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약재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초

본초강목(本草綱目) 채부(菜部)에 수재된 본초(本草)의 분류(分類) (Classification of Herbs in Vegetable Part, Pen-tsao-kang-mu(Bon-cho-kang-mok))

  • 성정숙;문성기;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66-374
    • /
    • 2002
  • 수입 한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한 논란으로 야기된 사회문제 해결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초강목에 수록된 약재의 기원식물을 찾아 Engler 체계에 따라 정리하였다. 1. 본 연구의 자료는 본초강목에서 식물성 약재를 다루고 있는 초부, 곡부, 채부, 과부, 목부 중에서 채부에 수재된 약재 158 품목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채부에 수재된 158 품목 중 기원식물을 확인한 것은 139 품목으로 이를 Engler 분류체계로 정리한 결과, 8문 10강 6아강 31목 22아목 52과 85속 99종 12변종 2품종 총 113 종류의 식물로 기록되었다. 3. 113 종류의 식물을 문별로 비교해 보면 피자식물문이 전체의 80.70 %(92종류), 균문이 10.53 %(12종류) 홍조식물문이 3.51 %(4종류), 양치식물문이 1.75%(2종류)였으며, 남조식물문, 녹조식물문, 지의식물문, 나자식물문이 각각 0.88 %(1종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채부에 수재된 158 품목 중 19 품목은 그 기원을 확인할 수 없었다. 5. 동의보감 탕액편과 방약합편에서 다루는 약재의 품목과 기원식물의 학명을 비교하여 표4에 정리하였다.

한국생약보-제265호 (THE HANKOOK-SAENGYARK BO)

  • 한국생약협회
    • 한국생약보
    • /
    • 265호
    • /
    • pp.1-8
    • /
    • 2006
  • 고품질 약재 생산관리체계 구축 약용작물 자조금조성사업 추진/GAP는 국산약재 차별화 방안/2007년부터 국산한약재도 정밀검사 실시/완도군, '약산 생약초 테마파크' 조성/잔류농약허용기준 37종 추가 신설/당귀 강활등 국산약재 생산량 감소로 상보합세 유통실명제 영향 산지에서 국산 '가수요' 늘어/중국약재 시장동향/집중분석-약용작물 GAP 문제점과 과제//GAP 약용작물 취급 판매하려면 반드시 생산이력추적관리 등록해야/우수농산물 인증 및 관리절차/천연물 의약품 시장 무궁한 발전 가능성 분야/전북농기원 오미자 음료 개발/국내 자생식물 '매초향' 에서 동맥경화 억제 천연물질 개발/신령버섯 봉지재배법 나왔다/무성번식 삽목법으로 우량품종 대량증식 보급/협회장 동정/'인삼.약초대전' 이모저모/약초이야기/국산한약재-소매시세표

  • PDF

본초강목(本草綱目) 곡부(穀部)에 수록된 본초(本草)의 분류(分類) (Classification of Herbs in Grain Part, Pen-tsao-kang-mu(Bon-cho-kang-mok))

  • 성정숙;문성기;박춘근;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8-67
    • /
    • 2002
  • 수입 한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한 논란으로 야기된 사회문제 해결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초강목에 수록된 약재의 기원식물을 찾아 Engler 체계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본초강목에서 식물성 약재를 다루고 있는 초부, 곡부, 채부, 과부, 목부 중에서 곡부에 수록된 약재 210 품목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편의상 각 품목마다 임의의 번호를 부여하였다. 210 품목 중 기원식물을 정립한 것은 193 품목으로 이를 Engler 분류체계로 정리한 결과, 4문 5강 3아강 28목 17아목 46과 95속 100종 11변종 1품종으로 총 112종류의 식물로 정리되었다. 112종류의 식물을 문별로 비교해 보면 Angiospermae가 107종류로 95.53%, Gymnospermae가 3종류로 2.70%, Phaeophyta와 Fungi가 각각 1종류로 0.9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0 품목중 사별반(祀鼈飯)을 포함한 17 품목은 그 기원을 정립할 수 없었다.

