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개방

Search Result 33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f the vitalization strategy for public sports facility through big-data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기금지원 체육시설 활성화 방안)

  • Kim, Mi-ok;Ko, Jin-soo;Noh, Seung-Chul;Chung, Jae-H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2
    • /
    • pp.527-535
    • /
    • 2017
  • As interest increases in health promotion through sports, demand for public sports facilities is steadily grow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operation and management compared with the supply plan of public sports facility. In this contex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ddress problems of management of public sports centers and suggest strategies for vitalizing the facilities through the big-data. The data are collected from web such as news, blog, and cafe for one year in 2015. From the big-data, We can find that the national sports centers and the open gyms showed similar users' behavior but showed different needs. Both facilities have been used as sports and leisure area and have a high percentage of visitors for other purposes such as walking, picnics, etc. However, while the national sports facilities which were used for more specialized programs, the open sports center were used as leisure space.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through Analysis for the Open-Facilitie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부산지역 초등학교의 개방시설 현황분석을 통한 개방시설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 Park, Yoon-Gu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16 no.1
    • /
    • pp.59-68
    • /
    • 2009
  • In the knowledge-base 21st century, schools are required functions as a place of education for student as well as a place of life-long education for community. Therefore schools are needed to be open and to be multi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open-facilities to community of twenty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to suggest a design guideline for open -facilities of school plan at the base of this analysi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tudy for general ideals and necessity of opening school facilities to community. 2) Establish the study objects of the opening facilities by existing studies and a questionnaire. 3) Focused on twenty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opening facilities in terms of the using efficiency, that is, the approachability, the recognition and the territoriality. 4) At the base of 1) 2) 3), results are as follows: $\circ$ In consideration of approachability, the block plan of the open-facilities should be designed at making a circulation system without interruption of the student's educational area. $\circ$ In consideration of recognition, the form and detail of external and internal of the open-facilities should be designed at making distinction with the student's educational area. $\circ$ In consideration of territoriality, the zone of the open-facilities should be designed at composing exclusive hall, staircase and sanitation.

Installation of observation wells to monitor the effect of weir opening on the water level of the Nakdong River (낙동강 보 개방 모니터링을 위한 관측정 설치)

  • Choi, Doo Houng;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53-453
    • /
    • 2022
  • 4대강 유역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보의 개방을 통해 하천의 수질 개선 및 자연성 회복을 추진하고자 하는 정부정책에 따라 2017년부터 낙동강 유역 내 일부 보의 수문을 개방하고 모니터링을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보 건설 이후, 하천 주변의 농업형태 및 농업용수 취수 조건이 변화하였고, 보 개방에 따른 하천 주변 지역 지하수위 변화로 인한 농업용수 부족 현상이 발생하였다. 정부에서는 보 주변의 농업 현황 조사, 지하수 현황 조사 및 용수 공급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하천 주변의 농민들은 보 개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농업용수부족 및 이에 따른 농업피해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지하수의 지열을 사용하여 겨울철 시설재배 농작물의 보온을 하는 '수막재배' 방법을 활용하는 농가의 경우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난방비 증가 및 농작물 냉해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보 개방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천 주변에 분포하는 지하수는 하천의 영향을 받으며, 지표수와 지하수는 기저유출 등을 통해 상호영향을 받는 물 순환의 구성요소이므로, 보 개방으로 인한 하천수위 변화에 따른 주변지역 지하수위의 변화 패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보 개방 모니터링을 위한 관측정 설치의 필요성을 조사/분석하고 최적의 관측지점에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 개방에 따른 주변지역 지하수 영향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이 보 개방 모니터링 전후로 수행되어, 보 개방에 따른 지하수 환경 내 영향 분석, 농업형태에 따른 지하수 활용 영향 및 지하수 장애 발생 시 임시대책/항구대책 제시 등을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정부와 Kwater는 보 개방에 따른 현장조사 및 분석을 통한 지하수 관측정을 설치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추진하고 있다. 2019년 현재, 낙동강 유역에는 총 194개소의 지하수 관측정이 있으며, 향후 수막재배를 많이 활용하고 있는 시설재배 농업단지 등을 보 개방에 따른 지하수 이용장애 민원 우려지역을 중심으로 지하수 관측정을 추가로 설치하여 보 개방에 따른 지하수 영향 분석 및 이에 대한 용수공급 대책 마련 등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ffect of the Eave Width and the Vertical Rain Proof Facilities on Ventilation and Air Velocity Distribution in Hanwoo Loose Barn (개방한우사의 처마와 수직 비가림시설이 환기와 풍속 분포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Joo;Jo, Hyeon-Jun;Kim, Dong-Hoon;Gutierrez, Winson M.;Chang, Hong-Hee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5 no.4
    • /
    • pp.87-93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more effective way in eave structure between lengthening roof just as standard plan and replacing 3 types of vertical rain roof facility by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imulation to reduce the heat stress of Hanwoo, increase the effect of dryness of room floor, rain proof and ventilation efficiency. The simulation which did with mean wind velocity (1.2 m/s) result showed that the case of lengthening of roof just as standard desig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ases of vertical establishment of rain proof facility.

