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량 소비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trategy of Water-Energy-Food Nexus to ensure Resources Security (자원안보 확보를 위한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추진 전략)

  • Lee, Eul Rae;Choi, Byung Man;Chae, Hyo Sok;Jung, Yo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6-136
    • /
    • 2016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인구증가와 도시화 및 산업화 영향으로 물, 에너지, 식량의 수요증가와 공급부족이 예상되는 가운데, 급격한 기후변화와 자원고갈로 인해 이는 더욱 가속화되고 심화될 위기에 직면하였다. 특히 물의 수요는 증가하나 공급은 제한되어 있어 지속가능한 인류의 생존을 위하여 인간에게 꼭 필요한 에너지와 식량의 문제를 물을 중심으로 상관성을 찾고 효율적인 물활용 방법을 개발하고 정책화할 필요가 있다. 세계 물공급량 중 농업으로는 70%, 에너지로는 15%로 소비되고 있다. 또한 유럽과 미국은 발전용 냉각수로 각각 담수총량의 43%, 50%를 사용하고 있는 등, 세계는 물, 식량 그리고 에너지 수급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상호 위기가 증폭되고 있다. 향후 인간의 삶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세가지 자원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상호 위기가 증폭될 수 있는 실정이나, 우리나라는 개별자원에 대한 관리 및 운영기술은 상당한 수준이지만 아직까지 연계성을 고려하여 자원간의 효율성을 찾는 물-에너지-식량 연계(Water-Energy-Food Nexus, WEF Nexus)에 대한 관리 및 기술은 부족한 실정이다. 국제적으로 세자원의 연계상황이 선진국과 개도국간에 편차가 크고, 사막지대 등 자연조건이 열악한 지역에서 자원들간의 위기 연계성이 높은 상황이므로 우리나라도 물-에너지-식량의 연계위기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이 필요하나, 현재 국내 물관리에 있어 저수지나 수리시설 관리가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어 이를 방치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식량 및 에너지생산에 있어 부족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부처간의 행정적인 간격으로 물-에너지-식량의 연계성 연구 및 정책수립에 있어서 자료 등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DB구축 및 인벤토리 정의 등도 현재시점에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WEF Nexus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 자원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야 한다. 과거에는 개별적 자원의 확보를 추구했다면 이제부터는 각 자원간의 상생을 통한 연계성을 확보하여 서로간의 자원 확보를 고려하여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의 자원확보에 대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상호 연계를 통한 효율성을 확보하고 그 효율성이 각 자원에 영향을 주어 시너지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쌀 가공제품의 신제품 개발 방향

  • 금준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2.04a
    • /
    • pp.18-26
    • /
    • 2002
  • '쌀이 우리 나라의 주곡 식량'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이는 쌀 가공이용의 필요성에 대한 중요한 명분과 당위성을 제공해주는 명제이기도 하다. 사실 한국의 식문화에서 쌀이 지금처럼 풍족하였던 시기는 없었다고 사료되는데 과거의 기록들을 살펴보면 쌀은 오히려 귀한 곡물로서 대접을 받을 만큼 그 양에 있어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80년대 중반가지도 우리의 식량소비정책은 혼식 또는 분식의 장려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 때문에 생겨난 쌀에 대한 영양학적인 오해와 편견이 아직도 완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쌀의 생산면적 감소, 식생활 변화에 따른 쌀 소비량 감소, 세계적인 기상이변 등 국내외 식량여건이 여러 가지 불안한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으므로, 우리는 그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품질 좋은 쌀의 생산과 아울러 신제품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가공이용 방안을 모색해야 될 시점인 것이다. 특히 UR협상의 결과로 수입쌀이 국제입찰에 의하여 이미 들어와 있기 때문에 쌀의 이용측면에서 새로운 기술적 적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므로 본 고에서는 쌀 관련 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그 동안 다양하게 개발, 확보해 놓은 쌀 가공기술의 현황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쌀을 이용한 신제품 개발 전략 및 전망과 대책을 타진해 봄으로써 우리 나라 주곡으로서의 튼튼한 쌀의 위치를 다시 한번 확인해 보고자 한다.

