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기준문제

Search Result 40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Barrier-free Design Assessment of Sidewalks for Improving Pedestrian Infrastructure (Barrier Free 인증 모의평가를 통한 보행자도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인덕원역, 석수역 주변 왕복 6차선 도로를 중심으로)

  • Kang, Jun Mo;Lee, Gun Roc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1D
    • /
    • pp.101-110
    • /
    • 2009
  • Urban Designers and Planners are interested in creating barrier-free (BF) environments as the demand for social equity increases. BF design consists of design strategies for modifying buildings or facilities to be used by the physically disadvantaged or disabled. To construct buildings or facilities to be "Barrier-free", design standards specifically modified for the physically disadvantaged or disabled should be appl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F design standard used in the national law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their future improvements. In the study national laws in four countries were reviewed and important BF standards to be used in the laws were identifi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BF assessment criteria for sidewalk design. Then a field assessment for two sidewalk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was conducted using the refined BF criteria. The findings from the field assessments indicated that current regulations were not appropriately designed to provide sufficient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It is needed to enhance the BF standards in the domestic regulations to offer sufficient mobility to the physically disadvantaged or disabled.

An Extraction and Analysis of Problem Areas for BTL Projects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실무적 관점에서의 BTL사업 문제영역 도출 및 분석)

  • Kim, Soo-Yong;Son, Myung-Chan;Yang, Jin-Ko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3
    • /
    • pp.157-166
    • /
    • 2013
  • Unlike conventional BTO(Build-Transfer-Operate) projects, this BTL project aims at fixing the financial deficiencies of the government and expanding infrastructure through private capital. It allows the government to attract private capital for the construction of public facilities such as schools and social welfare agencies for whom private users don't need to pay, thereby bolstering national finance. BTL projects are causing a variety problems in progress. Therefore, we are required a practical approach to can improving a variety problems. In this study, we were derive the problem areas as follow. First, research data on the problem of domestic BTL projects, Second, high-performing foreign data analysis than domestic. And, we were analyzed to systematic management method for problem areas by using affinity techniques, matrix comparison analysis, AHP techniqu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provide management standards through real problem areas and the analyzing of relatively importance.

A Study on Development of Cost Index Model for Military Facilities Construction (군 시설공사의 공사비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Jong-Won;Son Bo-Sik;Lee Hy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256-260
    • /
    • 2004
  • As a large portion of defence budget are alloted for military facility construction, reasonable budget estimation in the planning stage has been officers' main concerns. However the proper estimation of construction cost is difficult to be carried out due to the absence of systematic criteria. To improve the budget estimation for military facility construction, this study proposes a cost index model which can convert historical cost to current cost. Thus the developed cost index would enhance effectiveness of budget estimation process 3nd support reasonable decision making. This cost index model is developed by analyzing historical cost data with statistical methodology The study is executed by following process. First, factors which affect construction cost for the most are selected by analyzing historical cost data. second, the selected factors are categorized material cost, labor cost and equipment cost, and weights of those factors are calculated by dividing the cost of each factor by total item costs. Last, cost index is developed by using weighted average method.

  • PDF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Techniques for Identification of Sabotage Targets (에너지 시스템의 사보타지 표적 인식 기법의 현황 및 전망)

  • Kim, Seong-Ho;Choi, Y.;Jung, W.S.;Kim, K.Y.;Ya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7.11a
    • /
    • pp.288-293
    • /
    • 2007
  • 미국 911 테러 발생 이후로, 국가 기반시설(예: 송/배전 전력망, 석유/가스 파이프라인, 원자력 발전소, 정보통신 시설, 교통 시설, 금융 시설, 매스미디어 시설 등)에 대한 테러리스트의 사보타지 리스크를 관리하는 도전문제에 정부 차원이나, 기업 차원에서 국내외적으로 뜨거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 가운데 에너지 시스템,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물리적 보안은 국가 안보 차원에서 매우 중대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는 사보타지로 인한 이러한 시스템의 파손이 국민, 작업자, 또는 외부 환경에 방사성물질 누출과 같은 중대한 결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전과 같은 복잡 시스템에서 설계 기준 위협이 초래할 수 있는 이러한 결말은 그 시스템의 특정 핵심 표적(예: 부품, 구역, 자산, 행위, 인원)의 방호를 통해 효과적으로 방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표적 인식에서는 어떻게 방어할 것인가에 앞서서 무엇을 방어할 것인가를 다루려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여태까지 개발된 다양한 표적 인식 기법의 개발 추세를 소개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통해 표적 인식 기법의 수월성, 신뢰성, 및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으리라 본다. 표적 인식 기술의 활용성 측면에서 볼 때, 표적 인식은 하드웨어 적이거나 소프트웨어적인 방호 시스템의 설계에 필수적이므로, 신뢰성 높은 표적 인식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줄일 수 있다: 1) 사보타지 리스크 감소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2) 제한적인 보안 재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3) 보안 대응군대의 훈련 시나리오를 개발할 수 있다; 4) 발전소 규제요건인 안전조치 계획을 비용이나 보안 측면에서 향상시켜 국민 안심(public easiness)을 도모할 수 있다. 향후에는 보다 더 광의적인 복잡 시스템 사이에서 상호 연계적인 사보타지에 대한 표적 인식의 기법들이 점검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 PDF

