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적 변화

Search Result 1,73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patio-Temporal Density Measurement of NO Molecules in Pulsed Barrier Discharge Using Laser Induced Fluorescence (레이져 유기형광법을 이용한 펄스 배리어 방전 공간에서의 NO분자에 대한 시·공간적 밀도변화 측정)

  • Han, Sang-B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5
    • /
    • pp.160-168
    • /
    • 2010
  • This paper tried to find out NO generation and removal mechanisms in the space of the atmospheric pulsed barrier discharge using laser induced fluorescence method, which is a very effective approach to the measurement of spatio-temporal density of specific molecules. The propagation velocity of the primary streamer reaches about $2.7{\times}10^6$[m/s] and the secondary streamer is produced in the vicinity of positive electrode after the primary streamer finished. In this work, pulse Nd:Yag and Dye lasers are used for generating the specific wavelength of 226[nm], which is possible to excite NO molecules into $A^2{\Sigma}^+{\rightarrow}X^2{\prod}$(0,0) and fluorescence signals as the transition of $A^2{\Sigma}^+{\leftarrow}X^2$(0,2) is measured. For the effective removal of NO molecules in the plasma discharge process, the lower oxygen contents are needed and the influence of secondary streamer for the reduction mechanism of NO molecules is important

Assessment of Water Management Vulnerability in Jeonnam Province using CCGIS (CCGIS를 이용한 전라남도 물관리 취약성 평가)

  • Park, Sung-Chun;Lee, Sam-No;Jin, Young-Hoon;Park, J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95-799
    • /
    • 2012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전 지구적으로 강우의 시 공간적 패턴이 변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일수는 줄어들고 강우량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강우현상이 발생할 경우 그 강도가 과거와 비교하여 강해지며, 가뭄 역시 그 심도가 보다 심각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에 의한 강우의 양상이 과거와 이질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물관리분야의 적응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각 지역별 취약성 평가가 선결되어야 하며, 그 결과에 근거한 적응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개발한 CCGIS를 이용하여 전라남도 22개 시 군의 물관리분야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CCGIS는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중 A1B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치수의 취약성, 이수의 취약성, 수질 및 수생태에 대한 취약성을 대용변수(기후노출, 민감도 및 적응능력)를 이용하여 현재와 미래시점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현재시점에서 전라남도 22개 시 군의 치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를 보면, 보성군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주시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현재시점의 이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에서는 목포시의 취약성이 타지역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흥군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질 및 수생태에 대한 취약성 평가에는 구례군이 가장 취약하며, 목포시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시점(2050년대)의 치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은 순천시, 광양시, 구례군으로 조사되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수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은 목포시로 나타났으며, 전라남도 전역에 걸쳐 이수에 대한 취약성이 미래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수질 및 수생태에 대한 취약성 평가의 결과는 시 공간적으로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Time-Spatial Characteristic of Earthquakes in Korean Peninsula since Choseon Dynasty (조선시대 이래 한반도 지진발생의 시.공간적 특성)

  • 윤순옥;전재범;황상일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2
    • /
    • pp.93-110
    • /
    • 2001
  • 한반도 남동부지역에서 이루어진 활단층에 대한 일련의 연구들은 구조운도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우리나라가 안정지괴라는 생각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기록을 세계적으로 유례가 드물게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에서 확인하였다. 이 자료와 20세기에 이루어진 계기관측자료를 종합하여 지난 600년 간의 지진발생의 주기성과 공간분포를 검토하였다. 한반도 지진발생은 시.공간적으로 일정한 패턴이 있었으며, 대략 100-150년을 주기로 활성기와 잠복기를 반복하였다. 지진은 평안분지서안, 옥천변성대와 혼성구, 경상분지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다.

  • PDF

Locational Dynamics and Spatial Impacts of Producer Services in Korea (생산자서비스의 입지적 특성과 공간적 영향에 관한 연구)

  • Yong Gyun Le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3
    • /
    • pp.444-462
    • /
    • 2003
  • There has been emerging general agreement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oducer services in a economy. This research describes the spatial patterns and trends in producer services at different spatial scales. The other research aim is to explain the impacts of producer services on spatial changes at the national level and at the intra-metropolitan level in Seoul. Producer services have highly concentrated in metropolises, especially Seoul. Between 1986 to 2001, an important spatial change in the producer services at the national level has been their growth in the Capital Region, reinforcing the role and function of Seoul. This reinforced role of Seoul is closely related to its competitive advantages arising from economies of urban. There have been some dramatic changes in the location of producer services within Seoul. The most important change was the growth of the Youngdong area, previously a sub-center for businesses, as the most important location for producer services, exceeding the previous dominant role of the CBD area. The changing urban form of Seoul is partly related to the onset of some diseconomies of urbanization in the CBD, while at the same time Youngdong has reached a stage at which it is benefiting from the agglomeration of a variety of firms, in addition to a favourable social and physical infrastructure.

