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스템정격에너지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Multi-functional Lighting Energy Saving System (다기능 조명 에너지 절약 시스템)

  • Lee, Seong-Ryong;Ko, Sung-Hun;Cho, Sung-P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996-99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조명기기의 에너지 절약 및 전력품질 개선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에너지 절약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부하의 적정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전압제어형 인버터와 계통의 고조파 저감 및 단위역률 제어를 위한 전류제어형 인버터가 병렬로 연결된 형태로 기존의 단권 변압기를 이용하는 절전 장치의 탭 절환시의 스파이크 및 변압기 소음 문제 및 반도체 소자에 의한 절전장치의 에너지 회생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전압제어형 인버터의 용량은 정격부하의 약 10%이내이며, 전류제어형 인버터의 용량은 정격부하의 약 30%이내로 시스템의 소형 경량화 및 가격하락의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절전장치들의 문제점을 이론적 해석 및 실험을 통하여 설명하고 제안된 시스템의 동작원리 및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xternal Fault Performance Evaluation of Grid-Connected Power Conditioning System for Residential Fuel Cell System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외부사고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Lee, Jung-Woon;Seo, Won-Seok;Kim, Young-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131-131
    • /
    • 2009
  • 최근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적인 전력생산 요구 등의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전력구조가 기존의 중압 집중형 발전을 탈피한 분산전원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분산전원으로서의 전력생산은 공급의 안전성, 경쟁력 및 에너지의 지속성 등이 요구되어지는데, 재생에너지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 지속성의 한계 및 설치의 제약성을 탈피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현재 연료전지시스템이 가장 근접해 있는 실정이다. 즉, 도시가스 인프라가 우수하고 인구조밀 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의 특성상 각 가정 및 건물에 쉽게 설치하고 공급의 안전성을 갖는 건물용 연료전지는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분산전원 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올해부터 모니터링사업의 일환으로 수용가에 설치 될 연료전지 시스템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전기와 열을 각 가정에 공급하고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가는 건물용 연료전지의 분산전원으로서의 가능성 및 국민의 수용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연료전지시스템은 상용전력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정성 뿐만 아니라 상용전력의 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의 성능 및 안전성평가의 일환으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연료전지 검사를 위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시험평가 항목으로는 크게 정상특성성능시험, 보호기능성능시험, 과도응답특성성능시험 및 외부사고성능시험 등으로 나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사고 성능시험 항목들인 출력측 단락시험, 계통전압 순간정전?순간강하시험 및 부하차단 시험 등을 통하여 외부사고에 대한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외부사고 성능시험의 주 목적은 시스템의 이상 운전이 아니라 외부의 영향에 따른 시스템의 안전성 및 전력품질을 평가한다. 출력측 단락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력변환장치를 정격 출력 전압, 정격 출력 주파수 및 정격 출력에서 운전한 후, 교류 전원장치는 단락 전류를 검출하여, 사고 발생 후 0.3초 이내에 개방하도록 설정하였다. 여기서, 단락 저항 Rsc를 정격 전류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부하와 같은 값으로 설정하였다. 스위치 SWSC를 폐로하여 단락 상태를 만들며, 이 때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전류와 차단 또는 정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한 판정기준은 단락전류를 검출하여 0.5초 이내에 개폐기 개방 또는 게이트 블록 기능이 동작하여 시스템을 안정하게 정지시키고 시스템 어떤 부위에도 손상이 없어야 한다. 실험 결과 파워컨디셔너의 출력전류 및 차단 또는 정지된시간이 40ms로 나타났고, 출력전류의 파형도 매우 안정함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모든 실험을 수행한 결과 외부사고에 대하여 시스템이 안전하게 정지하는 등 연료전지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 PDF

Synchronous Operation of Induction Motor by Double-Excitation (이중여자에 의한 유도전동기의 동기운전)