  • PDF

The optimization of energy and food interdependencies in view of water security (물안보 관점에서의 에너지, 식량 연계 최적화 방안 접근)

  • Lee, Eul Rae;Park, Sang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1-461
    • /
    • 2018
  •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기인하는 기상변동성 증가 등의 원인으로 물, 식량, 에너지의 시공간적 불균형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 2012-2015 대가뭄, 우리나라의 2013-2015 대가뭄 등 물부족의 위험 가능성이 증폭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에너지와 식량 등의 연계자원들도 기존의 방법과 같이 관리되고 활용하는 것에 한계점이 도달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같이 기상학적 스트레스 증가와 더불어, 국제적으로 인구증가 및 도시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한국, 미국, 중국, 인도 등에서 물안보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으며,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전 지구적 위험도 인지 조사"에서도 물, 식량, 에너지 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물, 식량 그리고 에너지는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개별 분야에서의 문제는 그 자체의 위기로 그치지 않고 다른 타 분야의 위험도를 증폭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과거와 다르게 교통, 물류 등의 발달로 물, 식량 및 에너지의 국가간 의존도가 더욱 증가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세 가지 자원의 연계성 강화는 결국 상호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물안보 및 물복지 실현을 위한 물과 에너지의 저비용, 고효율의 최적화 방안은 상당히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자원간 Trade-off, 평가 등 에너지소비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하며 에너지 절약형 기술에 개발에 중점을 두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또한 원예시설 및 관개 기술의 개선에 따른 물과 에너지 소비량 비교 분석, 시설원예 산업의 에너지 생산성 및 절약형 기술 등 에너지-물-식량 분야의 상호연결을 정량화하고 최적화하는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월간닭고기

  • 대한가금처리협회
    • Monthly Korean Chicken
    • /
    • v.1 no.5 s.5
    • /
    • pp.2-4
    • /
    • 1995
  • 일반 살모넬라균 차단으로 추백리 피해 최소화 해야 - 사료업계, 브랜드 육류용 특수사료 개발 활발 - 식량무역, 수입국 경쟁시대 도래 - 태국, CP농장 1인당4만수 관리 - 미국, 캐나다 관세 논쟁 - 식품의약품 안전관리본부 내년초 출범예정 - 추백리검사 수의과학연구소가 실시 - 노계정육 소비부진 - 아시아 지역 냉동 닭고기 수입 증가추세 - 닭갈비 전문점이 늘고 있다.

  • PDF

육류제품제조에 있어서 핵산계조주요 이용

  • Yang, 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7.10a
    • /
    • pp.201.2-202
    • /
    • 1977
  • 동물성식품이라 함은 축산식품과 수산가공품을 말하게 되며 대부분의 단백질식량은 동물성식품에 의하여 확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물성식품은 그 영양적 가치와 맛으로 소비자의 애호를 간고 있으며 많은 통계자료들은 국민소득의 증대에 따라 동물성식품의 소비가 급증하는 사실을 나타내어주고 있다.(중략)

  • PDF

닭고기와 식품위생

  • 박근식
    • KOREAN POULTRY JOURNAL
    • /
    • v.17 no.10 s.192
    • /
    • pp.52-58
    • /
    • 1985
  • 국내적 여건과 세계적인 추세로 보아 닭고기 소비신장은 계속될 전망이고 중요한 식량의 하나로 대두될 기미이다. 따라서 보다 위생적인 닭고기생산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청되며 이의 실천을 위해 닭고기생산과 관련된 부화장$\cdot$종계장$\cdot$사료공장$\cdot$육계공장$\cdot$도계장$\cdot$약품업계의 맡은 바 분야에서 가일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신품종소개 - 천혜의 웰빙식품 '쌀귀리'를 아시나요

  • Han, Ok-Gyu
    • 농업기술회보
    • /
    • v.49 no.6
    • /
    • pp.36-36
    • /
    • 2012
  • 인구 고령화와 생활습관병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귀리는 미국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세계 10대 건강식품으로서 고지혈증, 암, 당뇨병, 심장병, 치매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알곡과 껍질이 잘 분리되고 영양이 풍부한 식용 쌀귀리 품종을 개발했다.

