
    • /
    • pp.819-841
    • /
    • 2015
  •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growing at Halmibong(1,026m) and Gusibong(1,014m) in Baekdutrail, we surveyed from March in 2013 to March in 2014. The flora of Haimibong and Gusibong in Baekdu trail were found to be; 528 taxa; 95 families, 287 genus, 454 species, 4 subspecies, 59 varieties, 11 forma. Rare plants were found to be; 15 taxa, 10 families, 14 genus, 13 species, 2 varieties. Among them EN degree was found to be 1 species(Rhododendron tschonoskii Maxim.), VU degree; 2 species(Scorzonera albicaulis Bunge, Lilium cernuum Kom.), LC degree; 12 species(Abies koreana Wilson,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Viola albida Palib. etc.) respectively. In all surveyed areas, a total of 15 taxa(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 Tamura etc.) were found to be endemic to Korea. Distribution of floristic special plants in the surveyed areas were found to be divided into five classes (class I~V).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found in surveyed areas were 2 taxa of grade V, 6 taxa of grade IV, 12 taxa of grade III, respectively.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nvestigated as 23 taxa; Rumex crispus L., Amorpha fruticosa L., Veronica arvensis L. etc..

낙동강수계의 하천유형별 식생 특성

  • Seong, Gi-Jun;Gang, Dae-Seok;Lee, Seok-Mo;Jeong, Yong-Hyeon;Yeo, 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50-452
    • /
    • 2007
  • 낙동강 중하류지역에 있어서 본류와 주요지천에 있어서의 환경특성과 식생현황을 조사하여 하천관리방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본류와 지류의 물리적 특성, 토지이용현황, 수질특성, 토양특성 및 식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하천에서 육역으로 갈수록 귀화식물의 유입이 많았는데, 같은 하천이라도 회천의 경우 강가보다 제방부근이 더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낙동강 본류의 매리나 물금지역이 낮게 나타나 귀화식물의 유입은 하천의 형태와 더불어 인간의 접근용이성에도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조사 대상 지역 중 서낙동강 습지와 묵정논 등 습지에서 수생식물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나, 이들 지역에 있어서 수생식물을 이용한 하천 수질정화에 있어서 습지의 조성 혹은 관리가 매우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조사지역에서의 비소와 크롬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 이상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와 같은 열약한 수변조건에서 강수시에 범람이나 침식으로 인하여 수체로 유입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변녹지의 확보가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MZ 155 Miles -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vironment and plant distribution - (DMZ 155마일 자연환경 및 식물분포특성연구)

  • Jung, Su-Young;Park, Jinsun;Bak, Gippeum;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Song, Jin-Heon;Yun, Ho-Geun;Jung, Ji-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5-25
    • /
    • 2019
  •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이후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DMZ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가 설정되었다. DMZ에 출입은 군사정전위원회의 허가가 있어야 가능하기에 군사시설 및 군작전지역을 포함하여 DMZ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은 민간인 접근의 제한으로, 단절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DMZ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동고서저의 지형 및 다양한 생태환경을 두루 갖추고 있어 중요한 생태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산림지역은 민간인통제지역까지 합치면 40여개의 산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하천은 크게 15개의 크고 작은 하천이 위치하고 있다. 남방한계선 수계를 따라 일부지역들은 하천 배후습지, 묵논습지 등 습원형태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런 습원지역들은 대부분 미확인 지뢰지대로 접근이 제한적인 만큼 지난 세월의 흔적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1965년 한국자연보존연구회는 30여명의 국내학자를 동원하여 서울에서 가까운 DMZ 인접지역에 대한 예비적인 학술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1966년 10월부터 1968년 9월까지 2년간에 걸쳐 한국자연보존위원회 34명의 국내학자와 미국 스미소니언연구소(Smithsonian Institution) H. K. Buechner 박사를 대표로 5명의 국외학자가 공동으로 종합적인 학술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는 DMZ 연구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남북관계나 시대여건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들이 이어져오고 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DMZ 철책주변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식물현황은 964분류군이다. 군시설로 인해 식물서식환경이 제한적인 상황이지만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식물은 다양하다. DMZ와 맞닿아 있는 7개 지역에 대한 식물현황은 철원 638분류군, 연천 631분류군, 양구 52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중동부 지역에 높은 식물종수가 나타났으며, 서부와 동부의 식물들이 고르게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큰잎쓴풀, 봉래꼬리풀 등 희귀식물도 있는 반면, 잠재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침입외래식물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양구지역에 새롭게 발견된 Macleaya cordata (Willd.) R.Br.(양귀비과)는 독성이 포함된 식물이며, 인제에서 2014년에 발견된 미역취아재비는 DMZ일원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종이였으나 현재 연천에서 발견되는 등 확산에 대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

