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번식

Search Result 41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요각류 Calanus helgolandicus의 번식에 미치는 비식물플랑크톤의 영향에 관한 실험실 연구

  • ;S. Poulet;A. Lacost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60-261
    • /
    • 2000
  • 잡식성은 대부분의 동물플랑크톤의 공통적인 전략임에도 불구하고, 식물과 동물성 먹이들의 에너지원으로서 화학적 유입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비식물 플랑크톤 가운데 원생동물은 요각류의 번식 (reproduction)과 성장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해양 무척추동물의 알이나 초기 유생단계가 요각류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중략)

  • PDF

Introduction of Plant Variety Protection Right and Plant Patent System of Ornamental Crops in U.S.A (미국 화훼류 품종보호제도 및 식물특허 운영실태)

  • Lee, Ho-Sun;Choi, Keun Jin;Hwang, Suk-Jung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6 no.4
    • /
    • pp.325-332
    • /
    • 2008
  • This paper outlines the system and operation of plant variety protection right and plant patent of ornamental crops in USA to guide for application of new varieties developed in Korea and to use for national examination of applied variety from USA. The Plant Variety Protection Act(PVPA) in USA is given as PVPR to the developers of new variety for the seed propagating crops and tubers and provides as plant patent for asexually reproducing crops. A certificate of PVPR and plant patent is awarded to an owner of a variety has shown that it is new, distinct from other varieties, genetically uniform and stable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by official evaluation without the growing trial. The term of protection for plant patent and PVPR for most crops is 20 years but 25 years for trees, shrubs, and vines. The application of ornamental variety in USA is mostly for plant patent. The application of ornamental crops accounted for 87% of total applications for plant patent. The ratio of new variety applications for plant patent from national and foreign countries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조경수 생산기술 - 조경수목의 번식법

  • Sin, Hyeon-Cheol
    • Landscaping Tree
    • /
    • s.126
    • /
    • pp.57-60
    • /
    • 2012
  • 조경수 재배를 위하여 대상 수종이 선정되었다면 그 나무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어떻게 번식하여야 할지 결정하여야 한다. 만약 배롱나무의 꽃 색깔이나 수형이 특이한 개체가 있다면 이 형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영양번식을 하여야 하는데 배롱나무는 삽목이 잘되므로 꺾꽂이를 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파종번식의 경우 다른 개체와 교잡이 이루어져 원하는 형태의 형질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번식방법은 유성번식과 무성번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유성번식이란 씨앗을 파종하며 다른 나무의 꽃가루를 받아 수정(fertilization)이 이루어져 열매가 맺히게 된다. 이 방법의 장점은 한꺼번에 많은 개체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대량번식이 가능할 뿐 아니라 번식이 비교적 쉽고 교잡을 통하여 다양한 형질이 나타나므로 새로운 품종으로 육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품종변이를 일으키므로 우수한 품종을 번식하기 위해서는 무성번식을 해야 하는데 식물의 생장점 일부를 취하여 새로운 독립된 개체로 유도하는 방법으로 모수의 형질이 그대로 이어지므로 우수품종의 번식에 이용되는데 삽목, 접목, 취목, 분주, 조직배양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숙련된 기술이 필요로 한다.

  • PDF

Antibacterial Activity of Citrus junos Pulp according to Breeding Method (유자의 번식방법에 따른 유자 과육의 항균활성)

  • Ji-Won Seo;Shi-Qi Wang;Ma-ru Im;Da-Kyung Choi;Won-Seob S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70-70
    • /
    • 2023
  • 유자의 번식방법은 세 가지로 알려져 있다. 유자 대목의 유자를 접목하는 방법과 탱자 대목의 유자를 접목하는 방법, 유자의 종자를 파종하여 유자나무를 번식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번식 방법 가운데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유자의 번식 방법은 탱자 나무 대목에 유자를 접목하여 생산하는 방법이다. 실제로 유자의 생산물을 비교해보면 과일의 크기는 유자나무에 유자를 접목시킨 유자나무에서 대체적으로 과일이 크고 색깔도 진노랑색이다. 과일이 제일 작은 번식 방법은 유자 종자를 파종하여 유자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또한, 유자 접목 방법에 따른 유자의 생산 연령은 실생번식보다 접목방법이 훨씬 빠르다. 즉, 과일의 형태와 색깔, 향 등이 번식 방법에 따라서 다소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번식 방법에 따른 유자의 과육으로부터 항균 활성에 차이를 분석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3종의 항균실험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균 종류의 결과를 보면 실생 번식에서 다소 양호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유자 대목의 유자를 접목한 유자의 과육도 비교적 항균활성이 좋게 나타났다. 탱자 대목에 유자를 접목하여 얻어진 유자 과육의 항균 활성은 다른 번식 방법에 비하여 다소 미흡한 항균 활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볼 때 번식 방법에 따른 유자 과육의 항균 활성은 균 종류별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향후 과피의 항균 활성을 조사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Medium Components on Discoloration an Necrosis of Cultures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Micropropagation (작약의 미세번식에서 배지성분이 배양의 변색과 괴사에 미치는 영향)

  • ;M.M. Meyer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1 no.3
    • /
    • pp.173-176
    • /
    • 1994
  • Stem and petiol explants of peony culture turned to brownish black soon after placing onto medium and degenerated to death. Disroloration was caused mainly by ferrous and calcium cloride. Nitrate was a main factor for the death of culture. The culture damage was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the medium salt strength. A few latent axillary buds were elongated to shoots without forming call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