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용량

Search Result 59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Infra-Capacity Analysis for Optimal Operating Environments of Supercomputer Center (슈퍼컴퓨터센터의 최적 운영환경을 위한 기반시설 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 Ryu, Young-Hee;Sung, Jin-Woo;Kim, Duk-Su;Kil, Seong-Ho
    • KIEAE Journal
    • /
    • v.10 no.2
    • /
    • pp.19-24
    • /
    • 2010
  • According to the increasing demands of supercomputer, an exclusive supercomputer building is requested to install a supercomputer for promoting high-end R&D as well as creating the public service infrastructure in the national level. KISTI, as a public supercomputer center with the 4th supercomputer (capacity of 360Tflops), is experiencing shortage of infrastructure systems, caused by increased capacity. Thu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ituation will be growing serious when the 5th and 6th supercomputers will be installed. On this study, analyzed on the 5th supercomputer system through projecting performance level and optimal operating environments by assessing infra-capacity. Explored way to construct optimal operating environments through infrastructure-capacity analysis of supercomputer center. This study can be of use for reviewing KISTI's conditions as the only supercomputer center in Korea. In addition, it provides reference data for planning the new exclusive supercomputer center in terms of feasibility, while analyzing infrastructure systems.

An analysis on renewable energy siting conflicts in Korea (재생가능 에너지 시설의 입지 갈등 분석)

  • Lee, Sang-Hoon;Jeon, Eui-Ch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257-257
    • /
    • 2009
  • 2008년 8월 국가에너지위원회는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공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온실가스 저감, 에너지 안보 강화, 신성장 동력 육성 등을 위해 신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2007년 2.4%에서 2030년 11%까지 높일 것이다. 이런 목표가 달성되려면 풍력, 태양광, 해양에너지, 바이오매스 등 재생가능 에너지 원별로 보급이 크게 확대되어야 한다. 2030년이면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은 지금 보다 약 10배 증가한 3,504MW, 풍력발전은 설비용량은 지금 보다 약 12배 증가한 7,301MW에 이를 전망이다. 그러나 이런 보급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여러 가지 장애와 난관이 존재한다. 극복해야 할 문제 중 하나가 재생가능 에너지 설비의 입지를 둘러싼 갈등 현상이다. 국내에선 태양광 발전소가 산지에 다수 들어서면서 산림 훼손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일부 지역에선 태양광 발전소 가동이 동 식물 피해를 유발한다는 민원까지 등장하면서 계획이 취소되거나 변경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풍력 발전도 계획이나 시공 과정에서 환경영향을 둘러싼 갈등이 불거지면서 공사가 중단되거나 계획이 보류된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의 제도와 여건에선 이런 갈등이 더욱 심화 증폭되어 중 장기적으로 신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의 달성이 불투명해질 수 있다. 이 논문에선 국내 태양광 발전과 풍력 발전 시설의 입지와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 사례를 분석하고 갈등 완화와 해소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flood reduction on dorim stream according to installation urban drainage system using SWMM model (SWMM모형을 이용한 도림천지역 내수배제시설 설치에 따른 침수저감 분석)

  • Lee, Jae Gwang;Tak, Yong Hun;Kim, yeong Do;Gang, Bu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45-345
    • /
    • 2017
  • 급격한 도시화 현상으로 많은 인구가 밀집되고 토지를 집약적으로 이용을 하며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등 도로포장으로 인해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폭우와 홍수로 인한 인명과 재산 및 교통체증 등과 같은 다양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침수피해를 발생시키는 인자들은 지표면의 침수심, 침수면적 및 지속시간 등이 있으며, 이러한 인자들을 이용하여 침수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할 지역은 도림천 지역 대림 1동, 대림 2동, 대림 3동, 신대방동의 일부분 지역을 대상으로, 침수가 발생한 2010년 강우를 활용하여 도림천 지역의 도시침수를 분석을 하였다. 침수가 일어난 원인으로는 관의 허용용량 초과로 인해 침수가 되었던 것으로 보이고 각 지선관거가 간선관거로 합류하는 과정에서 과부하로 인해 주요 간선관거에서 월류가 발생한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내수배제시설 용량의 초과로 인한 침수가 발생하였을 경우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침수심 및 침수면적 등 피해정도를 미리 예측하여 관리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림천의 우수관망을 이용하여 침수해석모형인 SWMM을 활용하여 문제점들을 파악하였으며, 침수방어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Evacuation Capacit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ife Safety Standards for Medical facilities (의료시설의 한국형 인명안전기준개발을 위한 피난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 Choi, Yun-Ju;Kim, Yun-Seong;Jin, Seung-Hyeo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1.11a
    • /
    • pp.92-93
    • /
    • 2021
  • In the case of medical facilities, the evacuation time is delay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hallway and exits due to the increase in the width of evacuation by using mobile beds, wheelchairs, crutches, etc.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o secure evacuation capacity to reduce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corridor width and exit width. Accordingly, we would like to compare the standards related to the evacuation capacity of medical facilities in Korea and NFPA, derive differences, and use evacuation simulations to compare evacuation times according to changes in corridor width and exit width. In Korea, it is calculated based on the floor area by use, but in the case of NFPA 101, the number of evacuation routes, stair width, corridor exit width, and two-way door width was stipulat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ople. Using evacuation simulation, efficient evacuation capacity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evacuation time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hallway, changing the width of the exit, the width of the corridor, and the width of the exit. The evacuation simulation is intended to be used to secure evacuation safety of domestic medical facilities by calculating the effective evacuation time reduction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hallway and exit.

