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운영관리

Search Result 1,30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Business Reference Models for the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Government Enterprise Architecture (범정부 EA에 기반한 인프라 자산관리정보시스템의 업무참조모델 개발)

  • Nah, Hei-Sook;Choi, Won-Sik;Jeong, Seong-Yun;Oh, Seung-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373-1374
    • /
    • 2012
  • 공공시설 자산관리는 기존의 대응적 유지보수 개념의 시설물유지관리체계에서 예방적 유지보수 개념으로 전환한 시설물 유지보수의 새로운 개념이다.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공공시설관리 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자산관리 모형이 표준화되어 범정부EA 지원시스템에 목표아키텍처로 등록되고 더 나아가서는 범정부 표준시스템으로 만들어 필요한 기관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시설 자산관리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참조모델을 시스템의 상호운영성과 정보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용이하도록 범정부EA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제시한 자산관리 참조모델이 GEAP에 등록 관리 된다면 이것을 바탕으로 타 기관에서 향후 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때 사전에 파악하고 활용하도록 제안 할 수 있을 것이다.

효율적인 항로표지시설 관리를 위한 거점등대 중심의 광역관리체계 구축 연구

  • Guk, Seung-Gi;Park, Hye-Ri;Jeong, Ha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344-346
    • /
    • 2015
  • 항로표지시설(Aids to Navigation, AtoN)은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 및 효율적인 항해를 위하여 설치 운영되는 것으로 현재 우리나라는 총 4,722기의 항로표지시설을 해양수산부 산하 해사안전국 항로표지과를 중심으로 해양수산부장관 소속으로 11개의 지방해양수산청을 두고 항로표지시설 설치 유지 및 보수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각 직무에 대한 명확한 업무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지방청별 관리해역을 기준으로 항로표지시설을 관리하고 있어 실질적인 업무 상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항로표지시설을 인적요소와 물적요소로 구분하여 전체 항로표지시설 관리체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업무량 기반의 항로표지시설 관리 인적요소 체계를 구성하고, 이를 통한 거점등대 중심의 효율적인 물적요소 관리체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Operating Direction of Integrated Real-time Discharge Measurement System: By Apply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기술을 적용한 수문조사시설 운영·관리 효율화 및 방향)

  • Dong Heon Oh;Sang Uk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9-439
    • /
    • 2023
  • 근래 국내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호우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로 급격한 하천 수위상승 및 유량 증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실시간 자료수집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여 우리는 물 순환에 관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홍수예보를 위한 수문조사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대부분 하천과 인접한 곳에 설치되는 시설 특성상 시스템 오류, 전원 이상 발생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는 자료 결측·손실에 즉각적인 조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현장 기반 시설의 안정적인 운영을 통한 연속성 있는 자료 제공을 위해 수문조사시설 중 하천 내 설치된 유량측정시스템에 ICT·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적용하여 현장 환경-정보 등 언택트(non-contact) 모니터링을 통해 실시간 점검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2022년 기준 총 508회(현장점검 358회) 점검 중 150회 원격점검을 수행하였고, 이중 74회 즉각 점검 및 복구 조치가 이루어져 점검 시간 단축을 통한 자료 결측 최소화, 현장점검 최소화를 통해 효율적인 시설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점검을 위해 현장 이동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으로 탄소중립 효과도 나타낼 수 있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사회환경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비대면 활성화, 탄소중립, 안전하고 건전한 사회환경 조성 등과 같이 대면 위주로 운영되는 현장 시설의 관리 방향 또한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시설물 운영, 예산 절감, 자료의 연속성 확보 등을 위해 적극적인 운영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art pipe network operating platform focused on water quality management (스마트 상수관망 수질관리 운영플랫폼 개발과 적용)

  • Dae Hee Park;Ju Hw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53-453
    • /
    • 2023
  • 상수관망의 수질사고와 이상상황 발생시 대응을 위해서는 급수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수질측정기, 정밀여과장치, 재염소주입설비, 자동드레인 등의 계측·제어설비들 간의 유기적인 정보공유를 통한 제어를 필요로 한다. 스마트 상수관망 운영플랫폼은 이러한 인프라 시설의 운영방안을 고려하여 분산되어 있는 계측데이터를 통합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상수관망 운영플랫폼은 능동형 분석 제어기술을 도입하여, 스마트 상수관망 인프라 설비를 최적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통합운영 플랫폼은 PostgreSQL, PostGIS, GeoServer, OpenLayer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플랫폼은 계측감시, 시설관리, 운영제어 등의 기능으로 구성되며, 상수도 업무지원을 위한 관망해석 및 네트워크 분석 기능을 지원한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 상수도 구축사업을 통해 구축한 유량·수질모니터링 장비와 수질관리를 위해 도입된 재염소, 자동드레인 설비의 운영상태를 실시간 조회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관망해석 프로그램 그리고 대상설비의 최적제어를 위한 운영관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측정되고 있는 유량, 수압, 수질, 펌프운전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망해석 프로그램은 EPA_Net모형과 연계되어 관망수리·수질해석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재염소설비의 염소 추가주입이나 자동드레인을 통한 배제시 나타나게되는 관의 수리·수질변화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분석하고 결과를 가시화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운영관리 프로그램은 재염소 주입이 필요할 경우 주입량의 산정하는 부분과 관망 파손이나 수질사고 발생시 최적 단수예상지역을 도출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스마트 상수관망의 능동형 수질관리를 추진하는 지자체에 도입하여 인프라운영관리 기술 확보 및 수질관리 능력 개선과 실시간 감시 및 위기 대응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afety Management Network of Sports Facilities Abroad and System Status (해외의 스포츠시설 안전관리 네트워크 및 시스템 현황)

