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스템 규격서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equirements for Satellite Image Situation Board Linkage and Display System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 요구사항 조사 및 분석)

  • Sang Min Lee;Eun Jeong Kim;Mi Rae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57-45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용자 요구사항을 조사 및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요구사항정의서와 시스템규격서를 도출하였다. 먼저, 위성영상 상황판 연계·표출시스템의 요구사항 조사를 위해 중앙재난안전상황실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수요) 조사를 수행하였다. 상황실 실무자별 요구사항을 취합한 설문 결과와 연구 1차년에 수행했던 상황실 근무자 인터뷰 결과, RFP, 연구단 내부협의 결과를 검토하여 정보제공 측면 및 위성영상 활용 측면의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도출 결과를 기반으로 시스템 요구사항을 정의한 결과, 시스템 기능은 54개의 기능과 9개의 비기능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시스템 구성요소별 요구기능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요구사항정의서를 작성하였다. 시스템 요구기능 분류는 사용자기능/관리자기능/사용자서비스/사용자인터페이스/시스템기능/시스템서비스 등으로 상세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단 협의를 통해 요구사항정의서를 기반의 시스템규격서를 작성하였다. 시스템규격서는 일반규격, 각 시스템별 성능규격, 인터페이스규격, 기능규격으로 구분하여 세부 정의하였다. 본 연구내용은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 설계 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며, 향후 위성영상을 활용한 재난안전 상황관리 대비/대응 체계 마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Dependability Management Systems (DMS 구축 방향(IEC 60300중심으로))

  • 김종걸;김진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2.06a
    • /
    • pp.309-319
    • /
    • 2002
  • IEC60300의 국제 규격은 시간종속성 경영 시스템의 규격으로써 제 1부는 시간종속성 경영 프로그램, 제 2부는 시간종속성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업무, 제 3부는 응용지침 표준의 13개의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규격은 제품의 초기 단계서부터 폐기단계까지 수명주기 전 단계에 걸쳐 운영의 효율성, 시간, 비용의 제약 하에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업들이 기본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경영모델인 ISO 9000시스템과 안전 설계를 위한 신뢰성 분야의 IEC 60300시스템의 통합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 High Performance Serial Protocol-P1355 (새로운 고성능 직렬접속 프로토콜 P1355의 표준화 동향)

  • Jun, Y.I.;Kang, S.M.;Han, W.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9 no.4
    • /
    • pp.23-34
    • /
    • 1994
  • 직렬 접속 프로토콜은 두개 이상의 근거리 시스템간의 정보 교환에 사용된다. 현재까지 공식적인 기관에서 표준화되어 제정된 직렬 접속 규격들이 가지고 있는 성능은 전송 속도 측면에서 수 kbps에서 최대 10Mbps급에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수백 Mbps 혹은 수 Gbps급에 달하는 직렬 접속 프로토콜 성능을 요구하는 고성능 통신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직렬 접속 규격이 요구되고 있다. IEEE에서 표준화 작업중인 Multi-CPU 병렬 시스템을 위한 접속 규격인 P1355 접속 규격은 경제적이며 용이한 확장성을 가지는 칩과 칩간외에 보드와 보드간 혹은 랙과 랙간의 연결이 가능한 표준 규격안이다. P1355 접속 프로토콜은 특성이 서로 다른 DS, TS, HS link 규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선로 동작 속도 측면에서 각각 200Mbps, 250Mbps, 1Gbps의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되는 데이터 심볼의 코딩 방식, 접속로 동작 초기화 및 오류 제어, 접속로의 물리적 성능 및 규격 등에서 차이를 가지고 있다. P1355는 일반적인 통신용 전송 선로에서 요구되는 물리 계층의 BER 성능보다 $10^5$에서 $10^10$배 향상된 선로 BER 특성과 이러한 하위 계층 특성을 바탕으로한 패킷 손실이 없는 간결한 상위계층 프로토콜을 특징으로 하며, 차세대 통신 수단인 ATM교환기 시스템의 서브 시스템 접속 규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량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동향

  • 박경암;백종승
    • Journal of the KSME
    • /
    • v.31 no.6
    • /
    • pp.519-526
    • /
    • 1991
  • 유량측정 정확도를 1-2% 정도 원하는 경우 ISO, AGA 등 규격서에 제시한 직관부 길이나 flow strainer를 설치하면 얻을 수 있으나 측정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소 직관부길이, straightener의 설계 개선과 최적설치 위치에 관한 연구와 규격보완을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현장에서 유량계를 교정할 수 있는 검증시스템으로 석유특유의 경우에 푸루버가 사용되고 있으나 현장 검증시스템의 용량과 측정 정확도의 향상을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고, 천연가스의 경우에는 EC에서 소닉노즐 뱅크를 제작하여 시험중에 있다.

  • PDF

ETSI BRAN(Broadband Radio Access Network)의 무선 ATM 및 광대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표준화 및 기술동향

