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스템 보안

Search Result 6,669,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ITRC의 성과를 찾아서 - 전남대학교 시스템 보안연구센터 시스템 보안의 코어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 정보보호뉴스
    • /
    • s.136
    • /
    • pp.34-35
    • /
    • 2009
  • 정보보호 분야에서는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고, 네트워크 보안, DB 보안, PC 보안 등이 적절히 어우러져야 한다. 그 중에서도 운영체제와 같은 시스템 보안연구는 정보보호의 핵심요소다. 때문에 이 분야는 그 중요성만큼이나 많은 노력과 시간이 전제되어야 한다. 전남대학교 시스템보안연구센터는 시스템 보안분야에서 약 10년간 수많은 연구성과를 내놓은, 국내 시스템 보안의 핵심 연구기관이다.

  • PDF

Development of SVDB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ecurity (보안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SVDB 개발)

  • 이원영;조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7-21
    • /
    • 2002
  • 네트워크 보안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많은 조직들이 다양한 보안 시 스템을 네트워크에 적용하고 있다. 침입 차단 시스템, 침입 탐지 시스템, 취약점 스캐너와 같은 보안 시스템들이 취약성 정보를 공유하게 되면 일관된 통합 보안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본 연구진은 통합 보안 시뮬레이션 환경의 구축을 위해 여러 보안 시스템 모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취약성 정보들을 집약시킴으로써 보안 시스템간의 정보 공유를 쉽게 할 수 있는 SVDB (Simulation based Vulnerability Data Base)를 구축하였다. 네트워크의 한 구성요소인 SVDB는 보안 시스템 모델의 구성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어 한 호스트나 네트워크가 갖는 취약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SVDB는 침입 탐지 시스템과 같은 보안 시스템이 존재하는 네트워크를 시뮬레이션 하는데 필요한 보안 정보를 제공한다. 보안시스템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은 DEVS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방법론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이렇게 구축된 시뮬레이션 모델들이 SVDB와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현하였다. 취약성 스캐너, 침입 탐지 시스템, 침임 차단 시스템이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공격에 효과적인 대응하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Wireless LAN Security System Protection Profile (무선 LAN 보안시스템 보호 프로파일 개발)

  • 김춘수;최희봉;최명길;장병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08-310
    • /
    • 2003
  • 무선 LAN 보안시스템 보호 프로파일은 취약한 무선 LAN 통신구간에 대한 보안대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하여 보안기능 및 보안평가기준을 작성한 문서이다. 이 무선 LAN 보안시스템 보호 프로파일은 개발자, 사용자, 평가자 등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C기반의 무선 LAN 보안시스템 보호 프로파일을 통하여 이동 환경용 무선 LAN에 대한 보안대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음을 보이고 이러한 보안대책으로 설계된 무선 LAN 보안시스템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있음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무선 LAN 보안시스템 보호 프로파일은 EAL 2를 만족시키는 수준이다. 본 연구 결과로 개발된 보호 프로파일은 무선 LAN 보안시스템을 개발하는 개발자, CC에 기반하여 무선 LAN 보안시스템을 평가하는 평가자, 무선 LAN 보안시스템을 사용자 요구사항에 적합하게 사용하는 사용자 등에 유용한 문서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제어 시스템에 대한 보안정책 동향 및 보안 취약점 분석

  • Choi, Myeong-Gyun;Lee, Dong-Bum;Kwak, Jin
    • Review of KIISC
    • /
    • v.21 no.5
    • /
    • pp.55-64
    • /
    • 2011
  • 제어 시스템은 수도, 오일 등 국가기반시설을 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이러한 제어 시스템을 공격 목적으로 하는 사이버 공격이 발생하고 있어 제어 시스템에 대한 보안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인 IT 시스템과는 달리 상이한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어 제어 시스템의 특성에 맞는 보안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국가에서는 제어 시스템의 보안정책을 재정립하고 있으며 연구기관을 설립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국내 외 제어 시스템에 대한 보안정책 동향 및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Research Trends and Considerations of Security Technology of Industrial Control System (산업제어시스템의 보안 기술 연구 동향 및 고찰)

  • Lee, Young Hun;Ryu, Jung Hyun;Park, Jo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149-152
    • /
    • 2018
  • 최근 국가기반시설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산업제어시스템에 대한 사이버보안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보안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산업제어시스템에서의 보안 기술은 일반적인 IT 시스템의 보안 기술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산업제어시스템과 IT 시스템은 인간이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같지만 IT 시스템은 정보 처리의 효율성을 위해 시스템을 사용하는 반면, 산업제어 시스템은 시스템의 효율성을 위해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으로 이에 알맞은 새로운 보안 체계 구성이 필요하다. 초기에는 폐쇄망 위주로 구성되었던 산업제어시스템에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발전으로 외부로부터의 사이버 위협이 가중되었다. 편리성과 효율성이 증대된 만큼 ICT의 취약점 또한 산업제어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현재 산업제어시스템의 보안 기술에 대해서는 국내에 널리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제어시스템 및 보안정책에 대해 논의한다. 관련 보안사고의 사례 및 보안 기술을 살펴봄으로써 미래 산업제어시스템의 발전과 보안 공격에 대한 충분한 보안체계를 구축하여 종합적이고, 적합한 보안 대책을 마련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Development of an ESM System using Authentication Gateway (인증 게이트웨이를 활용한 ESM 시스템의 개발)

