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험장치

Search Result 3,46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조종장치 개발을 위한 지상 시험장치의 효과적인 연계방안

  • 김월동;박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4-4
    • /
    • 1997
  • 로켓 조종장치는 크게 추력방향 조종(TVC, Thrust Vector Control) 장치, 측면추력조종(Lateral Thrust Control) 장치 그리고 공기역학 조종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종장치의 공통된 특징은 모터가 작동하거나 유도탄이 비행할 때만 타의 효과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조종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상류 초음속 유동이나 삼음속 이상의 자유유동(freestream)을 지상에서 효과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지상 시험장치가 필요하다. 이 시험장치에는 초음속 풍동과 유동 시험장치(cold-flow test stand), 그리고 6분력 트러스트 스텐드가 포함된다. 삼성항공은 우주용 추진기관의 성능을 지상에서 간단한 장치를 구현하여 시험할 수 있는 모의연소 시험장치, 노즐유동에 포함된 고체입자를 직접 수집할 수 있는 고체입자 포집장치 등 각종 시험장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전술유도탄의 핵심기술가운데 하나인 조종장치와 이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지상 시험장치 확보에 착수하고 있다.

  • PDF

전기철도차량 전력변환장치 성능시험 기술

  • Kim, Myeong-Ryong;Ryu, Jun-Hyeong
    • KIPE Magazine
    • /
    • v.14 no.5
    • /
    • pp.36-41
    • /
    • 2009
  • 전기철도차량에는 대용량 추진제어 컨버터/인버터부터 소용량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에 이르기까지 철도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각종 동력 및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전력변환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전력변환장치가 추진제어인버터와 보조전원장치이다. 전기철도차량의 성능평가는 전력변환장치의 성능평가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비중을 전력변환장치가 차지하고 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국토해양부로부터 지정받은 성능시험기관으로서 국내 도시철도 및 철도차량의 성능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성능시험은 차량의 제작공정에 따라 부품시험, 구성품시험, 완성차시험, 예비주행 및 본선시운전의 각 단계별로 실시하고 그 시험기준으로 도시철도차량의 성능시험에관한기준 및 철도차량성능시험 시행지침이 적용된다. 성능시험기준을 근간으로 추진제어인버터와 보조전원장치의 성능시험 대한 시험항목과 시험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KC-100 Full-scale Static Test System (KC-100 전기체 정적 구조시험 장치)

  • Shim, Jae-Yeul;Lee, Sang-Geun;Ahn, Seok-Mi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1 no.1
    • /
    • pp.7-18
    • /
    • 2012
  • Full-scale static test was introduced for the KC-100 aircraft which is domestic civil aircraft to be certified for the first time. Test requirement, test frame, and important test stystems such as loading system, counterbalance system, restraint system and jacking system are explained in detail. Especially, the way to satisfy compliance for the installation of test article and loading system is introduced by using check sheets for the installations. 15 Full-scale and 7 local test conditions were successfully completed and the test data was obtained.

A Study on Development of Test Equipment for Voltage Variable (전압가변 시험장치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응상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2
    • /
    • pp.130-137
    • /
    • 2000
  • 신에너지 전원의 배전 계통과의 실제 연계 운전상에서 순간정전, 순간전압상승, 및 강하등의 전압가변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향에 따른 문제점을 검증하여 사전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전력품질의 변화를 임의로 발생시키고 특정시간후에 다시 원상으로 회복시키는 전원의 전압가변 시험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험장치는 개폐스위치, 바이패스 스위치, 가변 변압부, 전압·전류 검출부 직류전원공급기, 제어·구동부 , 표시·조작부 등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개발한 시험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에 의한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 배전 계통에 적용하여 순간정전, 순간전압상승 및 강하시험을 실시하며 전압·전류 파형을 측정·분석하여 시험장치의 신뢰성과 ,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광학탑재체 조립시험용 짐발장치 개발

  • Jang, Su-Yeong;Yeon, Jeong-Heum;Lee, Eung-Sik;Jeong, Dae-Jun;Yuk, Yeong-Chun;Go, Dae-Ho;Kim, Seong-Hui;Lee, Deok-Gyu;Lee, Seung-H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30.1-230.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대구경 광학탑재체의 조립, 정렬 및 시험에 사용되는 고정밀, 고안정 짐발장치의 개발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광학탑재체의 광학시험을 위해 사용되는 짐발장치는 광축높이를 유지하기 위해서 높이조절이 가능해야하고, 조립과정과 광학시험과정 그리고 시험 후 광학탑재체를 짐발 장치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수평상태와 수직상태로의 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광학측정 시험과정 중에 결상위치의 미세한 조절을 위해 광학탑재체를 수평상태에서 상하좌우 정밀한 회전이 가능해야한다. 우주궤도환경 하에서 성능측정을 위해 열진공체임버 안에서의 광학시험이 필요하므로 짐발장치를 구성하는 재질은 모두 진공사용이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광학측정 중에 측정설비주변에서부터 인가된 외란은 광학시험과 같은 민감한 시험에서는 철저하게 제거되어야 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짐발장치의 광학측정시험형상에서의 고유진동수와 같은 동적 특성도 설계과정에 반영하여 안정적인 측정 장치가 되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 PDF