  • PDF

Ric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in China (중국의 쌀 생산, 유통 및 이용 현황)

  • Xiyuan, Liao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1 no.1
    • /
    • pp.5-16
    • /
    • 2002
  • 쌀은 중국에서 중요한 식량작물로 제9차 5개년 계획(1966-2000년) 동안 재배면적 31.4백만 ha이며 생산량은 단위 ha당 6,303kg으로 198백만톤에 이르며 이는 재배면적으로는 식량작물의 $27.7\%$, 그리고 생산량으로는 전체식량작물의 $40\%$를 각각 점하고 있다. 이러한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각각 세계전체 면적과 생산량의 $20.7\%$$33.7\%$를 차지하는 많은 량이다. 중국의 남부지역은 전지역의 $73.5\%$가 이모작으로 재배되며 주품종은 Indica이다. 중국의 중부지역은 이모작과 일모작의 재배형태가 2:3으로 공존하고 있으며 양쯔강 이북은 주로 일모작의 형태이다. 중국의 쌀 재배면적은 1960년대 이후 점차 증가하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정체되었다가 최근 9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재배면적의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으나 단보당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1년 중국의 쌀 소비량은 138백만톤으로 이의 $85.2\%$는 식량용으로, $5.8\%$는 사료용으로, $1.3\%$는 가공용, $1.5-2.0\%$는 수출용으로 그리고 $1.2\%$는 종자용으로 소비되었다. WTO체제에 들어서도 중국의 쌀 생산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로는 충분한 생산능력과 자급률, 쌀의 낮은($4\%$) 국제교역비율, 총생산량에 대한 낮은 쿼터비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WTO체제 가입에 따른 압력 또한 존재하는 것이 사실인데 그것은 낮은 품질, 국제가격보다 높은 국내가격 등을 들 수 있다. 향후 중국 쌀의 발전적 전략들로는 쌀의 안정적 발전을 지속하는 일, 쌀 재배구조 조정과 함께 높은 미질을 가지는 품종육종, 기계화를 비롯한 경작기술의 발달, 쌀과 부산물 가공기술의 개발연구, 특정기능을 함유하는 유전공학적 기술의 적용, 토지와 도시화 그리고 식량순환에 시스템의 개혁 등 과학기술을 고양하는 일 등을 들 수 있다.

  • PDF

An Ecological Reflection on the Food Self-Sufficiency Debate of the Antebellum American South (남북전쟁 이전 미국 남부지방 식량자급 논쟁의 환경사적 검토)

  • Keumsoo H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2
    • /
    • pp.171-194
    • /
    • 2004
  • The antebellum American South has been characterized by the lingering backward images of plantation, slaves and cotton. The South specializing in the cotton cultivation is compared with the manufacturing East and the breadbasket Midwest. Douglass North who examined the interregional trade assumed that the South up until 1860 relied on the Midwest for the foodstuffs. Statistical and literary evidence, however, disputes the North's model, showing instead that the southern region attained self-sufficiency in foodstuffs at least in the late 1830s or early 1840s. The South's food self-sufficiency is attributable, to a greater extent, to the region-wide environmental movement of scientific agriculture launched to address the aggravating soil problems from cotton monoculture. Diversification and crop rotation lied in the center of the new regime. The new agricultural system combining com, cotton and cowpea ensured the procurement of hoecake, hog meat, and cotton. The most significant outcome of the good farming regime, however, was the enhance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which came to prevail the best farmer's reckless rush for profit maximization.

Waterfowl Production for food security (SPECIAL Edition - 식량 안보를 위한 물새가금 생산)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85
    • /
    • pp.40-46
    • /
    • 2010
  • 물새류의 생산물은 총 인구수의 영양학적 기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새류는 사료에 있어서 인간의 식재료와 경합이 적다. 닭과 비교하였을 때, 오리와 거위는 현재 고기 및 식란 생산에 미미한 수준이다. 하지만 특정 국가에서는 오리와 거위로부터 많은 양의 고기와 식란을 생산하고 있으며 지난 20년간 생산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오리고기 생산량은 1991년 76만톤에서 2007년 220만톤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며, 이는 총 가금산물의 6.6%에 해당하는 양이다. 오리 및 거위고기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는 중국으로 각각 전 세계 생산량의 65%, 94%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과 동남아시아 몇 국가에서는 오래전부터 오리식란을 소비해 왔으며, 이는 총 소비량의 10~30%를 차지하고, 물새류의 깃털 및 다운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오리와 거위를 사육하는 전업농가는 동물 복지와 친환경 등의 요구수준에 맞춰 사육, 영양관리 등을 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농가들은 적절한 기술 및 향상된 개체 확보를 통하여 생산성, 수익,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효율적인 물새 사양 관리를 위하여 잠재 성장력 활용, 자연 행동 수행, 복지 관리 등 쾌적한 환경 제공이 필요하다. 물새류는 닭에 비해 고온 습윤한 지역에서 잘 견디며, 이러한 조건 하에 물새류는 중요한 식량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