  • PDF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Low Impact Development web simulator (저영향개발 웹 시뮬레이터 개발 및 효과 분석)

  • Inkyeong Sim;Junbae Won;Soohyun Kim;Changyeon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4-254
    • /
    • 2023
  •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 증가에 따른 물 순환 왜곡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관리를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이 국내외에서 적극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입력에 따라 LID 해석이 가능한 저영향개발 디지털트윈 분석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LID DT 분석 모듈은 LID 시설 해석에 특화된 모형으로 시나리오 강우 기반 시뮬레이션 및 실시간 강우량 연동을 통한 모의가 가능하며, LID 시뮬레이션을 위해 개별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실시간 강우량 연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유역유출 계산은 SWMM 모형의 비선형 저류방정식을 기반으로 유출해석 및 기본 LID 해석은 EPA SWMM 엔진으로 해석하며 저수지 추적이 요구되는 빗물이용시설의 경우 별도의 모듈을 적용하였으며, SWMM LID 해석 결과의 시설별 상세 결과 표출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현재 LID DT 모형의 시범 지구 적용은 세종시 6-4 생활권 해밀마을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유역 24개소, 우수관로 27개소, 소유역 24개소 및 유역면적 51ha로, 총 64개의 LID 시설을 시설형식을 구분하여 소유역별로 적용하였다. LID 시설의 강우 발생일에 대한 첨두유량과 관측 결과를 비교하여 정상 상황과 비정상 상황의 유량 오차 발생 시 점검 경보 알림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LID 시설의 유지보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실시간 강우 모의를 통해 빗물이용시설의 저류조 용량 대비 현재 빗물저류량을 계산하여 빗물이용시설의 빗물저류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물부족 발생알림을 제공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LID DT 시뮬레이터에 및 빗물이용시설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Reduction Efficiency of Storm water and Pollutant in Filter Type and Clearance Type Permeable Blocks (침투형 및 틈새형 투수블럭에서의 빗물유출 및 오염물질 저감효율 분석)

  • Gil, Kyungik;Lee, Da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0-210
    • /
    • 2020
  • LID (Low Impact Development, 저영향개발)는 산업화 및 도시화 진행 지역에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제어해 개발지역 내 자연순화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물순환 기능증대를 통해 강우 유출수를 지역 내에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점오염원 저감 LID 시설에는 자연형과 장치형 시설이 있다. 자연형 시설에는 저류형, 침투, 식생형 시설 등이 있다. 특히, 침투시설에는 대표적으로 투수블럭이 있으며, 이는 투수성 포장재를 통해 강우 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여과나 흡착 등으로 비점오염물질을 제어하는 시설이다. 장치형 시설로는 여과재나 망을 이용해 비점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여과형 및 스크린형 시설, 응집과 침전을 통해 비점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응집·침전 시설 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8년 3년간 전주 서곡지구 지역 내 설치된 필터형 투수블럭, 틈새형 투수블럭에서 진행했다. 각각의 투수블럭에서 총 19회, 20회의 강우 모니터링을 실시했고, 오염물질 유입 및 유출 EMC 등의 분석을 통해 유출 및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분석했다. 연구 대상 각 투수블럭의 주요 제원은 시설 용량 14.4㎥, 시설 면적은 14.4㎡이다. 모니터링 결과값을 분석한 결과 필터형 투수블럭의 경우 유출 저감율은 17.4 ~ 100%, 틈새형 투수블럭은 29.6 ~ 100%이었다. 필터형 투수블럭과 틈새형 투수블럭의 단위면적당 유량 저감량은 각각 0.014 ~ 0.583㎥/㎡, 0.035 ~ 0.588㎥/㎡이었다.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 항목(BOD, TOC)의 경우 틈새형 투수블럭에서의 저감효율(BOD 93.59%, TOC 90.39%)이 필터형 투수블럭에서의 저감효율(BOD 89.99%, TOC 86.94%)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영양염류 항목(T-N, T-P)의 경우 필터형, 틈새형 모두 비슷한 저감효율(필터형 T-N 89.02%, 필터형 T-P 98.12%, 틈새형 T-N 90.41%, 틈새형 T-P 98.04%)을 보였다.

