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물병원균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28초

식물병원균 Bipolaris sorokiniana로부터 제초활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결정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Phytotoxins from a Phytopathogenic Fungus Bipolaris sorokiniana)

  • 임치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2호
    • /
    • pp.91-97
    • /
    • 2002
  • 식물병원균 Bipolaris sorokiniana 배양 추출물로부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및 논피의 유근신장을 억제하는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각종 기기분석을 통하여 화학구조를 결정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은 분자식이 $C_8H_8O_3$인 benzenoid 화합물인 3-methoxybenzoic acid와 3-hydroxy benzoic acid methyl ester로 숙주식물의 유근신장을 1000ppm에서 90% 이상 저해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식물체의 잎과 줄기에서 분리되어 항균활성 및 항류마티스 활성이 있음이 보고된바 있으나 B. sorokiniana로부터 분리되어 제초활성에 관하여 보고하기는 본 논문이 처음이다.

  • PDF

Erwinia rhapontici의 Pectate Lyase를 유도하는 식물 세포벽 (Plant Cell Wall as an Inducer of Pectate Lyase of Erwinia rhapontice)

  • 최재을;한광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9-131
    • /
    • 1996
  • Pecatate lyase(Pel)는 펙틴과 펙틴산을 분해하며, 기주식물의 감염에 관여한다. Erwinia rhapontici에 있어서 기주와 병원균이 병원성과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pectate lyase(Pel) 활성에 미치는 식물체 추출물과 세포벽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균은 glycerol이 포함된 minimal salts(MSG) 배지와 식물체 추출물이 첨가된 MSP 배지에서는 Pel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배추, 상추 잎, 감자 괴경, 셀러리 잎자루, 양파 인경, 당근 뿌리의 세포벽이 첨가된 MSP 배지에서는 Pel의 활성이 검출되었다. Pel을 유도하는 식물 인자는 불용성이고, 열처리에 불안전하였다.

  • PDF

감나무 탄저병균(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의 월동 전염원 조사 (Survey of Overwintering Inoculum Potential of Anthracnose of Sweet Persimmon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 권진혁;정선기;정부근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204-206
    • /
    • 2007
  • 2006년에서 2007년까지 2년간 자연상태에서 월동후 식물체 부위별 단감 탄저병의 병원균 분리비율을 조사하기 위해 병든 가지의 병반과 눈, 죽은 가지, 잎자루, 잎, 건전한 가지와 눈, 월동한 과실 등에서 조사를 하였다. 4월에 조사한 결과 병든 가지의 병반에서 93.3% 분리되었으며, 병든 가지 눈에서 46.7% 분리되었으며, 죽은 가지에서 36.7% 병원균이 분리되었다. 잎자루에서 23.3% 분리되었으며, 잎에서 16.7% 분리가 되었으며, 낙과된 과실에서 6.7% 분리되었지만 건전한 가지와 눈에서는 병원균이 분리되지 않았다. 그러나 생육중에 가지, 잎, 잎자루, 과실에 발생한 병든 부위에서는 병원균이 100%분리되었다.

시설하우스에서 Corynespora cassiicola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 갈색무늬병 (A Target Leaf Spot Disease Caused by Corynespora cassiicola on Cucumber Cultivated in Green House)

  • 권미경;양광열;조백호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21-125
    • /
    • 2004
  • 2000년도와 2001년도에 남부지방(구례, 별교, 영암)의 시설 내 오이재배지에서 갈색무늬병에 피해가 심하였다. 잎에서 전형적인 수침상 병반이 생기고 초기에 황색 halo를 지닌 갈색반점이 생긴 후 점차 불규칙하고 큰 병반으로 진전되어 때때로 낙엽을 유발하였다. 감염잎으로부터 분리한 병원균은 분생자경에 연쇄상 혹은 단일 분생포자를 형성하였고 분생포자는 거의 무색에서 올리브 갈색 내지는 갈색을 띠었으며 모양은 7-11개의 위격벽을 지닌 원통형,역곤봉형, 직립형, 만곡형 등이었다. 또한 분리 병원균의 ITS영역의 염기서열은 Corynespora cassciicola와 일치하였다. 형태적, ITS영역 분석을 기초로 분리된 병원균은 C. cassiicola로 동정하였다. 병원균의 생육은 3$0^{\circ}C$ Czapek Solution Agar 배지에서 가장 좋았으며, 발병환경 조사 결과 3$0^{\circ}C$에서 18시간 이상 습전시간이 유지될 때 발병이 높아, 고온과 식물의 긴 습전기간이 발병량의 증가를 가져오는 요인이었다. 또한 국내 품종들을 대상으로 오이갈색무늬병에 대한 감수성과 저항성 품종들을 선발하였다.

십자화과 작물 종자에서 종자전염 세균 및 바이러스 동시 검출을 위한 One-step Multiplex RT-PCR 방법 (One-step Multiplex RT-PCR Method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Seed Transmissible Bacterium and Virus Occurring on Brassicaceae Crop Seeds)

  • 정규식;소은희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52-58
    • /
    • 2011
  •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는 십자화과 작물(상추, 콜라비, 무, 배추, 양배추)의 종자 전염 병원균 중에서 세균성 병원균 Xanthomonns campestris pv. campestris(Xcc)와 바이러스 병원균 Lettuce Mosaic Virus(LMV)를 종자에서 동시검출하기 위한 One-step multiplex RT-PCR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병원균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키는 병원균 검출용 프라이머 2종(Xcc-F/R, LMV-F/R)을 primerbla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이들 프라이머 세트는 프라이머간 또는 병원균 cDNA간의 간섭없이 특이적으로 타겟 병원균만을 검출하였다. PCR을 이용한 병원균의 검출 최소 민감도는 1 ng이었다. 십자화과 작물중에서 유통 중인 콜라비 10품종, 상추 50품종, 무 20품종, 배추 20품종 그리고 양배추 20품종에 대한 종자 감염 병원균 검출을 위한 One-step multiplex RT-PCR 수행 결과, LMV는 전체 120품종 중에서 39품종에서 검출되었고, Xcc는 2개 품종에서 검출되었다. 그리고 50품종의 상추 종자 시료 중에 8품종의 시료에서 LMV와 Xcc가 동시 검출되었다.

우리나라 참다래 저장병 발병율과 병원균 (Incidences and Causal Agents of Postharvest Fruit Rots in Kiwifruits in Korea)

  • 고영진;이재군;허재선;정재성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196-200
    • /
    • 2003
  • 우리나라 참다래 주요 재배지인 전남과 경남 그리고 제주지역의 16개 포장에서 임의로 수집한 1600개 참다래 과실의 평균 저장병 발병율은 32.0%로 나타났지만, 저장병 발병율은 수확한 과수원에 따라서 5%에서 68%까지 다양했다. 저장병에 걸린 참다래 과실 중에서 15.4%가 외부 병징, 68.4%가 내부 병징을 나타내었고, 외부와 내부 모두에 병징을 나타내는 것은 16.2%였다. 저장병에 걸린 과실들에서 병원균의 검출율은 분리한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Botryosphaeria dothidea가 83.3%, Diaporthe actinidiae는 11.9%, Botrytis cinerea가 1.4%의 검출율을 보여 주요 저장병원균으로 밝혀졌다. 참다래 주요 저장병원균으로 확인된 B. dothidea와 D. actinidiae에 의해 발생하는 참다래 주요 저장병을 과실에 나타난 각 병징과 각 병원균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과숙썩음병과 과실꼭지썩음병으로 각각 구분하여 명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