남북 항로표지 협력 지원방안

  • Kim, Min-Cheol;Kim, M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01-305
    • /
    • 2013
  • 북한은 김정은 체제의 조기 안착과 장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경제난을 해결하고자 개혁 개방정책으로 변화 시도가 기대됨에 따라 북한이 개혁 개방정책을 시도할 경우 해운항만의 개방에 맞춰 북한의 해상 교역에 필요한 항행 안전시설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우리나라의 역할과 지원방안에 대한 검토.

  • PDF

The change of hydraulic charictar in pipenetwork be follow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상수도 관망내 밸브 개폐에 따른 수리적 특성 변화)

  • Rhee Kyoung Hoon;Oh Chang Ju;Kim Tae Kyoung;Kim Ji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981-985
    • /
    • 2005
  • 상수도 관망은 상수도 운용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항상 수요자의 필요에 부응하는 충분한 수량과 좋은 수질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적정한 압력 유지와 수량 확보가 되도록 유지 관리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수도 관망의 합리적인 해석과 최적의 설계를 통해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양질의 물을 원활히 공급하고 재원의 낭비를 줄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많은 대도시들의 경우처럼 특히 상수도 시설이 거대해 지고 급수구역이 광범위하며 복잡한 배수시설을 가지고 있는 지역에 있어서는 모든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유지관리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므로 운영관리상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현재의 상수도 시설에 대한 수리적 상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도시 상수도 시설의 효율적 운영 및 확장에 기본이 되는 현재의 상수도 시설에 대한 시설현황, 운영, 수리상태를 파악 하고, 밸브의 개폐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변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망 해석에 필요한 입력 자료는 실제 운영되고 있는 광주광역시의 상수도 급배수 관망 시설을 대상으로 산출 하였고 관망해석 프로그램인 Pipenet 98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대상 구역에 대해 수리적 특성 변화를 모의한 결과 상수 관로내의 밸브 개폐도를 $100\%$ 유지시켰을 때 평균 수압은 $4.4kg/cm^2$으로 나타났으며 밸브 개폐도 $80\%$일 때의 평균 수압 $4.7kg/cm^2$, 밸브 개폐도 $60\%$일 때의 평균 수압은 $4.69kg/cm^2$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도가 $100\%$일 때가 밸브를 $60\%$$80\%$ 개폐시켰을 때보다 $0.3kg/cm^2,\;0.29kg/cm^2$ 낮게 나타나 밸브를 전체 개방 했을 때 관로내의 수압이 상수설계기준에 적합한 수압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ssues and Directions of National Policy on Sports Facilities (정부의 체육진흥시설 정책의 과제)

  • Ko, Wi-Sug;Cho, Min-He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
    • /
    • pp.291-29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government's policy on the enhancement of sports facilities for community residents regarding the lack of knowledge surrounding the infrastructure of sports facilities. The government has invested approximately 2.4 trillion won to establish 220 community sports centers, 385 billion won for 194 multi-purpose indoor centers, and 1.3 trillion won for rebuilding 1,870 school outdoor field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roblems with the link between the crumb rubber infill on sports fields and cancer, a lack of availability of indoor sports centers, and an increased federal budget deficit. It is the responsibility of government to plan and construct outdoor fields that are large enough to accommodate all people and allow them to play activities. In addition, the guidelines should ensure that the indoor space required for physical activities at each teaching station is large enough to accommodate all students in the class and handle two classes. The government should suggest the federal government guidelines based on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infrastructure in sports facilities. The government also should make efforts to reduce the regulatory powers and provide the community with an autonomous right to plan and construct sports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