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분류학회

Search Result 2,35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Flora of Mt. Choejeong (Daegu) (최정산(대구)의 관속식물상 연구)

  • Jun, Minji;Lee, Eunmi;Park, Sunmi;Bae, Jongwu;Na, Myeongwu;Hwang, Youjin;Choi, SuMi;Park, SeonJoo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2 no.2
    • /
    • pp.170-200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Mt. Choejeong in Gachang-myeon, Daegu. From March 2017 to October 2018, a total of 22 studies were conducted. The vascular plants surveyed were grouped into 560 taxa, including 104 families, 297 genera, 495 species, 4 subspecies, 51 varieties and 10 forma. Endemic plants 15 taxa, Rare plants 5 taxa, Red list plants 5 taxa,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54 taxa, Naturalized plants 36 taxa were recorded. Among surveyed 560 taxa, edible, medicinal, ornamental, timber, pasturing, industrial and fiber plants included 246 taxa (29.2%), 228 taxa (27.1%), 164 taxa (19.5%), 61 taxa (7.2%), 13 taxa (1.5%), and 8 taxa (0.9%). And because people are coming and going more frequently than in the past, this will result in more frequent influx of naturalized plants and a threat to the habitat of the plants that are currently growing.

Flora of Samdasoo traking course in Jeju-do (삼다수 숲길의 식물상)

  • Jeong, Jun-Ho;Lee, Sunhee;Moon, Sung-Pil;Yoon, Suk-Jin;Kim, Ji Young;Song, Gwanp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55-55
    • /
    • 2018
  • 한라산 동부지역에 위치한 삼다수 숲길은 삼나무, 편백나무, 곰솔림과 낙엽활엽수림으로 이루어진 숲이다. 현재 삼다수 숲길이 조성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식물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실정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여 관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8년 03월부터 2018년 08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삼다수 숲길에 생육하는 관속식물은 86과 183속 255종 11변종 4품종의 총 27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양치식물 12과 18속 30종 1변종 31분류군, 나자식물 2과 3속 3종 3분류군, 피자식물 72과 162속 222종 10변종 4품종으로 쌍자엽식물 64과 129속 176종 9변종 3품종 188분류군, 단자엽식물 8과 33속 46종 1변종 1품종 48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5종, 제주특산식물 3종 외래식물이 13종 채집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5등급 3종, 4등급 11종, 3등급 23종, 2등급 12종, 1등급 26종 총 75종이 발견되었다. 국가 적색목록 식물은 위기(EN) 1분류군, 준위협(NT) 3분류군, 관심대상(LC) 4분류군, 미평가(NE)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식물들의 휴면형은 H형이 62분류군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MM형 40분류군, M형 31분류군, N형 29분류군, E형 3분류군, Ch형 22분류군, G형 51분류군, HH형 4분류군, Th형 2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지하기관형은 R1 2분류군, R2 23분류군, R3 71분류군, R4 18분류군, R5 156분류군으로 R5가 57.85로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다. 산포기관형은 D4가 47.4%로 가장 높은 비율이였으며, 생육형(Growth form)은 직립형(e)이 53%로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 하였다.

  • PDF

The Flora of Mt. Munsu in Bonghwa-gun (봉화군 문수산의 식물상)

  • Byeon, Jun Gi;Lee, Dong Hyuk;Heo, Tae Im;Lee, Jun Woo;Park, Byeong Joo;Kim, Seong Bin;Shin, Jae Kwon;Kim, Dong Kap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25-25
    • /
    • 2018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문수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2010년 3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계절별 출현식물을 대상으로 총 12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 내 관속식물은 85과 241속 372종 5아종 58변종 7품종으로 총 442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경상북도 관속식물 1,684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6)의 26.2%, 한반도 관속식물 4,499 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8; Http://www.nature.go.kr/kpni/)의 9.8%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수산 일대의 한국특산식물은 12분류군(세잎승마,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노랑갈퀴, 고려엉겅퀴 등),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VU등급(주목, 백작약, 꼬리진달래 등) 5분류군, LC등급(쥐방울덩굴, 도깨비부채, 태백제비꽃, 꽃개회나무 등) 10분류군으로 총 1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등급 2분류군,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16분류군, II등급 25분류군, I등급 30분류군, 외래식물은 서양벌노랑이, 토끼풀, 달맞이꽃, 미국가막사리, 개망초, 주걱개망초, 털별꽃아재비, 서양민들레, 오리새, 큰김의털 등 10분류군으로 도시화지수(%) 3.1%, 귀화율은 2.3%에 해당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338분류군(76.5%), 섬유용식물 3분류군(0.7%), 약용식물 75분류군(17.0%), 관상용식물 21분류군(4.8%), 목초용식물 95분류군(21.5%) 목재용식물 16분류군(3.6%) 등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가 봉화군 문수산 일대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The Flora of Mt. Gakhwasan Adjacent to the Baekdudaegan (백두대간에 인접한 각화산 일대의 식물 분포 연구)