  • 김한성;강만원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7 no.5
    • /
    • pp.51-59
    • /
    • 1993
  • 이중여자 유도전동기의 두 3상 시스템중 하나는 직접 전원에 접속되어서 에너지 변환을 담당하고 다른 3상 시스템은 전류의 크기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는 인버터에 접속되었다. 단일여자 모드에서 운전되는 기계는 유도모드만 가능하나 이중여자 모드에서 운전되는 기계는 유도모드와 동기모드 둘 다 가능하다. 동기모드에서 운전되는 이중여자 유도전동기의 효율은 유도모드나 기존의 유도전동기 보다 높으며 속도 제어용 인버터 정격은 일반적으로 기계정격보다 크지만 이중여자 시스템에서는 기계 정격의 일부로 가능하다. 동기모드에서 속도는 인버터 출력전류의 크기나 주파수를 가변함으로서 제어될 수 있으며 이중여자 유도전동기를 가변속도 시스템에 사용하면 다른 전기기계의 사용에 비해 유지보수비와 가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Study on the Small Scale CGS for APT. Complex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한 소형 열병합 발전 시스템 검토)

  • 박화춘;박병식;정우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0.11a
    • /
    • pp.221-227
    • /
    • 2000
  • The optimal capacity of CGS(Co-Generation Sys.) for APT. complex is 300kW output of electricity power from being considered the simple payback period, loss and benefit, and the running mode of CGS. The proper operation mode of CGS is as follows; If the demanding electricity load of APT. complex is within the range of capacity of generator(300kW), CGS is connected and operated with KEPCO grid. When the load ratio is over 50% of normal load of CGS(300kW), only CGS supply electricity demand. If not, the electricity line of CGS is exchanged to that of KEPCO.

  • PDF

Pitch Angle Controller of Wind Turbine System Using Neural Network (신경망을 이용한 풍력 발전시스템의 피치제어)

  • Hong, Min-Ho;Ko, Seung-Youn;Kim, Ho-Chan;Hur, Jong-Chul;Kang, Min-J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2
    • /
    • pp.1059-1065
    • /
    • 2014
  • Wind turbine system can obtain the maximum wind energy using torque control under the rated wind speed, and wind turbine power is controlled as the rated power using pitch control over the rated wind speed.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wind turbine pitch controller using neural networks. The purpose of the pitch control is to control generator speed and power in the above rated wind speed. To improve the neural network pitch controller, the difference between a rated and current speed of generator has been used for another input of neural networks as well as wind speed. Error back-propagation algorithm is used for training the neural network pitch controller and simulation and Matlab/Simulink is used for verifying that this system is controlled well.

시동특성 해석을 통한 수평축 풍력발전 시스템의 운용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공창덕;방조혁;신현기;정종철;김학봉;김종식;유지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4a
    • /
    • pp.12-12
    • /
    • 1999
  •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교류발전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정한 주파수를 얻기 위해 정속회전수로 운용되고 있다. 또한 대용량의 풍력발전기는 정격풍속이 10-13m/s 정도이므로 년평균풍속이 4m/s 이하인 우리나라에서는 년간 출력의 대부분을 정격출력 이하에서 운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정속회전수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풍력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

  • PDF

Performance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Gas Fuel Processor for 1kW Class PEMFCs (1kW급 고분자 연료전지용 통합형 천연가스 개질 수소 제조 시스템의 성능 및 운전 특성)

  • Seo, Yu-Taek;Seo, Dong-Joo;Seo, Young-Seog;Roh, Hyun-Seog;Jeong, Jin-Hyeok;Yoon, Wang-La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17-20
    • /
    • 200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가정용 고분자연료전지 열병합 발전시스템을 위한 통합형 천연가스 연료처리 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가정용 시스템으로서 필수적인 소형화와 고효율을 현실화하기 위해, 연료처리 시스템의 각 단위 공정 즉 수증기 개질, 수성가스 전이, 선택적 산화 공정 등을 이중 동 심관형 반응기에 통합하여 상호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반응기를 설계하였다. 현재 시험 운전 중인 Prototype-I 연료 처리 시스템은 1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에 개질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기초 성능은 정격 부하 운전시 열효율 78% (HHV 기준), 메탄 전환율 91%이다. 개질 가스 내 일산화탄소 농도는 고분자 연료전지 전극의 피독을 피하기 위해 10pp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며, Prototype-I 연료 처리 시스템은 백금과 루테늄 촉매를 적용한 선택적 산화 반응기를 통해 개질 가스 내 일산화탄소 농도를 10ppm 이하로 제거하였다. 일반 가정에서는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의 부하 변동이 예상되기 때문에 연료 처리 시스템의 부하 변동 운전 특성도 살펴보았다 정격 부하에서 80%, 60%, 40%로 부하를 변동하며 운전하였고, 각 부하에서 안정한 메탄 전환율과 10ppm이하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보였다. 80%까지는 열효율이 77%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60%에서는 76%, 40%에서는 72%로 열효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연료 처리 시스템의 일일 시동-정지 운전시 내구성을 테스트 중이다. 현재까지 50여회의 일일-시동 정지를 시도하였다 시동 후 약 세 시간가량의 정력 부하 운전을 실시한 후 부하 변동을 실시하였고, 총 운전 시간 8시간 정도 운전한 후 시스템을 정지하였다 메탄 전환율과 일산화 탄소 농도, 열효율을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초기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 일일시동-정지 운전 시험을 지속하면서 초기 시동 특성 및 부하 변동에 따른 응답 특성 개선, 그리고 연료전지와의 연계 운전을 실시할 예정이다

