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험장치

Search Result 3,46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of the electrostatic discharge device with the high-voltage air discharge (고전압 기중방전을 갖는 정전 방전장치의 전자기 영향)

  • Kim, Myoung-Seok;Oh, Joon-Sick;Han, Gyu-Hwan;Park,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c
    • /
    • pp.1482-1483
    • /
    • 2006
  • 고전압 방전시험 장치는 국제전기기술위원회 규격(IEC 61000-4-2)에서 규정하고 있는 콘덴서 방식을 사용하며, 매우 짧은 시간에 방전함으로서 펄스 형태의 방전전류가 통전된다. 이러한 정전기적인 방전에 의해 전자기기에 고장을 발생시키며 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정전기 내성시험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로 방전장치가 발생하는 잡음 전계량을 측정하였고, 둘째로 방전장치를 시험시료에 근접하는 방법에 따른 시험시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고, 셋째로 근접방법에 따른 정전유도 현상이 시험시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현상을 바탕으로 시험시료가 고전압 방전장치를 근접 방전하여 방전을 유발시켰을 때의 전자파의 영향에 내성을 갖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새로운 시험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ntilock Brake Controller for a Heavy Vehicle (대형차량 정착용 미끄럼방지 제동장치 전자제어기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Lee, Ki-Chang;Jeon, Jung-Woo;Hwang, Don-Ha;Nam, Taek-Kun;Kim, Yong-J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025-2027
    • /
    • 2003
  • 미끄럼방지 제동장치는 차량의 급제동 시 바퀴의 장김을 방지하여, 바퀴의 슬립을 최적으로 유지 시킴으로써 제동거리를 단축시키고, 운전자가 차량 조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드는 차량 안정장치이다. 이 장치는 비행기의 착륙거리를 줄이기 위해 개발된 이래로, 철도 및 차량 등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미 승용차를 위주로 양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미끄럼방지 제동 장치는 공압 브레이크 장치를 사용하는 대형차량 분야에서는 아직 국내에서 적용된 사례가 없었으나, 지난 3 년간의 연구개발의 성과로 대형 버스에 적용 가능한 미끄럼방지 제동장치의 전자제어기가 개발 완료되었으며, 국제 규격을 바탕으로 국내 현실에 적합한 미끄럼방지 제동장치 장착 대형차량의 시험 규격을 정하여 이 규격에 의거 제동시험을 실시하고 개발 제어기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각 제동 시험은 $\mu$-Jump 제동시험 및 Split-$\mu$ 제동시험 등의 직진 주행 중 급제동시험, 급제동 중 차선변경 시험, 장애물 회피 제동시험 등을 포괄하며 국제적인 규격을 기준으로 정한 독자 규격을 만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압 브레이크를 장착한 대형차량의 미끄럼방지 제동장치의 제동성능평가 시험방법을 소개하고, 이 방법에 의해 성능평가 시스템 및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여, 개발 전자제어기의 우수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측정결과의 일부를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Small Jet Engine Performance Test Device by Applying the Real-time Gas Turbine Engine Simulator (실시간 가스터빈 엔진 시뮬레이터를 적용한 소형 제트엔진 성능시험장치 개발)

  • Kho, Seonghee;Kong, Changduk;Ki, Ja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8 no.6
    • /
    • pp.42-49
    • /
    • 2014
  • Test device using virtual engine simulator can help reduce the number of engine tests through tests similar to the actual engine tests and repeat the test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thus reduce the engine maintenance and operating costs. Also, as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extreme conditions in which it is hard to conduct actual tests, it can prevent engine damages that may happen during the actual engine test under such conditions. In this study, an upgraded small jet engine performance test device was developed that can conduct both real and virtual engine test by applying real-time engine model to the existing micro jet engine performance test device that was previously developed by authors. This newly developed multi-purpose small jet engine performance test device is expected to be used for various educational and research purposes.

Development of Test Stand for Altitude Engine Test of Reciprocating Engine (왕복동 엔진의 고도성능시험을 위한 시험장치 개발)

  • Lee, KyungJae;Yang, InYoung;Kim, ChunTaek;Kim, DongSik;Baek, Cheulwoo;Yang, GyaeB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5a
    • /
    • pp.563-571
    • /
    • 2017
  • Test stand for altitude engine test of reciprocating engine was designed, manufactured and validated by preliminary test and simple calculation. These test stand designed to interface with Altitude turbo-shaft engine test facility of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Many limiting condition for altitude test of reciprocating engine are assumed and test stand was developed to satisfy those limits. Test stand design specially focused on a altitude, Mach number and fuel temperature control for reciprocating engine altitude test with smaller air and fuel flow than turbo-shaft engine.