The Vascular plants of Ganmu-bong(Inje, Gangwon) in the vicinity of the DMZ (DMZ 일원 간무봉(강원도 인제군)의 관속식물상)

  • Bak, Gippeum;Park, Jinsun;Hwang, Hee-Suk;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Song, Jin-Heon;Yoon, Ho-Geun;Jung, Ji-Young;Kim, Il-Kwon;Jung, Su-Young;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72-72
    • /
    • 2019
  • 간무봉(555.8m)은 강원도 인제군 남면에 위치하고 있다. 북한강의 지류인 소양강으로 대부분 둘러싸여 있으며 북서쪽에 봉화산(874.4m), 북동쪽에 기룡산(940.4m)과 이어진다. 현재까지 간무봉을 대상으로 한 식물상 조사 이력은 없었으나, DMZ 일원에 위치하는 산이기 때문에 DMZ의 식물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보전하고 탐색하는 의미가 있다. 현지조사는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6회 수행하였다. 간무봉에는 굴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형태였으며, 조사 결과 관속식물은 73과 175속 211종 3아종 27변종 4품종으로 총 24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그 중 양치식물은 고비, 고사리삼, 십자고사리, 퍼진고사리 4분류군이고, 나자식물은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2분류군, 피자식물은 노랑제비꽃, 은방울꽃, 꽃향유 등 205분류군이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494분류군(국립수목원, 2016)의 5.45%에 해당한다. 간무봉에서 확인한 특산식물은 진범, 할미밀망, 갈퀴아재비, 병꽃나무 등 6 분류군이며, 희귀식물은 미치광이풀(LC), 말나리(LC) 2 분류군 이외에 VU 이상에 해당하는 희귀식물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침입외래식물(국립수목원, 2016)의 경우 미국자리공, 수박풀, 미국쑥부쟁이, 단풍잎돼지풀 등 17 분류군이었다. 간무봉 주변에는 경작지, 군부대 훈련장소 등이 있으며, 서쪽 사면은 이미 벌목이 많이 된 상태이며, 북동쪽도 마을과 더불어 경작지로 개간되어 있다. 따라서 주변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위적인 간섭이 많은 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이미 유입된 단풍잎돼지풀 등 생태계교란종에 의한 변화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 PDF

Floristic Study of Woraksan National Park in Korea (월악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 Jang, Chang-Seok;Yang, Sun-Gyu;Jang, Hyun-Do;Lee, Ro-Young;Park, Min-Su;Kim, Ki-Hong;Oh, Byoung-U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8 no.1
    • /
    • pp.35-63
    • /
    • 2015
  • A floristic,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2005 to October 2012 the Woraksan National Park (N $36^{\circ}46^{\prime}{\sim}36^{\circ}59^{\prime}$, E $128^{\circ}02^{\prime}{\sim}128^{\circ}19^{\prime}$) to characterize the flora of the region. Especially, we divided the surveyed region into nine representative collection areas based on floristic compon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s field study discovered significant plants in various categories. The 41 surveys revealed that the vascular plants in this region comprised 815 taxa: 116 families, 429 genera, 717 species, 4 subspecies, 78 varieties and 16 forms. In this study, 80 taxa were firstly recorded from this region.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22 taxa, and the fifteen taxa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n Forest Service as were found in this region. The taxa in the category II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and the taxa with the higher rank than the third degree among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one and 56, respectively.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limited distributions of Matteuccia struthiopteris, Spiraea trichocarpa, and Aster tataricus at a latitudes higher than that of Woraksan National Park. Moreover,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the Woraksan National Park is the species diversity center for Asarum koreanum, Elsholtzia angustifolia, and Allium linearifolium in the central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Inaddition, the naturalized plants of 54 taxa were recorded.