  • PDF

The Study of the Dynamic Breaking of the DC Motor (직류 전동기의 동적 제동에 대한 연구)

  • 서주하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4 no.4
    • /
    • pp.52-60
    • /
    • 1990
  • 회수되는 에너지가 적거나 제동이 빈번하지 않은 시스템에서는 동적 제동이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 가능한 스위치를 하나만 사용한 여러회로중 전류의 연속성, 회로의 간단성, 정격보다 큰 전압에서의 스위치 전압 등을 비교 분석하여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회로를 선택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회로가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다.

  • PDF

750kW급 Geared Type 풍력발전시스템 개발

  • Cha, Jong-Hwan;Han, Sang-Yeol;Lee, Ho-Jun;Go, Jang-Uk;Lee, Hyeon-Ju;O, Si-Deok;Sin, Hyeong-Gi;Lee, Su-Gap;Kim, Tae-Uk;Seong, Dae-Yeong;Park, Seong-Ba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19-22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및 환경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하여 750kW급 Geared Type 가변속 풍력 발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풍력발전시스템이 급속히 대용량화됨을 고려하여 MW급의 기술 조합이 반영되도록 설계하였으며, 베어링과 같은 국내 인프라가 부족한 구성품을 제외한 모든 구성기기들을 자체 설계/제작하였다. 블레이드는 국내 풍황에 적합하도록 자체 에어포일을 설계하여 개발하였으며, 가변속 제어를 위한 이중 여자 유도발전기 및 제어기와 Down sizing 구현을 위한 유성 및 헬리컬 기어 혼합형 증속기를 개발하여 시동 풍속 3.5m/s, 정지 풍속 25m/s, 정격 풍속은 12.7m/s이며 IEC 61400-1의 Class I 에 준한 750kW급 풍력 발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f Literary Therapy on the Rated Sijo as a Conductor that Works the Motherboard of Mind (마음의 메인보드를 작동시키는 전도체로서의 정격 시조에 관한 문학치료 연구)

  • Park, In-kwa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2 no.4
    • /
    • pp.31-40
    • /
    • 2016
  • The hardware of the human body is given the life force by the sentence which is the physiological software that the program for cell activation by the electrical signal ent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better therapeutic environment for the human body that groaned with errors in the physiological and cognitive systems that are transmitted to neurons and neurons. The sentence program of the rated sijo, which is the software of the human body which has the function as a conductor to connect the emotions of joy, anger, sadness, and enthusiasm to the human mental system, can be connected to the neuron system of the human body, we tried to identify the principle of operating the motherboard of mind in humanities. Once these principles are identified, we can figure out how to minimize side effects and lead the body to a therapeutic program. The research found that there is a strong energy source that can operate the motherboard of the heart very quickly in the rated Sijo. This is because it is confirmed that new coding and re-coding of a number of rated sijo, or a new syllable of one syllable followed by the original syllable of the original syllable, are formed quickly and therapeutically.This has led to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herapy for mankind to upgrade the human psychic system in abundance through the func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entence as a conductor that is synaptically connected to the human body and the mainboard of the mind attached to the human body without side effec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