  • Byeon, Jun Gi;Heo, Tae Im;Lee, Dong Hyuk;Lee, Jun Woo;Park, Byeong Joo;Kim, Yeong-Su;Kim, Hyun Tak;Shin, Seung Tae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44-44
    • /
    • 2018
  •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각화산(1,177m)은 태백산맥에서 소백산맥으로 갈라지는 기점을 이루는 산으로 구령산, 청옥산, 옥석산 등과 함께 백두대간 일대의 중요한 산으로 인식된다. 특히 각화산은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했던 태백산 사고지터(사적 제 348호)를 품고 있는 역사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각화산 일대 관속식물의 분포상을 파악하고자 2017년 5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조사지 내 관속식물은 92과 291속 413종 4아종 38변종 6품종으로 총 46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경상북도 관속식물 1,684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6)의 27.4%, 한반도 관속식물 4,499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8; Http://www.nature.go.kr/kpni/)의 10.2%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화산 일대의 주요 식물 가운데 한국특산식물은 12분류군(할미밀망, 진범, 처녀치마, 지리대사초 등)이 확인되었고,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VU등급(꼬리진달래, 노랑무늬붓꽃) 2분류군, LC등급(너도바람꽃, 쥐방울덩굴, 도깨비부채) 3분류군으로 총 5분류군의 희귀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13분류군, II등급 21분류군, I 등급 2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외래식물은 총 24분류군으로 도시화지수(%) 6.8%, 귀화율은 5.2%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된 식물의 유용성 분석 결과, 식용식물 348분류군(75.5%), 섬유용식물 1분류군(0.2%), 약용식물 기분류군(15.4%), 관상용식물 18분류군(3.9%), 목초용식물 102분류군(22.1%) 목재용식물 14분류군(3.0%) 등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물은 각화산의 식물 현황을 제시함과 동시에 생태축으로 연결된 백두대간 일대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The Vascular Plants of Apsan Park in Daegu, Korea (대구 앞산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 Jang, Geong Gul;Yoo, Sung Tae;Kim, Byung Do;Yi, Myung Hoon;Lim, Yu Hyun;Kim, Hye Yeong;Heo, Dong Hyeok;Park, Hyeon Ho;Baek, Jin Yeong;Kwon, Hye Y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26-26
    • /
    • 2019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앞산공원 일대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8년 4월 13일부터 2019년 9월 17일까지 총 38회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고, 확인한 관속식물은 109과 338속 523종 65변종 10품종 5아종 5교잡종 3재배품종을 포함하여 총 61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 중 산림청 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은 28분류군(멸종위기종(CR) 왕벚나무(식재), 위기종(EN) 깽깽이풀 등 4분류군, 취약종(VU) 멱쇠채 등 8분류군, 약관심종(LC) 측백나무 등 11분류군 및 자료부족종(DD) 김의털아재비 등 4분류군), 국립수목원 지정 특산식물은 좀비비추, 노랑갈퀴, 산앵도나무 등 12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67분류군(V등급 깽깽이풀과 왕벚나무 2분류군, IV등근 비술나무 등 4분류군, III등급 음양고비 등 16분류군, II등급 큰참나물 등 3분류군, I등급 거미고사리 등 42분류군), 귀화식물은 오리새 등 42분류군을 확인하였다. 도시화지수 및 귀화율은 각각 13.08%, 6.89%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 평균 귀화율보다 다소 낮은 수치이다. 선행연구와의 목록 비교 결과 210분류군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약 30년간 연구대상지의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과 그간 식물의 오동정, 다양한 식물의 유입 및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짐에 따른 귀화식물의 유입 등 다양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1,00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앞산공원 일대 주요 희귀식물의 서식처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hwang (Gyeongsangnam-do) (천황산 지역(경남)의 관속식물상)

  • Ko, Sung Chul;Choi, Doo Sub;Son, Dong Chan;Park, Beom Kyun;Kim, Tae Hoo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3 no.2
    • /
    • pp.146-160
    • /
    • 2013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Mt. Cheonhwang, located at Miryang-si, Gyeongsangnam-do Province, was surveyed 16 times from March, 2009 to September, 2011. The result of this survey revealed 442 taxa in total, comprising 90 families, 252 genera, 387 species, 3 subspecies, 43 varieties, and 9 forms. Among the flora of this area, 14 taxa were plants endemic to Korea and 11 taxa were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Kore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59 taxa: 2 taxa of grade V, 5 taxa of grade IV, 15 taxa of grade III, 16 taxa of grade II and 21 taxa of grade I. Alien plants in Korea numbered 21 taxa. In addition, 442 taxa were categorized by usage into 8 groups, as follows: 163 edible, 6 fiber, 125 medical, 76 ornamental, 163 pasturing, 4 industrial, 9 dyeing and 21 timber plants.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f Oeumsan Mountain (Hongcheon-gun and Hoengseong-gun, Gangwon-do) (오음산(강원, 홍천 및 횡성)의 관속식물상)