Analysis of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Korea through the Population Gradient Curve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공간구조의 지역별.규모별 변화특성 분석)

  • Yun, Kapsik;Lee, Gabjeo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3
    • /
    • pp.445-457
    • /
    • 2013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Korea by regional groups and city size between 2000 and 2010.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s analyzed by Clark's population gradient curve in this paper. Therefore key parameters in population gradient function, such as population density gradients and population density in CBD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cities in Korea have experienced suburbanization rather than concentration, but small-size cities have experienced concentration during the period.

  • PDF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서울대도시권 도시 간 공간적 연관성 분석)

  • Bai, Joon-Seok;Chang, Hoon;Kim, Jy-S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68-7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서울대도시권의 1990년 이후 공간구조 변화에 대하여 도시 간 공간적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서울대도시권을 포함하고 있는 서울시와 인천 및 경기도 도시들 간의 1990년에서 2005년에 이르는 15년의 통근 통학자 자료를 바탕으로 통근 통학비율과 Moran's I를 통하여 서울대도시권 내 도시들의 공간적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도시권 내에서 서울시의 인구는 경기지역으로 분산되고 있으며 외곽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서울대도시권의 교외화 확산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인접지역 간 매우 강한 공간적 연관성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서울대도시권 관리와 정책수립을 뒷받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street structure and the Morphological Change using Space Syntax in Kangnam, Seoul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가로체계와 공간변화 분석 - 서울 강남구를 사례로)

  • Kim, Hye-Young;Joo, Yong-Jin;Jun,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69-70
    • /
    • 2010
  • 우리나라의 경우 시계열적인 토지 이용의 변화특성에 대한 경향 및 유형의 분석과 예측에 관련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의 구축한 시계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로체계와 토지이용 자료를 사용하여 강남구 공간구조의 시계열 공간구조변화의 패턴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토지이용 변화과정을 함께 비교분석한다. 강남구는 70년대 초부터 개발로 인해 많이 변화해온 지역이다. 이를 고려하여 60,70,80,90년의 시계열별 공간구문론을 도입하여 축선도(Axial map)를 통해 정량적 분석을 한다. 향후 도로의 접근성 측면에서의 토지이용변화 예측모델 방법론과 연계가 이루어진다면 공간변화를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A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Oiling Status Using Spatial Analysis in Mallipo Beach of Korea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한 만리포 유분의 시·공간 변동 패턴 분석)

  • Kim, Tae-Hoon;Choi, Hyun-Woo;Kim, Moon-Koo;Shim, Won-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4
    • /
    • pp.90-103
    • /
    • 2012
  • Mallipo is a representative beach contaminated by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in December 2007.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wo seasons (winter and summer) for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s of oiling status in the whole area and divided five regions of Mallipo beach. In the whole area, the decreasing rate of average 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 in winter was twice greater than summer during four years. According to the spatial variation pattern analysis of oiling status using weighted mean center and weighted standard distance, the oil concentration was clustered on southwestern region in winter, however, the TPH was dispersed in the whole area in summer. 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TPH in each of Mallipo's five regions showed that TPH had been consistently decreased in winter, but oil concentration had not been changed in summer since 2009 except the southwestern region. Therefore, in order to evaluate and predict the progress of oiling status, it is needed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TPH using spatial analysis after separating data into seasons (e.g., winter and summer). In addition, time series analysis is useful in the regional scales through spatial partitioning rather than the whole beach area for the understanding of temporal variation pattern.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Satellite-derived 10-year Surface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in the East China Sea (동중국해에서 위성에서 추정된 10년 동안의 표층 입자성 유기 탄소의 시/공간적 변화)

  • Son, Young-Baek;Lee, Tae-Hee;Choi, Dong-Lim;Jang, Sung-Tae;Kim, Cheol-Ho;Ahn, Yu-Hwan;Ryu, Joo-Hyung;Kim, Moon-Koo;Jung, Seom-Kyu;Ishizaka, Joji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6 no.4
    • /
    • pp.421-437
    • /
    • 2010
  • Surface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concentration estimated from Maximum Normalized Difference Carbon Index (MNDCI) algorithm using SeaWiFS data is used to determin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CDW) in the East China Sea. 10-year monthly POC concentrations (1997-2007) show clearly seasonal variations. Inter-annual variation of POC in whole and three different areas separated by standard deviation is not linearly correlated with the Changjiang River discharge that has decreased after 1998. To determine more detailed spatial and temporal POC variations, we used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EOF) analysis in summer (Jun.-Sep.) from 2000 to 2007. First mode is spatially and temporally correlated with the area influenced by the Changjiang River discharge. Second mode is temporally less sensitive with the Changjiang River discharge but spatially correlated with north-south patterns. Relatively higher POC variations during 2000 and 2003 were shown in the southern East China Sea. These patterns during 2004 and 2007 moved to the northern East China Sea. This phenomenon is better related to spatial variations of wind-direction than the amount of Changjiang River discharge, which is verified from in-situ measur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