Estimation of Urban Flood Risk Forecasting Standard using Local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지역 방재성능을 고려한 도시홍수 위험 예보기준 산정에 관한 연구)

  • Lee, Seon Mi;Choi, Youngje;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54-154
    • /
    • 2020
  • 최근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해 국내 도시지역 홍수피해 발생빈도와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2010년, 2011년, 2018년에 서울에서는 홍수로 인한 침수피해가 크게 발생하여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있었다. 이렇듯 도시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인구와 재산이 밀집되어 있어 홍수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이다. 국내에서는 홍수피해 저감을 위해 홍수예보를 발령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홍수예보는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의 주요 하천 구간에서만 실시되고 있어 이러한 하천에 접하지 않는 지역은 국가 홍수예보의 수혜를 받을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각 지역에서는 홍수 대응을 위해 기상청의 호우특보 기준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전국적으로 동일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각 도시지역은 과거 홍수피해에 따라 방재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보수하고 있어 각 지역의 방재시설 현황 및 홍수에 대한 취약성 정도가 다른 상황이다. 그러므로 전국적으로 동일한 강우기준이 적용되어 발령되고 있는 호우 특보는 실제 각 도시지역의 방재현황이 고려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과거 낙동강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별 홍수위험도에 따른 홍수위험지수를 산정하고 검토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도시지역의 방재 현황을 고려하여 강우기준을 보정할 수 있는 가중치를 산정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25개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세부인자는 노출도, 민감도, 적응도로 구분하였다. 각 세부인자 별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 방법을 적용하였고, 산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각 지역 별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유클리드 거리 산정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각 지역의 방재 특성을 고려한 가중치를 산정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는 지역 별 방재특성이 고려된 강우기준을 제시 및 적용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 PDF

Presentation of Performance Test Criteria for Denuclearization Verification Equipment Considering North Korea Environment (북한 환경을 고려한 비핵화 검증 장비의 성능 시험 기준 제시)

  • Ji-Young, Han;Su-Hui, Park;Yong-Min,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7 no.1
    • /
    • pp.71-77
    • /
    • 2023
  • The issue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is an global issue that transcends the North and Sou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in preparation for the situation in which North Korea reveals its intention to denuclearize.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it is required to guarantee the normal operation of the denuclearization verification equipment. If a performance test criteria that takes into account the North Korean environment is established,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ill be used in the future denucleariz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basic materials related to performance test standards were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of test standards such as international standards. After that, we established a performance test criteria. This includes high temperature, low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and shock tests. Through follow-up studies, validity of test criteria will be established through actual device testing.

Residual Characteristics of Insecticide Dinotefuran in Asparagus under Greenhouse Condition (시설재배 아스파라거스 중 살충제 dinotefuran의 잔류특성)

  • Boo, Kyung 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6
    • /
    • pp.375-381
    • /
    • 201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the insecticide dinotefuran in asparagu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from July to August and consequentially to obtain basic data for guidelines on the safe use of this pesticide in asparagus. Residues of dinotefuran in young stem of asparagus before and after growing mother stem were analyzed from samples collected at 0, 1, 3, 5, and 7 days after single application of a commercial formulation of dinotefuran (wettable powder, 10%) at the recommended dose (2,000 times dilution). The residue of dinotefuran in young stem of asparagus was analyzed by HPLC-UVD, and recovery of dinotefuran in young stem was tested at 0.5 and 1.0 mg/kg concentrations. As a result,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dinotefuran was 0.01 mg/kg, and the recovery of dinotefuran was in the range of 83.3-94.0% with a coefficient of variation less than 10%. Residues of dinotefuran in young stem of asparagus before and after growing the mother stem were lower than the tentative limit (0.05 mg/kg) from 5 and 3 days after single application,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single application of dinotefuran (wettable powder, 10%) at the recommended dose at 7 days before harvest would have no deleterious effects on safety issues concerning pesticide residue. This result might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construct guidelines for the safe use of dinotefuran in asparagus.

