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현황관리

Search Result 69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사용후핵연료 차세대관리 종합공정 실증시설 개발 현황

  • 유길성;정원명;구정회;조일제;국동학;이은표;박성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344-344
    • /
    • 2004
  •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는 사용후핵연료의 체적을 감소시켜 저장 안전성 및 경제성을 확보키 위한 사용후핵연료 차세대관리 공정(ACP)을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의 개발을 위해서는 사용후핵연료를 사용한 실증시험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alpha}-{\gamma}$ type의 hot cell 시설 및 부속시설이 필요하다. 연구소는 별도의 실증시설에 요구되는 고 비용을 줄이기 위해 현재 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조사재시험시설(IMEF)의 지하에 위치한 예비 hot cell을 활용키로 하고 차세대관리 종합공정의 특성 및 용도에 맞는 시설의 수정/보완 업무를 수행해오고 있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Traff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GIS를 이용한 교통정보관리 시스템 개발)

  • Park, Min-Soo;Hirofumi, Imach;NamGung, Moo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113-11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최종목표인 교통 정보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1) GIS, 2) 교통시설정보, 3) 교통사고정보를 하나로 통합 운영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이용되고 있는 교통시설정보 및 교통사고정보의 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교통 정보 관리시스템 설계를 위한 정보를 획득하였다. 수집된 설계 정보를 바탕으로 교통 정보 관리시스템 Logic을 설계하고 설계된 Logic을 기반으로 교통시설관리 시스템과 교통사고관리 시스템을 각각 구현하였으며, 구현된 시스템을 통합하여 교통 정보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개발한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 통합 시험을 실시하고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효율성 높은 교통 정보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고도의 정보화 사회에서 지형공간과 관련된 시설물 정보를 비롯한 다량의 정보를 신속히 처리하고 계획 변경 및 시설물의 위치, 보수 및 관리에 있어서 본 연구의 기법을 활용하면 계획수립 및 의사결정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e Using the Management Condition Evaluation of Public Facilities in Japan (일본공공시설의 시설운영관리평가를 통한 실태조사연구 -지방자치단체간 비교분석을 통하여-)

  • Yi, Sang-Jun;Komatsu, Yuki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843-846
    • /
    • 2008
  • There are a lot of municipalities that do not grasp even by the current state of having public facilities though various management&maintenance researches have been done.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make it to the foundation of the maintenance management plan establishment of the municipality in the future through investigating,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management&maintenance of the public facilities. Tn the beginning, I collect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of the community facilities of the municipality. To read the current state of the management condition of the object facilities from the collection data, I applied the radar chart that used the deviation value of the evaluation index and PPM matri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discovered that there is a municipality thought to having efficient facilities maintenance management.

  • PDF

우리나라 ESCO와 ESCO협회 현황

  • 남장현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1
    • /
    • pp.60-63
    • /
    • 1999
  • 우리나라에서의 ESCO는 에너지 저소비형 경제$\cdot$산업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91년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의 개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그 이듬해인 92년 삼성에버랜드 등 3개 업체가 등록함으로써 활동을 시작한 이래 99년 12월 현재 54개 업체가 등록하여 활동 중에 있다. ESCO란 주지하다시피 에너지사용시설에 선투자하고 그 투자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절감액으로 투자비와 이윤을 회수하는 기업을 말한다. 따라서 ESCO는 에너지사용시설의 에너지절약을 위한 관리$\cdot$용역사업, 에너지 절약형 시설투자에 관한 사업, 에너지관리진단 사업 등 에너지절약과 관련된 사업을 주업무영역으로 삼고있다.