  • PDF

Performance Test of Quick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성능시험)

  • Han, Seung-Ho;Yang, Seung-Kwon;Kim, Sang-Bum;Lee, Han-By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89-1190
    • /
    • 2011
  • 본 논문은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충전용 대용량 직류(DC)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급속충전기를 개발하고 그 성능을 정의하며 충전성능시험장치를 개발하여 급속충전기의 성능시험을 한 결과에 관한 것이다. 급속충전기는 EV의 충전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자 배터리가 허용하는 한계까지 전압, 특히 전류를 높여 급속히 충전을 한다. EV와 충전기 사이에는 이러한 전력공급 외에도 커넥터 연결확인 및 차량존재 유무 등의 안전을 체크하는 아날로그 시그널과 EV의 배터리관리장치(BMS)에서 충전기에 필요전력을 통보하는 디지털 통신이 필요하여 충전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전력, 아날로그 시그널, 디지털 통신을 차량 대신 동시에 주고받으며 충전기를 시험하는 충전성능 시험장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어떻게 시험장치를 구성하여 이러한 실험을 수행하였는지, 그리고 충전기성능 분석결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main electric equipment of korean high speed train (한국형 고속열차 주요 전기장치의 특성 분석)

  • Han, 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598-1600
    • /
    • 2005
  • 주전력변환장치 및 보조전원장치는 철도차량의 전체 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두 장치에 대한 다양한 성능을 평가하고 진단하기 위해 상시계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상시계측시스템을 통해 두 전장품에 대한 계측 및 분석을 통한 시험평가와 동시에 완성차시험이나 본선시운전 시험시에 발생할 수 있는 고장원인을 찾아내고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시계측시스템을 통해 주전력변환장치, 보조전원장치 등에 대한 고장진단을 실시한 내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Test Equipment For Evaluating Endothermic Performance of Fuel Supply and Cooling System in High-Speed Vehicles (고속비행체 연료 공급 및 냉각 계통의 흡열성능 평가를 위한 성능시험 장치 개발)

  • Kim, Minsang;Choi, Won;Jun, Pilsun;Park, Jeongbae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3 no.4
    • /
    • pp.43-49
    • /
    • 2019
  • In this study, a test equipment which enables to feed endothermic fuel which is heated in the inside and outside environment of a high-speed vehicle and evaluate the heat exchangers' performance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For smooth operation of the test equipment, a test procedure that supplied endothermic fuel at high temperatures was established. The catalyst performance test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pply condition of the endothermic fuel and the amount of heat absorbed was analyzed. The validation of the test equipment was prov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catalytic reaction with the previous studies under similar reaction condition. This test equipment can be utilized in the endothermic reaction tests of catalyzed endothermic fuel under various conditions.

Design and Analysis of Test Facility for the Experiment of Transpiration Cooling in Hot-flow Condition (고온유동 조건의 분출냉각 실험을 위한 시험장치의 설계 및 해석)

  • Lee, Jungmin;Na, Jaejeong;Kang, Kyoungtaik;Kwon, Minchan;Hwang,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7 no.2
    • /
    • pp.46-56
    • /
    • 2013
  • The test facility with hot-air supply system is required to develop transpiration cooling materials and experimentally evaluate its performance. In the study, the facility consists of an arc-plasma generator, plenum chamber suppling cold air, and test section was designed and an internal flow analysis was executed. From CF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ed plenum chamber thermally safeties and ideally mixes with plasma gas and cold air in the chamber. In addition, validity of design for supplying homogeneous flow to the test section was confirmed by this analysis.

Development of the Unmanned Automatic Test System for a Portable Detector using TRIZ TESE

  • Chang, YuSh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6
    • /
    • pp.63-71
    • /
    • 2021
  • This paper propose an development of the unmanned automatic test system for a portable detector using TRIZ Methodology. A new development scheme among of the unmanned automatic test system configurations was obtained after application of the TESE(Trends of Engineering System Evolution) one of the TRIZ methods. Using Pugh matrix drives some improving ideas. The key idea of this unmanned automatic test system scheme is to minimize whole test procedure time of each portable detector and to maximize the amount of portable detectors at once. Between the before and the after configurations of the 3D mechanical model find out improvements. This paper shows that the proposed development scheme improves the test performance efficiency compared to previous scheme.

Study on Vibration Characteristic Improvement of Aircraft Landing Gear Handle (항공기용 착륙장치 핸들의 진동 특성 개선에 관한 연구)

  • Kang, Gu Heon;Ahn, Jong Moo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2 no.2
    • /
    • pp.59-65
    • /
    • 2018
  • The landing gear (L/G) handle of an aircraft is an essential piece of equipment for aircraft take-off and landing. The bracket in the landing gear handle was fractured during a vibration test when developing the landing gear handle. This paper summarizes the vibration test procedures performed during landing gear handle development. A cause analysis, design improvements, and verification results of the fault in the vibration test are also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