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군.구

Search Result 75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Effect of Pigmented Ric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guette (흑미 첨가가 바게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임정교;박인경;김영희;김순동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3 no.2
    • /
    • pp.130-135
    • /
    • 2003
  • The Characteristics of dough and the quality of baguette with 1~5% pigmented rice(PR) were investigated. The pH of dough with PR were lower(pH 4.93~5.06) than that of the control(pH 5.13). The viscosity of dough with PR(498~575 BU) measured by the amylograph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600 BU). The volume of the baguette with PR(1~3%)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Color $L^{*}$ value of baguette crumb with PR decreased from 60.65 to 50.44~60.36 and color $a^{*}$ value increased from -2.13 to 0.28~3.30 as the concentration of PR increased. The hardness of the baguette decreased from 375.51$\times$10$^4$dyne/c $m^2$to 273.95~256.83$\times$10$^4$dyne/c $m^2$as the concentration of PR increased. The overall acceptability score of baguette was the highest with 3% PR.R.R.

  • PDF

Analysis of effect of ditch restoration on soil loss reduction in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고랭지밭의 구거복원에 따른 토양유실저감 효과분석)

  • Sung, Yunsoo;Kim, Jonggun;Choi, Yujin;Im, Gyeong-Jae;Kim, Ki-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4-244
    • /
    • 2018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 현상으로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점에 강우로 인한 토양유실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토양유실은 도시지역보단 농업지역에서 다량 발생되고 있어 많은 영양염류가 하천으로 유입되 환경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토양유실문제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강원도 내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선정된 홍천군 자운지구는 소양호 상류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부분의 농경지가 고랭지밭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천군 자운지구 내 고랭지밭은 대규모 농업단지로 구성되어 있어 지역 내 위치한 구거가 무단으로 점용되어 농경지로 활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홍천군에서는 농경지로 점용된 구거를 복원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길제 구거 복원으로 저감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분석은 수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홍천군 자운지구의 지적 상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는 구거를 복원할 경우 발생되는 토양유실저감효과를 분석했다. 구거복원에 따른 토양유실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모형은 SATEEC L Module이다. SATEEC L Module은 수치표고모형과 최대 허용 경사장을 이용하여 경사장을 산정한 후 Moore and Burch의 방법을 이용하여 LS factor를 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당 Module을 사용하여 산정된 LS factor와 USLE 공식을 적용하여 구거 복원 시 저감되는 토양유실량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점용된 구거를 복원하면 자운지구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을 약 16.6%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의 토양유실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linical Study on the Dental Abnomalities of Number and Morphology in Cleft Alveolus Patients (치조열 환자에서 치아의 선천결손과 형태이상에 관한 연구)

  • Seo, Min-Gyo;Leem, Dae-Ho;Ko, Seung-O;Shin, Hyo-Keun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13 no.1
    • /
    • pp.1-10
    • /
    • 2010
  • 구순구개열은 선천성 악안면 기형중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은 질환이며 특히 동양인에게 높은 빈도로 발생된다. 그리고 순구개열에서는 파열부 조직의 선천적 상실과 파열부 봉합 수술 후 형성된 반흔에 의한 상악골의 열성장과 상악궁의 협착, 코의 형태 이상, 등과 함께 치아의 수, 크기와 형태 및 맹출 이상도 높은 빈도로 동반된다. 선천성 치아 발육 이상이 구순열 또는 구개열 가진 환자에게서 종종 보고되고 있다. 이런 치아 이상은 과잉치, 결손치, 크기, 형태, 맹출시기, 법랑질 광화 등의 많은 특징을 포함한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구순열 또는 구개열을 가진 환자의 선천성 치아 결손 발병률을 결정하여 정상인과 비교하는 것이다. 2. 상하악에서 파열이 있는 부위와 없는 부위의 제2소구치 결손가능성을 비교 하는 것이다. 구강악안면외과에서 구순구개열로 진단한 환자 중 2005년 1월~2009년 8월까지 전북대학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치조열부위 자가골이식수술을 받은 32명의 환자로 초진시의 교정 chart, 구강악안면외과 chart, x-ray(파노라마, 치근단사진, 교합사진(상악), 석고 모델, 구강내 외 임상사진을 사용하여 순구개열군 별로 매복치, 과잉치, 결손치, 왜소치의 유무와 위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결손치는 비교적 높은 발생빈도(53.1%)를 보였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와 상악 제2소구치, 하악 제2소구치 순이었다. 구순구개열군이 구순치조열군에 비해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구순구개열군 내에서 양측성이 편측성에 비해 결손치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2. 왜소치는 71.6%에서 발견되었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측절치에서 가장 많았다. 구순치조열군이 구순구개열군에 비해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3. 치조열을 가진 환자에 있어 상/하악간 제2소구치의 선천적 결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구순구개열이 인접한 상악측절치의 발생중인 미성숙 조직에 영향을 미치며 파열부위와 좀 더 떨어져 있는 상악 제2소구치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침을 이번 연구를 통해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Asparagus Powder (아스파라거스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 Yang, Seung-Mi;Kim, Sung-Hyun;Shin, Jung-Hye;Kang, Min-Jung;Sung, Nak-Ju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4 no.2
    • /
    • pp.67-74
    • /
    • 2010
  • The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s L.) powder were analyzed by 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Sampl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0, 0.5, 1, 2, 3 and 5%) of freeze-dried asparagus powder. The lowest pH of the cookie dough was pH 6.26 in the 5% asparagus powder added group. Density value of cookie dough was decreased by increase of asparagus powder addition volume. Spread factor and hardness of cooki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tion of asparagus powder. And hardness was the highest in 5% asparagus powder added cookie, however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t between 0.5~1% added group and control. Hunter color L and a-value of dough was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b-value was increased when concentration of asparagus powder was added greater than 3%. L-value of cooki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larger of asparagus powder addition volume and the lowest in the 5% asparagus powder added group (55.38). Hunter a-value of cookie showed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all groups. The sensory evaluation was not observed significantly differences by terms of color (3.77~4.77), brittleness (4.11~4.88), flavor (3.88~4.55), taste (4.11~5.00) and overall acceptability (4.00~4.77).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asparagus powder addition is possible up to 5% and is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the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ookies.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s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angwondo -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edle and Cone - (강원도 지역 소나무 천연집단의 변이에 관한 연구 - 침엽과 구과의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