  • PDF

사용후핵연료 파이로공정 시설의 안전성 연구현황

  • Yu, Gil-Seong;Jo, Il-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9.06a
    • /
    • pp.253-253
    • /
    • 2009
  • 전세계적 고유가 및 $CO_2$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 동 앞으로의 에너지 개발은 지속가능하며, 환경친화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가장 값싼 에너지원의 하나이며, 또한 환경문제에서도 유리한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지난 약 30년 정도의 침체기간을 거친후 미국, 중국, 인도, 유럽, 아시아 등을 중심으로 다시 부활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 원자력에너지의 활발한 이용 및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문제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며, 그 중에서도 사용후핵연료의 관리문제는 원자력 발전소의 계속 운전을 위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도 2008년 12월 결정된 정부의 "미래 원자력시스템 개발 Action Plan" 을 통해 이러한 사용후핵연료의 관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과제를 10여년 동안 수행해오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파이로(Pyroprocess) 공정개발이다. 1997년부터 관련연구가 착수되어, 2001년부터는 약 6년간에 걸쳐 파이로의 전처리 공정 및 전해환원 공정에 대한 실험실 규모 실증시설인 ACPF(Advanced spent fuel Conditioning Process Facility)를 개발한 바 있다. 또한 향후 파이로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2016년 까지 약 10톤/년 규모의 공학규모 파이로 실증시설(ESPF)을 건설하고 이를 기초로 2025년까지 100톤/년 규모의 파이로 상용시설 (KAPF) 을 건설하여 여기서 나온 우라늄 및 TRU 물질을 이용해 2030년까지 개발 예정인 소듐냉각 고속로에 필요한 핵연료를 제작, 공급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파이로 시설개발의 가장 중요한 인자중 하나인 시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외국 및 국내에서의 연구개발 현황을 알아보고 안전성 분석 및 평가방법에 대한 기본 인자들을 도출해 보았다. 또한 파이로 시설의 인허가를 위한 사용후핵연료 처리시설 규제관련 국, 내외의 연구현황도 알아보았다.

  • PDF

Assessment Level of Safe and Maintenance Based on Safety Inspection Data of Small Vulnerable Facilities in Domestic (국내 소규모취약시설 안전점검 데이터기반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평가)

  • Kim, Min-Su;Lee, Jeong-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5 no.6
    • /
    • pp.121-130
    • /
    • 2021
  • Recently, the need for new approaches and recognition of safety and maintenance has been raised for small vulnerable facilities in Korea due to the acceleration of aging facilities, various safety accidents, and increased frequency of use. In particular, small vulnerable facilities(SVF), including most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facilities used by many of the vulnerable groups, and safety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various statuses based on safety inspection results (31,114 cases) conducted over the past 13 years (2008-2020) for small vulnerable facilities in Korea, and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and safety and maintenance performance level. This aims to present policy directions for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of facilities for the vulnerable by using basic data such as improvement of safety standards and maintenance strategies for small vulnerable facilities in Korea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Facility Management Method through Actual Condition of Space Management - Based on the National University (공간관리 현황조사를 통한 대학시설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Ryu, Soo-Hoon;Lee, Hwa-R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16 no.4
    • /
    • pp.79-88
    • /
    • 2009
  • To enhance the administrational efficiency and for university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to be public, this research suggests a competent and an objective evaluation system and index. The study will assist national and university finances to contribute towards advanced education. Furthermore, figure out the space management condition of national university by utilizing the evaluation system, and through that suggesting efficient special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evaluation system for university facility can be widely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system preparation, members conference, propriety of space allocation, propriety of management system, space use ratio, time control of space use, imposition index of surplus use. Based on these subdivisions, the space management category contains 19 evaluation items and the marking system allows perfect score of 100 points. In result of examining space management condition using the evaluation system, space management was well enforced in research focused university group where as in education centered university group, it shows relatively low enforcement. It also illustrated that efforts of evaluation items were required in categories of imposition index of surplus use and special use ratio in order for efficient space management.

