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야검사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2초

현미경검사를 위한 요침사 표본제작에 따른 차이 연구 (Study on the Difference of Urine Sediment Preparation for Microscopic Examination)

  • 이혁재;박철;서민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66-373
    • /
    • 2017
  • 소변검사는 다른 검사에 비해 쉽고 간편하면서도 환자에게 부담이 없는 검사로 신장 및 요로계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예후 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요 침전물은 일반적으로 원심분리된 소변을 검사자가 현미경을 통한 검경에 의해 이루어진다.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에서 제안한 가이드라인과 실제로 의료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내용이 다르고 임상병리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서적에 제시된 내용도 서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요 침전물 표본제작에 따른 차이가 검사결과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요시험지봉검사에서 잠혈반응과 백혈구 에스터라아제 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된 검체를 무작위로 선별하여 현미경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요 침전물 표본제작 차이는 요 농축 배수에 영향을 주어 cell grade나 시야 당 평균 세포 수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침전물의 농도를 결정짓는 첫 번째 요소는 원심력이다. 그러나 많은 의료기관에서 원심분리기 반경을 고려하지 않는 채 1,500 rpm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는 400 G라는 정확한 원심력을 얻을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요 농축에 있어 차이가 발생하여 결과에도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요소는 요 침사물의 양이다. 제거하고 남은 요의 상청액의 양은 요 침사물의 농축 계수에 영향을 주어 다른 결과를 초래하였다. 뿐만 아니라 피펫을 사용하여 제시된 정확한 용량을 취하지 않고 대략적으로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 경검했을 때도 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일관성 있고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를 위해 반드시 표본제작 과정이 표준화가 되어야 할 것이다.

슬관절 후내측 혹은 후외측 관절막 파열의 관절경적 봉합술 - 수술 수기 - (Arthroscopic Repair of the Postero-medial or Postero-lateral Capsule Tear in the Knee Joint - Technical Note -)

  • 안진환;조양범;이용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5-139
    • /
    • 2001
  • 목적 : 진구성 후방, 후외측 또는 후내측 회전 불안정성에 대한 수술시 후방 관절막 파열을 발견할 수는 있으나 이에 관한 관절경적 치료 방법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다. 저자들은 후내측 또는 후외측 관절막 파열을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한 새로운 관절경적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슬관절의 관절경적 기본검사 후, 후내측 도달법과 후외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확보한 후 관절경적 시야 하에서 봉합용 갈고리를 이용하여 파열된 후내측 또는 후외 측 관절막을 봉합한다. 결론 : 후방 십자인대 재건술 또는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에 대한 재건술시, 후내측 또는 후외측 관절막 파열을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은, 충분한 시야 확보로 파열된 관절막을 정확히 봉합할 수 있었으며 불안정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수기로 판단된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판 양동이형 파열의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 - 수술 수기 - (Arthroscopic Technique of Partial Meniscectomy for Bucket Handle Tear of Medial Meniscus using Posteromedial Portal)

  • 안진환;이종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75
    • /
    • 2000
  • 목적 :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기존의 보편적인 치료법인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에 비해 보다 우수한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세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 슬관절의 관절경적 기본 검사 후 파열된 반월상 연골의 정복을 시행한 수, 관절경을 후내측 구획에 위치시킨 후, 관절경적 시야 하에서 후내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관절경을 삽입하여 이 구역을 재관찰하며,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다. 결론 :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기존의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은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각 부착 부위에 대한 시야확보가 부족하여 정확한 부분 절제술이 될 수 없고, 후각부에 동반된 다른 유형의 파열이나 내측 대퇴 내과 후면의 관절 손상 등을 관찰할 수 없고, 술 중 후방 십자인대에 손상을 줄 수가 있으며, 내측 대퇴골과의 체중부하 부위에 인위적인 관절 연골 손상을 줄 수가 있다.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은 우수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PDF

Stroop 및 반구 비대칭성 효과를 통해 본 한글자모 인식과정의 특성 분석 (Recognition of Hangul alphabets as assessed by the Stroop and hemispheric lateralization)

  • 한광희;유명현;정찬섭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89년도 한글날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78-281
    • /
    • 1989
  • 한글 자모 인식과정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troop 및 반구 비대칭성 효과를 검증하였다. 피보험자들에게 두가지 색으로된 10개의 한글자모를 좌시야와 우시야에 제시하고, 그중 어떤 것이 가운데에 제시된 검사지극의 색 또는 자모형태와 같은 목표자극인가를 신속하게 판단하도록 하였다. 반구 비대칭성 및 Stroop 효과를 선택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자모 처리와 색깔 처리에서는 반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모 처리에서 반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한글 자모의 시각적 특성과 실험 절차의 특수성애 결부되어 해석되었다. Stroop 효과는 좌반구 보다는 우반구에서 의미있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뇌 반구간의 비대칭성이 확인되었고 대뇌의 좌반구는 분석적 처리에, 우반구는 전체적인 처리에 전문화 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늑막의 악성 고립성 섬유성 종양 -1례 보고- (Malignant Solitary Fibrous Tumor of the Pleura -one case report-)