당귀의 해부형태학적 특징에 따른 기원판별 (Discrimination of Angelicae Radix Based on Anatomical Characters)

  • 성정숙;방경환;박충헌;박춘근;유홍섭;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7-72
    • /
    • 2004
  • 당귀류 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해 해부형태적 특징을 관찰하고, 이를 통하여 당귀 기원 및 국내유통 당귀류 약재의 판별에 이용코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원식물 뿌리의 해부형태특징은 정상 2기생장, 주피발달, 유세포내 전분함유 등이 공통점이었고, 후각세포층은 참당귀와 왜당귀에서 관찰되었으며 피층의 유실분포는 참당귀와 중국당귀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참당귀에서만 속성후벽세포가 다량 관찰되었다. 잎의 표피세포는 중국당귀가 가장 컸으며 세포표면의 형태는 참당귀와 중국당귀는 거친 주름이져 있었고, 왜당귀는 완만한 굴곡이 관찰되었다. 3종의 기공은 모두 불규칙형 부세포를 가지고 있었고 참당귀가 $mm^2$당 600개 이상으로 가장 많은 기공이 분포하고 있었다. 모용은 참당귀에서만 원뿔형으로 관찰되었다. 엽병은 3종식물에서 모두 유조직이 잘 발달된 형태였고 환상으로 병립유관속이 발달하고 있었다. 국내 유통 당귀류 약재의 판별에 있어서 해부형태적 특징을 정리하여 간단한 동정 KEY를 적용하여 만든 검색표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다. 검색표를 이용하여 전국 7개 지점에서 수집한 약재를 판별한 결과, 당귀 (국산) 또는 토당귀로 유통되는 약재는 참당귀 (A. gigas)로 동정되었고, 일당귀로 유통되는 약재는 왜당귀(A. acutiloba)로 동정되었다. 중국당귀는 현재 시중 유통되지 않고 있으며 본연구에서 사용된 약재 중국당귀는 중국 현지에서 직접 구입해 온 것으로 중국당귀 (A. sinensis)의 뿌리와 동일한 횡단면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현재 국내 유통되는 당귀류 약재는 (토)당귀의 경우는 KP에서 규정하는 것과 동일기원이었으며, 일당귀는 일본약국방(JP,2001)에서 규정하는 것과 동일한 기원으로 당귀류 유통약재의 기원상에 오류는 없었다.

기술개발성공사례 - (주)마이크로프랜츠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2권7호통권362호
    • /
    • pp.78-79
    • /
    • 1999
  • 유전공학기법으로 산삼이나 가시오갈피 등 약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주)마이크로프랜츠는 주목받는 벤처기업이다. 전주에 있는 이 기업은 생약제재의 종자에서 분리한 세포를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증식된 세포들을 체세포배 발생 과정을 거친 결과 뿌리와 잎을 갖춘 유식물체(싹이 튼 식물체)를 얻는데 성공했다. 이러한 조직배양 방법은 완전 무공해 약재를 생산할 수 있고 6년 걸리는 자연재배를 3개월이며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 PDF

방향성(芳香性) 전통(傳統) 약용식물자원(藥用資源植物)의 개발(開發)과 이용(利用)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Medicinal Resources Herb Plants used Through the Ages in Korea)

  • 변재면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7권1호
    • /
    • pp.193-208
    • /
    • 2000
  • 이 연구는 우리 나라에 자생하고 있거나 도입재배되고 있는 식물 중 향료 및 약료적 이용성을 함께 지닌 자원식물종을 조사하여 이들 식물종에 대한 체계적 ${\cdot}$ 종합적인 연구를 위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변과 박$^{1)}$, 1999)에서 조사 ${\cdot}$ 분류하였던 우리 나라에 분포하고 있거나 또는 재배되고 있는 식물 중 향료자원화의 가능성이 있다고 조사된 방향성식물 초 69과(科), 1039종(種)을 중심으로 동의보감 등의 고문헌에 약재로 제시된 자원식물과 한방 상용약에 가용할 수 있는 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방향성식물종을 비교 ${\cdot}$ 검토하는 한편 이들 방향성식물의 생활요품 및 식향, 조리용, 약료로서의 이용성도 함께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우리 나라에 서식 또는 재배되고 있는 향료식물 중 전통의약물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식물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주요한 한방 상용약의 재료로 대부분 가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식물이 함유하고 있는 방향성물질과 인체에 미치는 약리적 효과는 상관관계가 매우 깊은 것으로 보여지며, 그와 관련된 보다 심도 있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