  • KIM, Kyung-Ah;CHEON, Kyeong-Sik;YOO, Ki-Ou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8 no.1
    • /
    • pp.48-64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Oeumsan Mountain (Hongcheon-gun and Hoengseong-gun, Gangwon-do) from March of 2016 to September of 2017.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into 509 taxa, including 98 families, 301 genera, 436 species, 4 subspecies, 57 varieties and 12 forms. Among the 509 investigated taxa, 9 Korean endemic, 1 endangered plant, 8 rare plants and 57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were also included. The naturalized plants encompassed 35 taxa.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plants species and the urbanization index were estimated to be 6.9% and 10.9%, respectively.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Eung-bong (Hwacheon-gun, Gangwon-do) (응봉 일대(강원도 화천군)의 관속식물상)

  • Hwang, Hee Suk;Kim, Sang Jun;Shin, Hyun Tak;Jung, Su Young;An, Jong Bin;Bak, Gi Ppeum;Park, Jin Sun;Kim, Hee Cha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29-2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화천군 응봉 일대의 중심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64과 162속 222종 3아종 15변종 2품종으로 총 24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6과 10분류군, 나자식물 1과 2분류군, 쌍자엽식물이 52과 200분류군, 단자엽식물이 5과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로는 특산식물은 진범(Aconitum pseudolaeve), 무늬족도리풀(Asarum versicolor), 각시서덜취(Saussurea macrolepis) 등 10과 13분류군, 희귀식물은 관심대상종(Least Concern)인 홀아비바람꽃(Anemone koraiensis), 세잎종덩굴(Clematis koreana),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등 14분류군, 취약종(Vuinerable)인 백작약(Paeonia japonica), 멱쇠채(Scorzonera austriaca subsp. glabra) 등 3분류군,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인 닻꽃(Halenia corniculata) 등 2분류군으로 총 2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 미국가막사리(Bidens frondosa), 주걱개망초(Erigeron strigosus) 등 4과 1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산림청에서 지정한 특별산림보호대상종으로는 왕벚나무(Prunus yedoensis)와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이 조사되었다. 유용식물로는 용도를 모르는 52분류군(21.5%)을 제외하면 190분류군(78.5%)이 자원식물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해 보면 식용 93분류군(38.4%), 섬유용 3분류군(1.2%), 약용 67분류군(27.7%), 관상용 45분류군(18.6%), 사료용 77분류군(31.8%), 산업용 1분류군(0.4%), 염료용 3분류군(1.2%), 목재용 12분류군(5.0%)으로 조사되었다.

  • PDF

Floristic Study of the Freshwater Plants in Taean Peninsula - Focusing on Aquatic and Wetland Plants - (태안반도의 담수식물상(수생 및 수변식물을 중심으로))

  • Jeong-Ki Hong;Kyoung-Su Choi;Hee-Hyeok Kang;Nae-Kyu Park;Hwang Yo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6 no.5
    • /
    • pp.469-489
    • /
    • 2023
  • Six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at 29 locations from April 2020 to April 2022 to identify the freshwater flora of the Taean Peninsula. Based on the collected specimens, the vascular plants of the Taean Peninsula were summarized as 391 taxa: 94 families, 248 genera, 362 species, 5 subspecies, and 24 varieties. Freshwater plants in the Taean Peninsula consisted of 104 taxa, 45 taxa for aquatic plants, and 59 taxa for wetland plants. When classified by life history, annuals accounted for 33 taxa, winter annuals 5 taxa, biennial 6 taxa, and perennials accounted for most of the 60 taxa. Among the 391 identified taxa, 2 taxa of Endangered plants, 3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5 taxa of IUCN red list plants, 49 taxa of Korean floristic target plants, 38 taxa of biological resources subject to the approval of outbound transfer, 55 taxa alien plants and 7 taxa of ecosystem disturbing pl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on the freshwater environment and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in the Taean Peninsula.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Baekdudaegan Mountains (Gitdaebaegibong~Mt. Cheonghwasan) (백두대간(깃대배기봉~청화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Oh, Hyun-Kyung;You, Ju-H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2 no.1
    • /
    • pp.1-2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forest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from Gitdaebaegibong to Cheonghwasan in Baekdudaegan Mountai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in the whole survey section were summarized as 771 taxa including 103 families, 379 genera, 623 species, 4 subspecies, 121 varieties and 23 forms. There were 377 taxa in A-section, 395 taxa in B-section, 278 taxa in C-section, 325 taxa in D-section, 534 taxa in E-section, and 406 taxa in F-section. The rare plants were 32 taxa including Megaleranthis saniculifolia, Rodgersia podophylla, Iris ensata var. spontanea, and Gastrodia elata. In IUCN Red List categories, there were 1 taxon of CR, EN, and DD each, 11 taxa of the VU, and 18 taxa of the LC.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26 taxa including Asarum versicolor, Clematis fusca var. coreana, Vicia chosenensis, Stewartia pseudocamellia, Carex okamotoi, and Luzula sudetica var. nipponica.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43 taxa including 3 taxa of grade V, 12 taxa of grade IV, 41 taxa of grade III, 42 taxa of grade II, and 45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1 taxa including Rumex crispus, Ailanthus altissima, Erechtites hieracifolia, Erigeron annuus, and Poa pratensis.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Rumex acetocella,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ster pilosus. The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43 taxa including 14 taxa of endemic plants, 2 taxa of southern plants, and 27 taxa of northern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