광전광속측정장치 소개와 시험보고

  • 남사준
    • 전기의세계
    • /
    • v.13 no.1
    • /
    • pp.52-53
    • /
    • 1964
  • 광전광속측정장치(Photoelectric fluxmeter)는 각종 전구에 대한 시험 및 연구에 가장 중요한 광속(lumenous f.ux)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전기조명연구에 지극히 필요한 장치이나, 현재까지 국내에 설비된 시험장치가 많지 않으므로 그 생산 및 연구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던바 금반 체신부 중앙전기통신시험소에 설치되어 지난 1964년 1월 1일부터 각종 전구에 대한 광속시험을 시작하였다. 금반 설치된 장치는 imbed광속지를 수신기로 사용하고 campbell fleeth보상회로에 의하여 백열전구의 구광속 또는 평균 구면광도 및 형광등의 광속을 측정하는것으로 그 원리 및 구성 개요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Steady-Stat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Test of Small Turbo Shaft Engine with Free Power Turbine (분리축 방식 소형 터보축 엔진의 정상상태 모사 및 실험연구)

  • 공창덕;기자영;고광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23-23
    • /
    • 1997
  •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리축 방식의 터보축 엔진 개발을 위한 정상상태 해석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동일 형식의 가스터빈엔진 시험장치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프로그램의 해석결과와 비교,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시험장치는 1단 원심형 압축기, Can형 연소기, 1단 Radial형 압축기 터빈 및 동력터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력은 3상 교류발전기를 통해 획득된다. 해석에 사용된 주요 구성품의 성능곡선은 시험장치 제작자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경우에 따라 시험장치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보정하였다. 시험장치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프로그램 해석결과와 비교한 결과, 시험장치의 운용제한에 의해 실제 자동영역이 제한되기는 했으나, 압력비, 출력 등 주요 변수들에서 10% 미만의 오차를 보였다.

  • PDF

Design of the test facility for the supersonic thrust vectoring nozzle (초음속 추력편향 노즐 실험장치 설계)

  • Jeong, Han-Jin;Choi, Seong-Man;Chang, Hy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569-572
    • /
    • 2010
  • In order to study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thrust vector nozzle, the test facility and instrumentation system were designed. In this system, axial thrust, moment, exhaust gas velocity and pressure will be measured by using the scale down experimental model devices. The test facility are composed of high pressure air storage system, flow measuring and control system, test nozzle and thrust measurement system.

  • PDF

Test Device for EV Quick Charger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기 시험장치의 개발)

  • Jeong, Moon-Gyu;Lee, Han-Byul;Lim, You-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280-1281
    • /
    • 2011
  • 본 논문은 전기자동차를 10~30분간의 비교적 짧은 시간에 충전하기 위한 급속충전기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향후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의 확대보급에 따라 급속충전기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급속충전기를 쉽고 정확하게 시험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전망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KEPCO에서 개발된 급속충전기 시험장치의 기능, 사양, 구성과 함께 H/W요소의 강인성, S/W요소의 편이성을 설명하고, 개발된 시험장치의 성능시험결과를 제시하여 제안한 시험장치의 우수성을 보이고자 한다.

  • PDF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Surge Protector for 154 kV Underground Cable (154kV 지중케이블 절연통 보호장치의 기본특성 평가)

  • 김석수;조한구;박태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7a
    • /
    • pp.604-607
    • /
    • 2000
  • 뇌써지가 케이블 심선에 침입할 경우 케이블심선-시스간과 시스와 대지간의 써지임피던스 비에 따라 과 전압이 발생하며, 이와 같이 써지성 과전압이 방식층의 충격내전압치륵 초과할 경우 방식층을 보호하기 위 한 대책이 필요하며 그 보호장치로 절연통 보호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계, 제작된 절연통 보호장치에 대해 절연저항시험, 동작개시전압시험, 뇌충격제한전압시험, 충격전류시험, 방전하에서 교류내전압시험, 절연성능시험 및 내수성능시험을 실시하여 내수성능시험을 제외한 모든 시험항목에서는 그 결과가 양호하나, 내수성능시험에서는 미세한 홈으로 물이 침투되어 불량이 발생함에 따라 절연통 보호장치는 지 중송전선로에 사용되는 보호장치로서 지중조건에서의 수밀 및 기밀특성 더욱 우수해야 하므로 내수성능시험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