  • 김재한;한기준;백석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509-511
    • /
    • 2003
  •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 서버들에 대한 보안 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보안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많은 보안 솔루션들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보안 솔루션을 상호 연동함으로써 종합적인 보안 관리를 하기 위한 ESM 시스템이 제시 되었다. ESM 시스템은 보안 위협에 대해 빠른 판단, 대응, 그리고 원격지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원격지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 관리는 인터넷을 거치기 때문에 많은 보안 위협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ESM의 메인 시스템 부분이 인터넷과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직접적인 보안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타겟 시스템의 모니터링 정보가 유출, 위조, 변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접근을 인증해주는 인증 게이트웨이의 활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SM의 메인 시스템 부분에 인증을 거친 에이전트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ESM 시스템의 에이전트로부터 오는 정보를 안전하게 받음으로써 원격지 네트워크상의 서버나 보안 솔루션에 대한 통합 보안 관리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인증 게이트웨이를 활용한 ESM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의 ESM시스템은 에이전트, 인증 게이트웨이, 매니저, CA 서버, 운용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 PDF

A Study on ICT Security Change and CPS Security System in the 4th Industry Age (4차 산업 시대의 ICT 보안 변화와 CPS 보안 시스템에 관한 연구)

  • Joo, Heon-Si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2
    • /
    • pp.293-300
    • /
    • 2018
  • This study explored the security of Industry 4.0 such as security trends and security threats in Industry 4.0, and security system in Industry 4.0. The threat elements in Industry 4.0 are changing from ICT to IoT and to CPS security, so security paradigm and security System should change accordingly. In particular, environmental and administrative security are more important to solve CPS security. The fourth industry-age security should change to customized security for individual systems, suggesting that the security technology that combines hardware and software in product production design should change from the beginning of development. The security system of the fourth industry proposes design and implementation as a CPS security system as a security system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devices and platforms from a security system in a single system such as a network to an individual system.

하드웨어 칩 기반 보안시스템 및 해킹동향

  • Choe, Pil-Ju;Choe, Won-Seop;Kim, Dong-Gy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5
    • /
    • pp.46-52
    • /
    • 2014
  • 최근 보안기술 동향은 소프트웨어 기반 보안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드웨어 기반 보안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드웨어 기반 보안시스템도 부채널 공격, 메모리 공격, 버스프루빙 공격과 같은 해킹 기술에 취약하다. 본고에서는 최근 보안기술 동향을 기술하고, 하드웨어 보안시스템에 대한 해킹기술 및 이에 대한 대응책에 대하여 기술한다.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를 위한 침입 방지용 통합 보안 기술

  • Kim, Jeong-Nyeo;Jang, Jong-Su;Son, Seu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9
    • /
    • pp.75-90
    • /
    • 2004
  • 기존의 정보통신 보안 인프라 강화를 위하여 많은 개별 보안 시스템들이 활용된다. 침입차단, 침입탐지, 그리고 가상사설망 장비들을 설치하여 보안성을 향상 시켰는데, 이로 인하여 각 보안 시스템 간의 정책 충돌이 발생하기도 하여 보안상 효율성이 떨어지기도 하고, 여러 보안 시스템들을 관리하여야 하는 관리상의 복잡성과 비용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침입탐지, 침입차단, 그리고 가상사설망 기능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통합 보안 엔진 개념이 부각되었으며, 이러한 통합 보안 엔진 기능을 라우터에 탑재하여 정보통신 인프라의 보안성을 강화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 보안 엔진을 라우터나 스위치 등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 탑재하여 안전한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안 프레임웍을 소개한다. 또한, 침입탐지, 침입차단, 가상사설망 기능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라우터용 통합 보안엔진의 구조를 소개하고, 이를 위해 구현된 핵심 기능을 기술한다. 이러한 통합 보안 엔진이 탑재된 보안 라우터와 기존의 보안 기능이 있는 상용 라우터와의 비교를 통하여 통합 보안 엔진이 탑재된 보안 라우터 시스템의 효율성을 설명한다.

분산 스마트 카메라 시스템 보안 이슈

  • Ryu, Dae-Hyun;Han, Jong-Wook;Cho, Hyun-Sook
    • Review of KIISC
    • /
    • v.20 no.3
    • /
    • pp.31-42
    • /
    • 2010
  • 영상 보안 시스템은 다양한 영역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보통 공적 공간 및 사적인 환경에 사용되므로, 민감한 정보나 개인 정보에 접근하거나 정보의 조작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영상 보안시스템은 분산 스마트 카메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들의 보안 문제는 네트워크 임베디드 시스템 및 센서 네트워크의 경우와 유사한 점이 있지만 개인 정보 보호 및 실시간 동작 등 스마트 카메라 네트워크만의 특별한 요구도 있다. 이러한 영상 보안 시스템의 보안 문제는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설계에서부터 보안과 개인정보보호 이슈를 고려해하여야만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영상 보안 시스템의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문제를 다룬다. 영상 보안 시스템의 일반적인 보안위험, 노드에서 문제를 분석하고 네트워크 수준에서 사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보안 요구 사항, 가능한 공격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