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계획기준

Search Result 55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onceptual process establishment of robust water resources planning strategy considering climate changes in a pilot river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robust한 수자원 시설 계획에 대한 개념적인 기본 구상과 제언)

  • Ryu, Tae Sang;Cheong, Tae Sung;Kim, Sung Hoon;Lee, Woo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39
    • /
    • 2017
  • 한반도 기후변화 경향은 이미 기상 생태 환경 수자원 등 광범위한 부분에서 감지되고 있다(기상청, 2011a, 2011b).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강우패턴은 첨두강우가 7월에서 점차 8월로 이동 변화하는 것으로 전망되고, 양적으로 연강수량은 점차 감소가 전망되면서도 극한 값은 발생빈도와 크기가 점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래서 그간 기존댐에 대한 재평가(1998, 2010, 2012)와 발생 가능한 최대강우량 설계기준으로 기존 댐의 여수로 배제 능력을 증대시키는 비상여수로 설치 등 기존 댐 시설위주의 효율적인 기후변화 대응 또는 적응 방안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 상황은 전에 발생한 적이 없었던 새로운 기상이변과 재난을 가져오고 있다. 이에 기상 변화에 하나의 시설로서 대응 하던 방식에서 한 번의 기상이변이 유역 전반에 걸쳐 재난을 발생하는 최근의 상황에 맞추어 수자원 시설을 계획하는 방식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장래 전망되는 기후변화를 감안하여 이수와 치수 시설의 가뭄과 홍수에 대한 대처 능력을 유역 차원에서 평가하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Robust 하다는 것은 어떤 상황에서도 작동이 되는 것을 말하는 강건한 계획으로, 이와 같은 시설 계획을 위해서는 먼저 현재의 시설물에 대한 회복력을 판단하는 평가가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용수공급이든 홍수 재난이든 회복력(복원력)에 대한 평가를 하고, 대안에 대한 로버스트 의사 결정 방법(RDM: Robust Decision Making)을 적용하여 우수한 대안을 찾으면 강건한 시설계획 수립이라는 절차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회복력(복원력)을 갖는 로버스트 의사결정방법에 대한 과거 연구 조사를 기초로 하여 연구 수행 절차를 마련한 후에 장래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시범 유역에 적용하여 수자원 시설의 복원 또는 회복력을 분석하고, robust 의사결정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향후 로버스트 수자원 시설 계획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와 함께 이수와 치수 시설의 종합적인 계획 등에 대한 개념적인 절차와 방법의 제시를 도모하였다.

  • PDF

도계장에서의 수율제고와 닭고기의 품질향상

  • 김희진
    • KOREAN POULTRY JOURNAL
    • /
    • v.17 no.7 s.189
    • /
    • pp.126-132
    • /
    • 1985
  • 국제적인 큰 행사가 아니라도 우리도 이제는 서서히 도계품으로 유통이 되어 가고 있다. 아직 도계에 관한 역사가 짧고 기술 축적이 되어있지 않아 시간과 금전과 시설에서 많은 낭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충분한 조사와 면밀한 계획없이 너무 덤비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수없이 반복하였다. 우리는 지금까지 품질향상과 시설을 같은 의미로 착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설기준에만 관심을 가졌지 그 시설을 어떻게 이용하고 실제 중요한 작업과정에 대하여는 관심이 소홀하였었다. 냉동실 몇평 이상 작업실 몇평 이상 등 최저 규모를 정해서 획일적으로 규모의 대형화를 유도하여도 계장의 경영을 어렵게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이 글은 도계장에서 품질향상을 위해서 요구되는 부문을 외국의 예에서 발췌 소개하여 도계품의 품질과 수율향상에 이바지함으로써 슈퍼마? 및 도계품 판매업소에서 자신감과 긍지를 가지고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양계협회가 지난해 미국 농무성의 도계검사관을 초빙해 국내도계장을 돌아본 보고서에서 지적했듯이 이제는 품질과 수율을 높이기 위한 세부적인 기준이 설정되어야 하며, 이 기준에 따라 작업이 시행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기준이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이 앞으로 도계장에서의 작업기준 제정에 도움을 주고, 소비자에게 환영받는 닭고기를 생산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Assessment of the Best Available Technology to Establish the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 Limitations Guidelines (처리기술 수준에 근거한 배출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BAT 도입 연구)

  • Lim, Byung-Jin;Kwon, O-Sang;Kim, Young-Noh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8 no.3 s.113
    • /
    • pp.281-288
    • /
    • 2005
  • BAT (Best Available Technology economically achievable) assessment is indispensible to effective management policy of industrial wastewater discharging facilities such as setting effluent limitations guidelines for individual industry based on the wastewater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efficiency, making effluent limitations guidelines for new sources, and calculation of the reducible amount of emission load conforming to a total emission general plan and enforcement plan. This study reviewed foreign cases of BAT assessment and condition of domestic wastewater discharging facilities, and suggested BAT assessment guideline suitable for the domestic conditions. The major assessment factors and flow are; (1) Identification of pollution source characteristics, (2) Identification and survey on technology, (3) Selection of candidate technology, (4) Assessment of legislation adaptation, (5) Assessment of environmental factor, (6) Assessment of economical acceptability, (7) Total weighting value factor assessment on technological factor, and (8) Total assessment and final BAT sele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major policy data and a base of industrial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 of Safety Facilities in the Coastal Zone (연안역 안전시설 관련 연구 및 개발추진계획)

  • Lim, Nam-Hyoung;Lee, Chin-Ok;Sung, Ik-Hyun;Jang, Sun-Ja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339-341
    • /
    • 2009
  • 연안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연안역을 따라 많은 산업화와 관광권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안전시설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해 많은 인적 및 물적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충청권 연안역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관광, 산업, 방조제 등) 및 자연적(조수, 해일, 지진, 해양기름유출, 해안습지, 태풍 등) 특성을 고려한 연안역 안전시설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선행연구로 서해안 연안역 현장조사를 통한 안전시설물의 설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안역 안전시설의 성능 및 설계기준, 건설재료 등에 대한 연구를 기획하였다. 연구과제의 최종 수행결과물로서 제시될 해안 안전 시설물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대한 개발추진계획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