The Flora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Mt. Cheongok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 Byun, Jun-Gi;Shin, Jae-Kwon;Kim, Ju-Yeong;Choi, Seung-ho;Kim, Dong-Kap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46-46
    • /
    • 2018
  • 본 연구는 봉화군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청옥산 보호구역은 산림청에서 '희귀식물자생지' 유형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면적은 약 2,051ha에 달하며 주로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이 우점하고있다. 현지조사는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계절별로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보호구역내 관속식물은 86과 258속 390종 4아종 54변종 6품종으로 총 454분류군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가야물봉선, 처녀치마, 할미밀망, 키버들 등 11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취약종(VU)에 주목, 백작약, 꼬리진달래 3분류군, 약관심종(LC)에 등칡, 도깨비부채, 정향나무, 말나리, 나도개감채 등 14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IV등급인 회리바람꽃, 가지괭이눈, 산겨릅나무, 귀박쥐나물 등 10분류군, III등급인 애기감둥사초, 중나리, 토현삼, 선갈퀴, 금강제비꽃, 노랑갈퀴, 분비나무 등 23분류군, II등급 32분류군, I등급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오리새, 털별꽃아재비, 왕포아풀, 주걱개망초, 지느러미엉겅퀴, 족제비싸리 등 18분류군이 임도 주변에서 확인되었다. 조사된 관속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181분류군, 섬유용식물 6분류군, 약용식물 143분류군, 관상용식물 52분류군, 사료용식물 172분류군, 염료용식물 9분류군, 목재용식물 22분류군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Floristic Study of the Economic Plants in Mt. Gangcheon(Sunchang-gun Jeollabuk- do) (강천산(전북.순창)의 자원식물상 연구)

  • Kim, Jung-Hyun;Yoon, Chang-You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0 no.5
    • /
    • pp.409-423
    • /
    • 2007
  • The flora and the useful economic plants of Mt. Gangcheon was investigated from March to November, 2005. Vascular plants of this area consisted of total 379 taxa; 6 forms, 45 varieties, 328 species, 253 genera, 97 families. It corresponds to 9.31% of totally 4,071 taxa distributed in Korea. The useful plants of this area were 315 taxa. It corresponds to 83.1% of collected plants in this area. Among the useful plants, there were 161 taxa of edible source, 121 taxa of pastural source, 147 taxa of medicinal source, 82 taxa of ornamental source, 11 taxa of timber source, 14 taxa of industrial source. Korean endemic plants were composed of 16 taxa - 14 families, 16 genera, 12 species, 3 varieties, 1 forma. It corresponded to 4.2% of collected materials. The floristic specialized species of $III{\sim}V$ grades were 9 taxa, it correspond to 2.3% of collected material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5 taxa, it corresponded to 6.7% of 225 taxa distributed in Korea.

Ecological Studies on the Changes of Community of Naturalized Plants in Limja Island, Shinan Gun (신안군 임자도의 귀화식물 분포 변화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 Kim, Ha-So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9 no.5
    • /
    • pp.586-591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lora and the main vegeta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 of distribution in Limja Island, South Korea from 1999 to July, 2005. Flora of naturalized plants in surveyed site were the 1st survey 1999 year, 14 families 45 taxa, the 2nd survey 2005 year, total 14 families 54 taxa including 53 species 1 variety. which new 9 taxa included as Eragrostis curvula, Festuca myuros, Panicum dichotomiflorum, Atriplex hastata, Abutilon avicennae, Aster subulatus, Coreopsis lanceolata, Cosmos sulphureus, Cerastium glomeratum, etc. By the community table, the main vegetation communities in the surveyed sites were classified as Phytolacca americana, Rumux crispus, Bromus catharticus, Erigeron annuus - Erigeron canadensis, Oenothera odorata, Paspalum distichum, Festuca myuros, Cosmos sulphureus community. it is believed that the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have increased compared to other areas due to their close location to the living habitation.