Current State of Development on Fuel Cell Safety Code (연료전지 안전기준 개발 현황)

  • Choi, Jae Uk;Lee, Jung Woo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4 no.4
    • /
    • pp.52-61
    • /
    • 2021
  • 2019년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후 수소연료전지 보급에 추진 동력원이 되었고, 2020년 2월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세계 최초로 제정되면서 수소연료전지의 안정적인 보급 확산을 견인하고 있다. 수소안전관리에 의한 법률에 의해 수소용품 4종 및 수소사용시설 1종에 대한 KGS Code 3종(수소추출설비, 고정형 연료전지, 수소연료사용시설)이 2021년 7월 제정되었고, 8월 2종(수전해설비, 지게차용 이동형 연료전지)이 추가 제정되어 2022년 2월부터 수소용품 및 시설에 대한 안전관리가 시작된다. 연료전지의 안정적인 보급을 위해서는 국내에 적합한 안전기준 개발이 필수적이다. 또한 신규 출현되는 제품 및 시설의 개발·보급 시기에 맞추어 안전 기준 개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고정형 및 이동형 연료전지의 국내외 안전기준 분석 및 위험요소 분석 등을 통한 연료전지 안전기준 개발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파이로 기술 및 관련 시설 개발 현황

  • Park, Seong-Bin;Choe, Eun-Yeong;Baek, Seung-U;Park, Hwan-Seo;Jo, Il-Je;Park, Geun-Il;Lee, Han-Su;Kim, In-Tae
    • Nuclear industry
    • /
    • v.34 no.3
    • /
    • pp.39-43
    • /
    • 2014
  •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의 일환으로 파이로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파이로 기술은 PWR 사용후핵연료를 처리함으로써 사용후핵연료의 부피, 방사성 독성, 열부하 및 처분장 면적 등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TRU 핵종들을 함께 회수하여 소듐냉각고속로의 금속 연료로 제공이 가능하므로 핵저항성과 핵연료의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되고 있는 파이로 공정 기술에 대해 전처리 공정에서부터 마지막 폐기물 처리 공정에 이르기까지의 공정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 시설인 DFDF 시설과 ACPF 시설, 그리고 공학 규모 파이로 일관 공정 시험 시설인 PRIDE 3) 시설의 개발 현황을 설명하고자 한다.

  • PDF

Introduction of Smart Water Management Technologies in Dhulikhel Municipality, Nepal (네팔 둘리켈시 스마트 물관리 기술 도입 방안)

  • Dong Woo Jang;Seo Hyun Cheon;Joo W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77-77
    • /
    • 2023
  • 네팔은 6천여 개가 넘는 강이 존재하며 불안정한 기후로 인해 산사태와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노후된 상수도 시설 문제도 있어 효과적인 물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네팔 카트만두 인근의 소도시인 둘리켈시를 대상지역으로 하여 스마트 물관리 도입 방안에 대한 타당성 연구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물관리(SWM)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상수도 관리 기술이 둘리켈시 수돗물 공급 전과정에서 수량·수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주요 연구로 국내 스마트물관리 기술의 네팔 적용성 분석, 수운영 자료및 현황 조사, 스마트 물관리 도입을 위한 수도 시설의 설계 방향을 수립하였고, 기술 도입과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스마트 물관리 기술의 적용 타당성 분석을 위하여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고, 수리 계측데이터의 분석, 수원지, 정수장, 주요 관로에서의 수질을 분석하였다. 이외에 관망수리해석을 기반으로 대상지역 내 공급가능한 수량을 산정하였고, 상수도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추가시설 확보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조건에서의 상수도 운영, 관리체계를 분석하여 노후화된 상수도 시설의 개선 및 보완 방안, 스마트 물관리 기술 도입 가능성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본계획과 실시설계를 통하여 스마트 물관리 인프라가 둘리켈시에 도입될 경우, 물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 및 수질 안정성 확보, 상수관망에서 수질 및 누수 사고에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인근 카트만두를 비롯한 지방 소도시에도 스마트 물관리 기술적용에 기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