  • Yi, Jae-Seon;Song, Jeong-Ho;Han, Sang-Sup;Park, Wan-Ge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15 no.1
    • /
    • pp.107-116
    • /
    • 1999
  • For the study on the vari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natural populations. 13 stands were selected in Kangwondo region in 1994. They were located in Hyoja-Dong, Chunchon-Si [plot 1]; Sinnam-Myun, lnje-Gun [plot 2]; Buk-Myun, lnje-Gun [plot 3]; Seo-Myun, Yangyang-Gun [plot 4 and 5]; Sonyang-Myun, Yangyang-Gun [plot 6]; Toseong-Myun, Goseong-Gun [plot 7]; Synrim-Myun, Wonju-Si [plot 8]; Dunnae-Myun, Hoengsong-Gun [plot 9]; Jinbu-Myun, Pyungchang-Gun [plot 10]; Sogumgang, Kangneung-Si [plot 11]; Seo-Myun, Ulchin-Gun [plot 12]; and Mitan- Myun, Pyungchang-Gun [plot 13].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edles and cones were investigated for twenty individual trees from each popul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needle characteristics, length, the number of serration. and the number of stoma row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opulations and between individuals within a population. They were 69.3~91.9mm, 25.1~28.7 per 0.5cm, and 4.1~6.2 rows for abaxial side and 2.9~4.6 rows for adaxial side, respectively. 2. Among cone characters surveyed. length and diamet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opulations and between individuals within a population. They were 31.1~43.7mm and 20.0~24.1mm, respectively. 3.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number of stoma row of abaxial side and that of adaxial side. and between length and diameter of cone. But the number of ser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traits. 4. The distance from seash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edle length and the number of serrat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toma row and cone length. However, the al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errat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toma row and cone length. 5. Cluster analysis using average linkage method for needle and cone characteristics showed two groups to Euclidean distance 1.0. They were group I consisting of plots 1, 8, 12, and 13 and group II of plots 2, 3, 4, 5, 6, 7, 9, 10, and 11. However, group II was divided again to Euclidean distance 0.8, that is a group including plots 2, 3, 9, and 11 and the other group comprising plots 4, 5, 6, 7, and 10.

  • PDF

분양가 심사위원회, 주택 공급의 족쇄될 수도

  • Gang, Min-Seok
    • 주택과사람들
    • /
    • s.203
    • /
    • pp.20-21
    • /
    • 2007
  • 지난 1.11 부동산 대책에 따르면, 분양가 승인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별도의 심의 기구를 전국 시.군.구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임의 기구인 '분양가 상한제 자문 위원회'를 '분양가 심사위원회'로 개칭해 확대, 개편하겠다는 것. 분양가 심사위원회 구성이나 내용 등 자칫 주택 공급의 족쇄로 작용할 수 있는 분양가 심의위원회의 향방에 대해 알아본다.

  • PDF

농가특별 사료구매자금 지원사업 지침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67
    • /
    • pp.76-77
    • /
    • 2009
  • 최근 곡물가격 상승으로 배합사료가격이 크게 상승하고 있어 축산농가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축산농가의 특별사료구매자금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2009년도에도 농가 특별사료구매자금을 지원한다, 2009년부터는 사업주관기관이 '지역 농축협'에서 '시장 군수'로 개선된다. 따라서 사료구매자금 지원을 희망하는 농가에서는 사업신청서를 작성해 대출취급기관이 발행하는 신용조사서를 첨부해 시 군 구로 신청하면 된다.