  • 이희성;지현근;홍기우;안현성;박혜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97-100
    • /
    • 2001
  • 흉막의 고립성 섬유성 종양은 중피하에 존재하는 미분화 중배엽성 기원의 섬유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알려졌다. 이 종양은 대부분 양성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병리학적으로 높은 세포 밀도, 유사분열의 수가 많고(10개의 고배율 시야에서 4개 이상), 핵의 다양성, 출혈, 괴사등이 있으며 악성의 판단기준으로 보고된다. 환자는 62세 여자로 호흡곤란 및 기침을 주소로 본원에 입원하였으며 단순 흉부 방사선 및 전산화 단층 촬영상 우측 흉강내에 거대한 종양소견이 보였다. 이 종양은 23$\times$18$\times$12 cm, 2 kg의 크기와 무게를 가졌으며 우측폐 하엽과 중엽은 압박되어있었으나 종양 절개 후 재 팽창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횡경막과 심하게 유착되어 박리도중 손상이 동반되어 봉합술이 필요하였다. 병리학적으로 종괴는 세포밀도가 높았고 방추형세포의 다발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유사분열의 수가 많이(27 mitosis/10HPF)보였다. 면역 조직 화학 검사상 vimentin과 CD34에 양성 반응을 보였다. 이에 악성 고립성 섬유성 종양으로 확진되었다. 본 교실에서는 흉막에 발생한 악성 고립성 섬유성 종양을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수술 중 신경계 추적 감시 검사와 근 이완 마취 심도의 측정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and Neuromuscular Anesthesia Depth Monitoring)

  • 김상훈;박순부;강효찬;박상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17-326
    • /
    • 2020
  • 마취는 의식의 차단 역할을 하는 주 마취제와 감각, 운동, 반사의 차단을 하는 부 마취제인 근이완제로 구분된다. 깊은 의식의 차단만으로는 심한 자극에 대한 반응을 막을 수 없고, 다량의 진통제만으로는 무의식을 보장할 수 없다. 그러므로 마취는 동시에 두 가지를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근 이완제는 흡입 또는 정맥마취제의 투여 용량을 감소시키면서 기관지내 삽입관, 수술 시야 및 수술적 환경(operating conditions)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술 중 기계적 조절 환기(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시 호흡 관리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근이완제는 투여 용량이 과다하면 수술 중 신경 검사가 안 되는 영향을 줄 수 있고, 투여 용량이 부족하게 되면 환자가 수술 중 움직일 수 있어서 근 이완 마취 심도와 수술 중 감시 검사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근 이완제를 많이 사용하면, 수술 중 신경생리학적 검사가 원활하게 되지 않는 단점과 수술 이후에 완전히 근 이완효과를 제거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갖고 있다. 수술 중 감시 검사를 하는 수술에서 마취과에서는 어떠한 기준으로 근 이완제를 투여하며 유지하는지에 대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동향을 살펴 봄으로써 보다 원활한 수술 중 신경 검사가 되길 바란다.

양안경합의 감각적 상충 경험에 기초한 시각적 변화탐지 경험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Visual Change Detec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a Sensory Conflict Evoked by a Binocular Rivalry)

  • 신영선;현주석
    • 감성과학
    • /
    • 제16권3호
    • /
    • pp.341-350
    • /
    • 2013
  • 본 연구는 시야에 발생하는 현저한 시각적 변화에 대한 탐지 경험과 양안경합이 초래한 감각적 상충에 대한 탐지 경험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변화탐지 경험의 감각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는 2, 4, 6개의 항목을 단기파지 한 후 뒤이어 제시되는 검사항목과의 비교를 요구하는 변화탐지 과제가 사용되었다. 전체 변화탐지 시행 중 시각적 변화가 발생한 일부 시행에서는 검사항목 중 변화를 야기하는 한 항목에 양쪽 단안 분리 입력을 통해 서로 다른 항목이 제시되는 양안경합을 처치하였다. 실험 결과, 양안 경합이 처치되지 않은 경우 항목 개수 증가에 따른 변화탐지 정확도의 분명한 감소가 관찰된 반면 양안 경합이 처치된 경우 이러한 항목 개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항목 개수를 4, 8, 16개로 달리하는 탐색 배열 중 양안경합이 초래하는 감각적 상충을 보유한 표적 항목에 대한 탐색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양안경합 처치 유무에 관계없이 탐색이 매우 효율적인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시야의 현저한 변화에 대한 탐지 경험은 기억부담의 증감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양안경합 자극이 초래하는 감각적 상충에 대한 탐지 경험과 유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흰쥐 주폐포자충에 있어서 도말표본상 포낭의 수와 핵의 총 수와의 상관성 (Relation of cyst counts with numbers of total nuclei of Pneumocystis carinii in rats)