  • Kim, Il-Gwang;Kwon, Hei-Won;Choi, Jin-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547-56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mandatory regulation for Korean sports facilities and the preliminary data for building sport safety management manual through sports facilities abroad and system status. Futhermor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sports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this research performed the benchmarking of each country sports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in the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DHS) leads effort to achieve a safe, secure, and resilient homeland. In Germany, law & regulations, sports facilities safety guideline and expert extension have been reviewed. Germany is more realistic and practical than other countries. In Australia, Major Hazard Facilities(MHF) is responsible for eliminating the risk of a major incident. Emergency Management System(EMS) should spontaneously respond when the alarm is raised as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are vital to ensuring that a small incident does not escalate to become a major disaster.

지면보수교육 - 암관리법 완화의료 관련 규정

  • 한국가톨릭호스피스협회
    • Hospice
    • /
    • s.54
    • /
    • pp.2-5
    • /
    • 2012
  • 2006년 정부에서 암정복 10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추진전략의 하나로 암환자 재활 및 완화의료 지원 강화가 포함되었다. 2008년부터 '말기암환자 전문의료기관 지정고시'를 제정하여 인력, 시설, 장비기준을 충족할 경우 완화의료전문기관으로 지정하여 사업평가 및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2010년 암관리법이 개정 공포되면서 '완화의료제도' 관련규정 또한 강화되었으며, 2011년 대상자, 사업범위, 인력기준, 시설기준 등이 포함된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개정 공포함에 따라 말기암환자 완화의료 전문기관에서는 이 규정에 따라 평가 및 운영되고 있다. 말기암환자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일부이지만 현재 정부의 제도안에서 시행되는 법령이기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운영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암관리법 중 완화의료관련 규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HTML5기반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 구성 방안 연구

  • 채정근;박종현;고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87-88
    • /
    • 2021
  • 항로표지 관리운영 시스템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등대 및 등부표 등 항로표지 시설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고 무인관측장치를 통해 해양기상정보를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항로표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지방청별로 운영하고 있다. 기존의 항로표지 관리운영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으로 개발되어 통합관리운영시스템과 같은 대형시스템에 부적합하고, 소프트웨어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웹 서버 기반의 항로표지 통합관리운영 시스템 구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항로표지의 통합적인 관리에 적합하고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에 유리한 항로표지 통합관리운용 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 PDF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Public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Bukpyeong Industrial Complexes (북평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Park, Woon Ji;Shim, Jung Min;Choi, Yong Hun;Lee, Gwan Jae;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5-425
    • /
    • 2021
  • 북평산업단지내 공공폐수처리시설(6,500톤/일)의 가동률은 30% 이하로 매우 저조하며, 폐수배출업체는 29개소로 그 수가 적어 배출오염부하량 비율에 따른 처리비용이 일부 업체의 경우 과도하게 부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입주업체 운영비용 부담을 저감하기 위해 해당 지자체에서는 운영비용의 65% 이내에서 일정금액을 지원하고 있으나, 동일업종에 대한 원인자비용부담금 비율의 경우, 동해시 A업체는 30.18%로 타 지역 B업체의 4.83%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자체 지원금을 제외한 순수 처리부과금의 경우 A업체가 2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북평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전체 운영비 절감을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평산업단지내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현황을 검토하여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운영시설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법률 및 계획등을 검토한 결과, 북평산단 지역은 하수처리 구역이 아닌 공공폐수처리구역으로 산업폐수의 공공하수도처리시설 연계처리 지침에 따라 인근 공공하수처리시설과의 연계처리가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가동률이 저조한 처리시설에 대해서는 시설개선을 통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현 처리시설의 공정개선을 통한 운영비 절감방안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현재 생물 반응조 후단에서 운영 중인 가압 부상조에 새로운 배관을 설치하여, 최초 침전지 유출수를 가압부상조 처리 후, 생물 반응조로 유입하고, 최종 침전 후 총인을 제어 할 수 있는 약품투입 시설을 설치하는 공정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생물 반응조 이전에 가압부상조를 설치하고, 후단 가압 부상조 미운영시 공정개선 전·후에 따른 총 슬러지 발생량은 24.2%, 탈수케익 처리비용은 27.6%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산정되었으며, 전체 처리시설에 대한 총 운영비 감소율은 13.4%로 분석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method management for water resources facilities using RFID (RFID를 이용한 수자원시설관리기법 개발)

  • Hwang, Eui-Ho;Koh, Deuk-Koo;Lee, Geun-Sang;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23-1728
    • /
    • 2009
  • 수자원시설물의 유지관리와 조사, 계획, 설계, 제작, 설치, 운전, 보전을 거쳐 폐기에 이르는 시설물의 Life Cycle을 관리하기 위해 IT 기술을 이용하여 설비를 체계적으로 운영 관리하고 있다. 수자원시설의 점검관리에 있어 기존의 관리방법은 점검자가 관리항목을 대장에 기입하고 기입한 자료를 PC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업무의 복잡성 및 중복성이 발생됨으로써 업무효율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기술인 RFID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수자원시설에 대하여 표준코드를 정립하였으며, 수자원시설 이력관리 구축을 위하여 RFID 현장에 적용하고,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이력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체계적인 시설관리 기반을 구축하였다. 이로써,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시설물의 이력정보를 활용하여 설비 교체주기, 통계자료 조회, 예산 반영 계획수립 등의 업무에 즉시 적용이 가능하며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