  • PDF

The Patterns of Mandibular Movement in Relation to Maxillofacial Skeletal Structure (악안면부 골격구조에 따른 하악 개구운동 양상)

  • Kim, Byung-Gook;Kim, Jae-Hy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3
    • /
    • pp.293-303
    • /
    • 2000
  • 앵글씨 분류에 따른 최대개구시 하악의 수직 변위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고, 수직 하악운동에 영향을 주는 골격요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측두하악관절 및 저작계 이상에 대한 증상 및 병력이 없으며 발치 및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광주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앵글씨 구치부 관계에 근거하여 1급군(남:30명, 여:49명), 2급군(남:18명, 여:24명)과 3급군(남:18명, 여:33명)으로 분류하여 총 172명(연령 범주:20-30세)의 학생을 선택하였다. 전남대학교 병원 구강내과에서 사용하는 계측용자를 이용하여 최대 개구시 상하악 중절치 절단면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진단모형을 만들어 상하악궁 길이와 폭경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에 대한 두부 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 작도하고 방사선학적 지표를 계측, 비교분석하였다. 앵글씨 분류 1급군, 2급군 그리고 3급군 절치간 최대개구량은 3급군이 가장 컸으며 모든 군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컸다. 구치간 최대개구량은 앵글씨 분류 1급군, 2급군 그리고 3급군에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든 군에서 남자가 더 컸다. 앵글씨 분류 1급군과 2급군의 하악운동에서 총 하악골 길이, 하악지 길이, 하악 하연부 길이 그리고 상악궁 폭경이 변수로 나타났으며, 상하악궁 길이와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앵글씨 분류 3급군의 하악운동에서 상하악궁 길이와 안면 부길이가 1급군과 2급군과는 다른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상악궁의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앵글씨 분류 각 군에서 하악개구운동은 안면 골격구조의 영향을 받으며, 각 군간에 영향을 주는 안면 골격 요소들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골격적 요소들은 개구량 개선을 위한 진단과 치료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pectral & Aerodynamic Analysis of Cries in Infants with Cleft Lip and Palate. (구순구개열 환아의 crying에 대한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적 분석)

  • Kim Eun-Ju;Ko Seung-O;Shin Hyo-Keun;Kim Hyun-Ki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5 no.2
    • /
    • pp.95-108
    • /
    • 2002
  • 언어 발달의 조기 단계를 이해하기 위한 일환으로 crying은 언어전 발달의 기초 단계로서 여러 학문적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그러나 구순구개열(CLP))환아의 경우는cry-producing/control mechnism에 variation이 많은 이유로 이 분야의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문점을 가지고 CLP환아의 cry feature에 대한분석을 하였다. 첫째, 정상아와 CLP환아의 cry에 전형적인 차이가 있는가? 둘째, CLP환아의 술전, 술후 cry feature에 변화가 있는가? 셋째, cry분석이 CLP환아의 이후 speech disorder에 대한 언어전 평가로서의 가치가 있는가? 넷째, 특정 parameter가 언어전 평가에 적절한 도구로 작용할 수 있는가? 생후 15개월 이내의 CLP 환아 3명과 유사한 나이대의 정상아 8명의 cry에 대한 공기역학 및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CLP 환아와 정상아, CLP환아의 술전, 술후 cry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기역학적 분석 1) airflow는 CLP 환아의 경우 정상아보다 약간 높았고 술 후 약간 증가하였다. 2)폐활량을 나타내는volume에서는 정상아보다 술전 CLP환자의 경우 보상적으로 더 큰 수치를 보였고 술후 약간 증가하였다. 3)강도를 나타내는 parameter(SPL)에서는 정상아 보다 술전 CLP환자의 계측치가 약간 작았으나 술 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2. 음향음성학적 분석 1)기저 주파수 분석시 정상아에 비해 술 전 CLP환자의 경우 계측치가 약간 낮았으나 술 후 증가하여 정상군의 계측치에 근접하였다. 2)강도를 나타내는energy 측정시 정상아에 비해 술 전 CLP계측치가 보상성으로 약간 큰수치를 나타내었고 술 후 약간 더 증가하였다. 3) Shimmer에서는CUI환자의 술후계측치가술전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여 정상군의 수치에 근접하였다.

  • PDF

Effect of Quality Change of 'Fuji' Apple by Pressure Cooling (차압예냉 처리가 '후지' 사과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 Park Hyung-Woo;Kim Sang-Hee;Cha Hwan-Soo;Kim Yoon-Ho;Choi Jee-Young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3 no.4
    • /
    • pp.427-431
    • /
    • 2006
  •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pressure cooling of 'Fuji' apple during of 24 weeks. Weight loss in pressure cooling was lower than control at 24th week, and firmness in pressure cooling was higher than control. Titratable acidity in control and pressure cooling was 0.0823% 0.1103% in 24 weeks, respectively. Soluble solid content (SSC) in pressure cooling were higher than control. Decayed rate in control and pressure cooling was 46.4% 34.5% in 24 weeks, respectively. Total ascorbic acid contents were decreased in control and pressure cooling during 24 weeks.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pressure cooling is more effective than control in storage of 'Fuji' ap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