  • 홍성태;유지숙;이미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71-176
    • /
    • 1994
  • Wistar 계통 휜쥐를 면역억제하여 주폐포자충을 발현시킨 후, 기간 별로 폐단면 도말검사 표본에서 포낭의 수를 세고 폐 전체를 균질액으로 만들어 주폐포자충의 핵을 세었다. 또한 폐의 7개 부위에 따라서 포낭의 수를 비교하였다 포낭은 실험 3주가 되어서야 도말표본에서 20개의 1000배 확대 시야에서 평균 1개 이상이 검출될 정도로 나타났으나 폐 균질액에서 주폐포자충의 영양형은 실험 1주 후부터 $10^6$ 정도의 수가 계산되었다. 각 개체 별로 비교한 결과 도말검사에서 포낭형을 검출하려면 폐 전체에 적어도 $10^7$ 정도의 병원체가 있어야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20 개 시야에서 50 개 이상의 포낭을 관찰하는 경우에는 $10^9$ 이상의 병원체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좌우엽의 상, 중, 하 세 부분과 소엽(accessorylobe)의 부위에 따른 포낭의 수에서 어떠한 의미있는 경향을 인정할 수 없었다. 이 실험 자료를 통하여 폐 단면 도말표본에서 포낭의 수를 세는 것을 전체 병원체의 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주폐포자충은 감염 초기에 영양형으로 시작하여 일정수가 되어야 포낭형이 출현하는 것으로 추측하였다.

  • PDF

이중 파장 심자외선 카타디옵트릭 NA 0.6 대물렌즈 광학 설계 (Catadioptric NA 0.6 Objective Design in 193 nm with 266 nm Autofocus)

  • 김도희;주석영;이준호;김학용;양호순
    • 한국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3-60
    • /
    • 2023
  • 193 nm에서 반도체 전공정 검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반사 굴절 혼합 형식(카타디옵트릭)의 수치 구경(numerical aperture, NA) 0.6 대물렌즈를 설계하였다. 200 nm 공간 분해능 및 0.15 mm 이상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먼저 렌즈 전체 배치를 포커싱 렌즈 그룹, 필드 렌즈 그룹 및 NA 변환 그룹으로 구성하였으며, 선행 그룹에 포커싱된 빔의 수치 구경 값을 필요 값, 즉 0.6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총 11매의 광학 소자로 구성된 최종 설계는 모든 관측 시야에 대하여 λ/80 이하의 RMS 파면 수차를 만족하였다. 또한 고분해능 대물렌즈의 높은 환경 민감도로 인한 온도 변화에 따른 광학계 성능 해석 결과, ±0.1 ℃의 온도 변화에서도 목표 성능 이하로의 성능 저하가 확인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광학 보상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에 초점면 이동을 보상자로 적용할 경우, 20 ± 1.2 ℃까지 RMS 파면 수차 변화량이 λ/30 이하로 목표 성능을 만족하여 실제 반도체 공정 환경에서도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Web을 이용한 임상미생물 화상 CAI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Clinical Microbiology Images CAI System Using Web)

  • 구봉오;신용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45-51
    • /
    • 2004
  • 현재의 교육 소프트웨어가 기존의 전통적인 하이퍼미디어 기법이나 계층적 기법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육 소프트웨어 개발 수는 점점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방식들의 장점을 살리면서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 방식들의 하이브리드형인 구조화된 하이퍼미디어 링크기법이 최근 문헌들에서 제안되고 있다. 이 기법은 기존 기법들과 비교하여 학습자의 성취도와 학습 능력에 따른 다양한 수준의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육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임상미생물 검사실에서 수행하는 그람 염색(Gram-stain) 검사와 같은 세균 성상에 관한 교육은 체계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병리사가 업무수행 과정 중 간헐적으로 신규 병리사에게 자신이 교육에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현미경시야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행해져 왔으며 이 때문에 신규 병리사의 교육에 상당한 기간이 필요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화면간의 의미론적 연관성에 따라 링크의 존재여부가 결정되는 논리적으로 구조화된 기법을 사용하여 임상미생물 검사실에서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많은 병리사들이 그람 염색검사에 관해 학습하고 신규 병리사들을 교육할 수 있도록 Web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사용한 임상미생물 화상CAI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CAI 프로그램은 그람 염색 검사를 기반으로 하여 다른 여러 검사 방법에도 적용함으로써 임상 병리사들에게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