Assessment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Agricultural Watershed based on Big Data (빅데이터 기반 농촌유역 이수안전도 산정)

  • Nam,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30
    • /
    • 2021
  • 우리나라 수리시설물 중 30년 이상 경과된 수리시설물은 전체의 61%를 차지하며, 특히 저수지의 경우 저수지의 약 84% 정도는 50년 이상 된 노후 저수지로 분류되고 있어 지속적인 보수·보강 필요하며 향후 기후변화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수측면에서 설계기준이 되는 설계한발빈도는 농업용 저수지의 내한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리시설의 규모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국내의 경우 1982년 농지개량사업계획 설계기준 댐편에 한발빈도 10년 기준을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안전도는 한발빈도 설계기준을 대신하여 사용하고 있다.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안전도는 기존 설계기준에 의한 물수지법에 따른 저수지의 설계빈도로 산정되어 기후 및 영농변화, 용수수요의 변화, 농법의 변화 등 현장의 물관리 여건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실제 저수지의 이수능력은 한발빈도 설계기준으로 대변되는 공급가능량 및 평야부 용배수로의 형상에 따라 농업용수 공급역량이 상이하므로, 평야부를 포함하는 농촌유역, 농촌공간의 이수안전도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의 유관기관들은 특성 및 용도에 맞는 용수공급 정보를 생산하여 모니터링 자료를 제공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체감하는 물 부족 및 이수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현장기반 데이터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경험에 의한 관행적인 물관리 자료, 저수지 관련 계측 자료, 위성영상 자료, 비정형 미디어 데이터 등 이수 관련 분야의 빅데이터를 통합 구축하여 농촌유역 이수안전도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한다.

  • PDF

Validating DEVS based Traffic Simulation Model for Freeways (DEVS 기반의 연속 교통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검증 ($I^3D^2$ 교통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중심으로))

  • 윤동영;김원규;송병흠;지승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25-130
    • /
    • 2002
  • 본 연구는 DEVS를 기반으로 개발된 교통류 시뮬레이션 시스템인 $\ulcorner$I$^3$D$^2$ 교통류 시뮬레이션 시스템$\lrcorner$(이하 I$^3$D$^2$)의 검증을 그 목적으로 한다. I$^3$D$^2$는 본 연구진이 DEVS를 기반으로 개발한 범용 시뮬레이션 도구로써, 이미 서울시 강남 신호교차로와 내부순환로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I$^3$D$^2$는 헌재 단속류에서의 최적신호 생성 및 대기행렬 예측 문제, 그리고 연속류 시설의 용량 산정 문제등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문헌자료나 현장 데이터를 토대로 한 충분한 검증이 수행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를 토대로, I$^3$D$^2$를 검증한다. 이를 위하여 고속도로 또는 도시고속도로와 같은 연속 교통류의 대표적인 효과척도인 $\ulcorner$교통량 - 밀도 - 평균주행속도 (시간)$\lrcorner$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미국 HCM과 우리나라의 도로용량편람에 정의되어 있는 기준을 토대로 I$^3$D$^2$ 검증을 수행하였다. 모델링은 서울시 올림픽대로의 양화대교 - 성산대교 - 가양대교 구간을 대상으로 했으며, 검증은 교통량에 따라 크게 3가지 교통류 상태(random, intermediate, constant)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이 각각의 교통상태에서 예측한 평균주행시간의 정확도를 측정하면서 수행하였다. 검증 결과 random 상태에서는 문헌자료에 부합되는 예측결과를 보여주었으나, intermediate와 constant 상태에서는 문헌보다 다소 낮은 속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속도차는 추후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여 보다 실질적인 검증을 통하여 조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건축물 석면관리 가이드라인 제정.시행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26
    • /
    • pp.53-57
    • /
    • 2009
  •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던 석면문제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최근 아기에게 바르는 파우더를 비롯하여 화장품 등에까지 석면공포가 확산됨에 따라 환경부는 석면이 주로 건축자재(80% 이상)에 사용된 만큼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건축물에 사용된 석면의 안전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 가이드라인을 제정, 시행에 들어갔다.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은 $\Delta$건축물에 사용된 석면함유 설비 또는 자재를 조사하여 석면지도 작성 및 6개월마다 훼손 여부 평가 관리 $\Delta$석면 해체 제거작업 과정에서 석면이 비산되지 않도록 주변 대기 중 석면농도 0.01개/cc(실내공기질 권고기준) 기준 설정 $\Delta$석면 해체 제거 작업 및 폐석면 처리 시 안전한 석면관리를 위한 준수사항 등이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건축물 사용단계부터 철거 폐기까지 전 생에에 걸친 석면 관리 방법 및 기준 등을 포함하고 있어 건축물 이용자, 철거지역 인근 주민의 석면 노출 차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가이드라인을 자치단체, 다중이용시설 관리자, 건축물 철거업체 등을 통해 널리 알리는 한편, 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관련제도 보완 등 건축물 석면관리 개선방안을 오는 6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