  • 이우용;김용진;강충구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5 no.11
    • /
    • pp.124-142
    • /
    • 1998
  • ETSI BRAN (Broadband Radio Access Network)는 고속 무선 LAN 또는 고정 광대역 무선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접촉 계층과 ATM 및 IP(Internet Protocol)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위한 일부 기능을 표준화하기 위한 과제이다. 특히, BRAN의 HIPERLAN type-2(HIPERLAN/2)의 경우에는 과제의 범위는 무선 접속면, 무선 부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인터페이스, 서비스 구현에서 요구되는 연동 및 각종 지원 기능을 표준화하며, 무선 접속면의 경우에는 다수 벤더간의 상호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이다. HIPERLAN/2의 기술 규격은 코어 네트워크와 독립적인 물리계층 및 데이터 링크 제어 (DATA Link Control: DLC) 계층과 서로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위한 네트워크 수렴 부계층을 다루게 될 것이며, 초기 단계에서는 ATM과 IP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동 기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HIPERLAN/2기반의 시스템 규격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계층 및 기타 상위 계층에 대한 규격이 요규되며, 이는 ATM Forum에서의 무선 ATM 신호 방식 규격,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IP규격, 그리고 ETSI의 SMG (Special Mobile Group) 프로젝트에서 표준화되고 있는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규격 등과 접목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무선 ATM 관점에서는 완전한 시스템 규격 작성은 ETSI BRAN과 ATM Forum에서 무선 접속 규격과 이동성 관리 및 신호 방식으로 각각 이원화되어 진행되고 있다. 현재 물리 계층에서의 전송 방식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으로 확정되었으며, DLC 계층에서는 고정 길이의 TDD (Time Division Duplexing) TDMA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AP (Access Point)에 의해 동적으로 상향 링크 자원을 예약 할당하는 매체 접근 제어 (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은 DLC 계층에서는 기본적으로 짧은 길이의 패킷을 통해 다양한 대역폭의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 ATM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향후 IP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각 서비스별 QoS (Quality of Service)를 개별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향후 이 부문에 대한 표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HIPERLAN/2의 경우에는 1999년 중반까지 1차 기능 규격을 완료할 예정이며, BRAN 전반에 대한 완전한 규격을 2002년까지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시스템 안전 분석의 시스템 설계와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

  • 박중용;박영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409-414
    • /
    • 2003
  • 우리나라에는 그 동안 적지 않은 횟수의 대형 참사가 있어 왔으며, 그 때 마다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세웠지만 사고는 계속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계속되는 사고에 대해 공학적 차원에서 찾아볼 수 있는 주요 원인은 시스템을 개발하는 초기 단계부터 시스템의 안전을 고려해서 규격서를 작성하고 설계를 하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데 있다. 즉, 우리나라의 안전관리가 법률주의적 안전 보건법규에 의한 최소한의 안전성 확보라는 측면을 중요시하면서 실질적 최고수준의 안전성 확보 방안인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의 가동에는 관심이 부족했기 때문이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IEC 60300 and ISO 9000 (IEC 60300과 ISO 9000의 통합에 관한 연구)

  • Kim Jong-Gurl;Kim Jin-K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508-514
    • /
    • 2002
  • IEC60300의 국제 규격은 시간종속성 경영 시스템의 규격으로써 제1부는 시간종속성 경영 프로그램. 제 2부는 시간종속성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업무, 제 3부는 응용지짐 표준의13개의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규격은 제품의 초기 단계서부터 폐기 단계까지 수명주기 전 단계에 걸쳐 운영의 효율성, 시간, 비용의 제약 하에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최적화하기 위만 지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업들이 기본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경영 모델인 ISO 9000시스템과 안전 설계를 위한 신뢰성 분야의 IEC 60300시스템의 통합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System requirement verification process and facilitating template (시스템 요구사항 검증 절차 및 수행 템플릿)

  • Jang, Jae Deuck;Lee, Jae Ch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s Engineering
    • /
    • v.2 no.2
    • /
    • pp.33-38
    • /
    • 2006
  • It is well known that efficient management and thorough implementation of stakeholder requirements is vital for a successful development of a large-scale and complex system. Equally important is to make sure that all the requirements be correctly realized in the developed system. For the purpose, verification requirements are derived with traceability from the system requirements. This paper discusses a step by step process for constructing the requirements verification model which includes : 1) the schema modeling both requirements and their traceability; 2) the template documenting the verification requirements; 3) the verification model constructed from the schema; and 4) the test and evaluation plan that can be printed automatically.

  • PDF

Worksheet Input System for 2D Fashion Design (2D 패션디자인을 위한 Worksheet 작성 시스템)

  • Cho, Young-Hee;Lee, Hyae-Jung;Han, Sung-Kook;Lee, Yong-Ju;Jung, Sung-Tae;Joung, Suck-Te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649-653
    • /
    • 2005
  • 패션 의류업계에서 기획의도의 명확한 전달을 위해 제품 사양서, 생산의뢰서, 생산 지시서, 제조지시서 등으로 불리는 작업지시서를 사용하고 있다. 명확한 작업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소재, 제조방법, 제조규격, 불량사례 그리고 생산 공장의 작업능력을 등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작업지시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오프라인 작업지시서와 달리 손으로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접목한 디자인과 작업지시서 작성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본 시스템의 특징은 사용하기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부지시사항을 위한 도구 지원과 보다 정확하고 쉬운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며 기존 저장 데이터의 활용, 편리한 치수기입 등을 제공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ssage Format and Server for Interworking EMR System and Gateway of Medical Devices (의료기기 통합 게이트웨이와 EMR 시스템간의 연동을 위한 메시지 규격 설계 및 서버 구현)

  • Im, Seokjin;Hwang, Hee-Jo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3 no.6
    • /
    • pp.255-262
    • /
    • 2013
  • Medical Gateway(MG), that integrates medical devices with its unique data format in various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provides effectiveness in the cost of the management unlike existing systems that uses PC as a gateway to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because MG enables to interface medical devices with itself. However, in spite of using MG for integrating medical devices, we need additional programs or systems to interwork with EMR system of each hospital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of DB.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the format of medical information and server system for interworking MG with EMR system. The proposed system makes easy exchanging medical data between MG and EMR system. Thus, the proposed system can contribute to a national project to export abroad advanced hospital setup converged with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