  • PDF

세계 혼합핵연료산업의 현황과 전망

  • 이동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1067-1074
    • /
    • 1995
  • 현재 상용규모 이상의 재처리시설을 보유하고 있거나 건설중인 국가는 5개국이며, 이들의 재처리 용량은 약 5,000톤/y에 이른다. 또한 프랑스 등 5개국이 현재 총 440톤/y의 혼합핵연료 가공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영국, 일본 등이 대규모 시설을 추가로 건설중에 있다. 재순환 산업이 성숙되어 감에 따라 2005년 경에는 전 세계적으로 누증되어 가고 있는 플루토늄 재고상황도 안정될 것이다. 앞으로 경수로가 혼합핵연료 이용의 중심 역할을 하는 가운데 고속증식로 및 신형전환로 등에의 이용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제까지 총 32기의 경수로가 혼합핵연료를 사용한 실적이 있는데, 플루토늄의 수급 상황을 감안 할 때 2005년경에 가면 68기 정도의 경수로에 혼합 핵연료의 사용이 요구된다. 플루토늄 자체가 유용한 에너지원일 뿐 아니라, 이의 소진 문제도 전 세계적으로 큰 부담이 되고 있는 만큼 사용 후 핵연료사용 확대는 당연한 요구이다. 이를 위해서는 재 순환 하부구조의 확충과 함께 이에 대한 대중의 거부감을 불식시키는 한편, 각국 정부는 안정적 인허가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대규모 투자를 보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원자력발전소 건설현황 및 전망

  • 문희성
    • 전기의세계
    • /
    • v.25 no.1
    • /
    • pp.49-52
    • /
    • 1976
  • 원자력기술은 이차대전중 군사적인 목적으로 개발을 시작한 이래 극기적인 발전을 거듭해 여러 분야에서 응용하여 그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군사적인 이용으로 핵잠수함 및 핵항공모함 등에의 이용은 괄목한 바 있어 그 실효성을 입증한 바 있고 민간부문에서는 1956년 영국 Coldar Hall에서의 최초의 상업발전용 원자로가 가동된 것을 효시로 수종의 원자로형이 개발되어 1975년 현재 세계각국에서 전력생산에 기여하고 있는 상업용 원자로는 총 164기, 시설용량 68,500MW로써 전체 발전시설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아직은 미미한 형편이나 현재의 개발추세로 보아 그 발전속도는 과거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빠를 것으로 예상되어 원자력발전 기술이 완전히 실용단계를 넘어 에너지 공급에 많은 비중을 점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원자력발전 현황 및 개발전망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논하기로 한다.

  • PDF

A study on ventilation capacity and water catchment facilities of a cable tunnel (전력구 환기용량 및 집수설비 규격검토)

  • Song, Choong-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2066-2067
    • /
    • 2007
  • 지중송전선로는 2006년 기준으로 전체 송전선로의 8.8%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점유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중송전선로의 주요 구조물 중 하나인 전력구는 "토목구조물 시공 -부대설비 시설 - 케이블 포설"의 순서로 공정이 진행된다. 전력구 부대설비 중 환기설비, 배수시설에 대한 검토는 토목 구조물의 기초설계시에 설치위치와 더불어 그 규격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여 하나 관련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정확한 검토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개정된 한전 설계기준 및 제정된 전력구부대설 비시설기준을 토대로 집수정의 규격에 대한 검토기준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환기설비에 대한 설계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First flush modeling of the radial type surface runoff and a placement strategy for stormwater inlet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first flush treatment in a small impervious catchment (방사형 강우 유출의 초기세척 모의 및 소규모 불투수 배수구역에서의 초기우수 처리효과 상승을 위한 집수시설 배치 방안)

  • Kang, Joo-Hyon;Lee, Dong Hoon;Kim, Jin Hwi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375-382
    • /
    • 2017
  • In this study, general characteristics of dynamic behavior of stormwater runoff from a small impervious catchment was investigated from a series of simulations for a radial type surface runoff.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a better placement strategy for stormwater inlets to improve performance of a structural best management practice (BMP) was suggested. The degree of pollutant first flush from an ideal radial type impervious catchment was simulated using a 1-D diffusion wave equation coupled with a pollutant transport eq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flush of the chemical oxygen demand was the strongest when the catchment length ranged 30-50m at a bed slope of 0.02. This result suggested that a required degree of the first flush can be intentionally obtained by just changing the locations and numbers of stormwater inlets, and thereby adjusting the catchment length. Particularly, the overall performance of a structural BMP in reducing pollutant load can be improved by placing the stormwater inlets at locations for obtaining a required first flush str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