Field Survey of River Environment at River Basin of Cheongmi-Cheon (청미천 유역의 하천환경 조사 - 2008년 식생 및 어류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

  • Kim, Jin-Hong;Jeong, Sun-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84-198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식생 및 어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청미천 유역의 본류에 대한 하천 수변환경을 평가하였다. 하천 식생은 홍수 전과 후로 구분하여 2회 조사하였다. 식생 조사는 Braun-Blanque의 조사 방법에 따라 표본구 내의 출현식물에 대해 조사하였고 표본구 면적은 자생지 주변의 특징과 형성된 군락의 최소면적에 근거하여 $2{\ast}2m^2$ 결정하였다. 1, 2차 조사 결과 공히 국화과 식물이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식물이 많이 출현하였다. 청미천 조사구간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은 21개과 38종이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국화과 7종과 벼과 5종, 콩과 4종으로 출현종이 많이 조사되었다. 화봉천 합류점에서는 총 123마리를 포획하여 동종 분류한 결과 1개과 3개아과 7개종이 출현하였다. 1지점의 경우 출현어종은 모두 잉어과로 피라미가 48%로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었다. 죽산천 합류지점에서는 총 83마리를 포획하였으며, 출현어종은 1개과 2개아과 7개종의 어류이며 그중 붕어와 피라미가 각각 31%와 23%로 우점하고 있었다. 청미천 조사구간의 출현어종의 개체수를 보면 피라미 68.5%, 붕어 44.3%, 떡붕어 18.1%, 모래무지 14.3%, 왜매치 14.1%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타 출현어종은 대부분 4% 내외로 피라미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 PDF

The Flora of Three Eastern Mountains(Susdolbong(Mt.), Seongjubong(Mt.), Sulibong(Mt.)) of Paroho Lake in Yanggu-gun, Korea (강원도 양구군 파로호 동부 3개 산지(숫돌봉, 성주봉, 수리봉)의 관속식물상)

  • Song, Jin-Heon;Shin, Hyun-Tak;Yun, Ho-Geun;Kim, Sang-J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5 no.1
    • /
    • pp.1-23
    • /
    • 2021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flora at Mt. susdolbon(508m), Mt. seongjubong (625.3m), and Mt. sulibong(596.2m), located in Yanggu-gun, Gangwon-do. A total of 403 taxa, including 6 forms, 43 varieties, 4 subspecies, 350 species, 255 genera, and 84 families, were surveyed in the three mountain areas. 18 taxa from 5 families of ferns, 3 taxa from 1 family of gymnosperms, and the dicotyledonous plants as 302 taxa from 69 families of the dicotyledonous plants were identified. The remarkable plants included 11 taxa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Populus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Cimicifuga heracleifolia, Aconitum pseudolaeve, Clematis trichotoma, Echinosophora koreensis, Vicia chosenensis, Salvia chanryoenica,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were 4 taxa, including Echinosophora koreensis as endangered species (EC), Cimicifuga heracleifolia, Epimedium koreanum, and Lilium cernuum. The Least Concern species (LC) were 13 taxa, including Persicaria orientalis, Exochorda serratifolia, Viola diamantiaca, Lithospermum erythrorhizon, and Trigonotis icumae.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28 taxa, including Persicaria orientalis, Rumex crispus, Phytolacca americana, Cerastium glomeratum, Chenopodium album, Chenopodium ficifolium, Amorpha fruticosa, Robinia pseudoacacia, Trifolium pratense, Trifolium repens, Oxalis dillenii, Euphorbia supina, and Oenothera biennis, accounting for 6.9 percent of the 403 taxa of the surveyed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