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관리 서비스 표준규격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uggestions on the Campus FM Services by Establishing Framework in the form of Performance Indicator(Pi) Based on FM_KS (KS 시설관리 표준규격을 바탕으로 한 대학시설 FM 서비스 발전방향)

  • Shin, Eun-Young;Kim, Yu-Jin;Kim, Jun-H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22 no.1
    • /
    • pp.37-45
    • /
    • 2015
  • Over the years, great attention has been shown to the function of the campus facilities that should be well-equipped, operated and maintained to better support university's two main goals: providing education and supporting research. Properly managing campus facilities is the initial step to be prepared to meet the rapidly changing global educational standard. However, so far, no definitive answer has been given to the question of what service level/scope is appropriate for the effective campus facility management (FM) in Korea. Therefore, at the outset,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the framework for the standardized campus FM services. The main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campus FM by establishing the framework in the form of FM performance indicator (PI). As the first step, FM standards set by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has been thoroughly reviewed and analyzed to establish the framework for FM standards applicable to campus facility management. Secondly,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 (PI) for the educational facilities has been conducted to classify PI types and complement FM_KS. Finally, specific guideline and PIs developed by APPA which is globally well-known association in the field of FM for higher education facilities has been added to the combined PI which is the mixed form of FM_KS and PIs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This research provides campus facility managers and FM outsourcing service providers with framework in the form of PI to support future directions of effective campus FM services.

A Study on Certificate Management System base on Web (웹 기반의 인증서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Kim Ji-Hyeon;Chae Cheol-Joo;Choi Byeoung-Seon;Lee Jae-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6.06a
    • /
    • pp.93-96
    • /
    • 2006
  • 최근 국내외적으로 인터넷 기술 및 기반 시설의 증가와 이러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인터넷 뱅킹, 전자상거래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의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 업체에게 일정의 금액을 지불해야 하거나 인증서 관리 및 확장에 있어 개발 업체의 규정에 준수해야 하는등 몇몇 불편한 사항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제 표준 규격을 따르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인증서를 확장할 수 있는 인증 체계와 중/소규모(small and medium) 인증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인증서 관리 시스템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항로표지를 이용한 한국형 e-Navigation 발전 전략

  • Kim, Jong-Uk;Yu, Yong-Su;Han, Ju-Seop;Choe, Su-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31-332
    • /
    • 2014
  • 최근 해양 분야에서는 해상과 육상의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 활용하여 해상에서의 선박의 안전 운항, 해양 환경 및 자원의 보호 등의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 체계로 e-Navigation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를 비롯한 해양 분야 국제기구 등은 e-Navigation을 위한 정책, 표준, 관련 기술 및 시스템 개발 등 e-Navigation을 주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UN산하 해사안전 분야 전문기구인 국제해사기구(IMO)는 인적과실에 의한 해양사고를 줄이기 위해 2006년 e-Navigation 도입을 결정, 2018년부터 시행하기 위해 국제협약 제 개정 등을 추진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국제해상안전 규제동향에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해양안전을 강화하는 한편, 관련 분야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등을 목표로 하는 "한국형 e-Navigation 대응전략"을 발표하였다. 항로표지는 해상에서의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는 필수 시설로써 e-Navigation 시스템의 중요한 운영자원으로 활용될 예정이며 이에 국내에서도 e-Navigation 시스템 운영을 위한 항로표지시설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항로표지를 이용한 한국형 e-Navigation 운영을 위한 발전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A fishway information system of the east coast at Kangwondo (강원도 동해안 지역의 어도 정보시스템 구축)

  • 이창수;최상수;박상덕;박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21-24
    • /
    • 1997
  • 강원도 동해안 지역 하천은 유로연장과 유역면적이 작고 하천 상류부는 급경사이며 하류부는 완경사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 지역 대부분의 하천이 바다로 직접 유입되고 있어 바다와 하천을 옮겨 다니는 회유성 어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은 소하성, 강하성 및 양측성 어류로 구분된다. 이러한 회유성 어류의 이동은 동해안 지역 하천 하류부 완경사지에서 농업용수를 취수하기 위한 보의 설치로 인하여 어려워졌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수산자원 보호령(대통령령 제 5027호) 제 21조에서 어도설치를 규정하고 있다. 강원도 동해안 지역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어도의 실태를 보면 총 19개 하천에 있는 83개소의 농업용 취수보에 약 130개의 어도가 있다.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전어도에 대한 현장조사결과 어도의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만한 원인은 어도시설의 구조적인 문제와 관리문제로 대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도의 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어도시설물에 대한 각종 자료를 체계적으로 집적한 어도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어도시설에 대한 현황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별적으로 수행하던 어도관리를 통합관리할수 있게 하며, 어도시설 표준모형 설계의 기초자료 및 하천 정보, 어류생태정보와 연결된 정보시스템으로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본 어도 정보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인터넷상에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어도 정보시스템이 탑재된 웹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요청한다. 사용자의 요청을 받은 웹 서버는 게시판과 DBMS를 제어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건네준다. 사용된 기술은 ISAPI 규격의 확장인 IDC, HTX이다. 관리자와 사용자의 입력, 수정, 검색, 삭제등에 관한 읽고 쓰기 권한을 구분한다.이 경과함에 따라 소멸하며 약산성에서 높은 생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강별로는 낙동강에서 THMs파 HANs의 생성능이 비교적 높았고, 영산강에서는 HAAs의 생성능이 높았다. 각 원수의 특성에 따른 생성능을 파악함으로써 생성능 저감방안을 마련하며, 소독 부산물질의 인체노출평가에 따른 위해성평가를 통해 관리기준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문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교수-학생간의 인간적인 관계가 중시되는 교육환경하에서, 정보화 사회의 한 수업형태인 재택수업을 외국(특히 미국)의 방법을 그대로 따라 실시할 경우, 많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따라서 우리 교육문화에 맞는 재택수업 형태의 개발이 시급함을 제시한다고 하겠다.column density of HCaN is (1-3):n1014cm-2. Column density at distant position from MD5 is larger than that in the (:entral region. We have deduced that this hot-core has a mass of 10sR1 which i:s about an order of magnitude larger those obtained by previous studies.previous studies.업순서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개선된 해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준비작업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장의 작업순서결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행하여, 보완작업비용과 준비비용을 고려한 GMMAL 작업순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ulc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