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방서

Search Result 38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ntegrated Code Classification System for Work Sections in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and Construction Standard Specifications (수량산출기준 및 공사시방서의 공종분류코드 통합기준 연구)

  • Kang Leen-Seok;Kwak Joong-M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 no.4 s.8
    • /
    • pp.80-91
    • /
    • 2001
  • Considering that the classified items in the work section level can have an applicability when those items are being used to cost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with consistency, the work section classification code should be applied as an Integrated code system. Our construction industry is using three work section classification systems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s, such as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and guide of project specification. And each standard construction specification is also using different work section classification systems.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to integrate the code systems in construction specifications with civil engineering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And the methodology suggest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a web-based prototype system with practical specification codes.

  • PDF

A Study on Improvement and Change Properties of Landscape Construction Standard Specification - Focused on Planting -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변화특성과 개선방향 연구 - 식재공사를 중심으로 -)

  • Yu, Joo-Eun;Jun, Jin-Wan;Lee, Sang-S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1
    • /
    • pp.60-70
    • /
    • 2013
  •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classification system, technique methods, quality levels of periodic amendment characteristics in planting of standard specification. Through analyzing the above and comparing with foreign case study,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directions. The results improvement directions are as follows. 1. Many kinds of new construction were set up through the amendments of Landscape Standard Specification, but there are still needs to combine some construction categories because of mismatches between upper and lower categories. 2. Although the Landscape Standard Specification was revised to be more concrete, the contents there remains an ambiguous expression. So, standard specification is needed to revise a depth of earth ball or strength of support materials and quantify collect period of topsoil and application time. In addition, standards about following supervisor's instruction should be more detailed or deleted. 3. The standard specification has not been specified despite enactment and amendments reflecting the periodical paradigm and the needs of users, so it is still needed to revise. In addition, quality levels, planting periods, size of earth ball and performance criteria of tree materials are needed to revise. Each specific classification and construction methods were made by amendments of standard specification, but some standards are not clear and concrete. Therefore, the standard specification is needed to revise the classification system, technique methods, and problem deduction of quality levels and proposal of improvement. This study will be reference material when Landscape Standard Specification is revised.

Earthquake Resistant Design of a Steel Framed Structure in Low Seismic Regions Based on the Dynamic Behaviour (동적거동에 기초한 약진지역 철골뼈대구조물의 내진설계)

  • 국승규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59-66
    • /
    • 2001
  • 구조물 내진설계의 개념은 기존요구조건이라는 조항으로 시방서에 규정되어 있으며 구조물이 지진발생시에 안전성과 경제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비선형시간 이력해석을 수행하여 자진시의 동적거동을 기술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내진설계에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응답스펙트럼해석법은 선형해석법으로 구조물의 비선형동적거동의 영향을 거동계수로 반영하므로 파괴메카니즘 및 기본 요구조건의 만족여부를 거동계수를 구하는 과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내진설계방식에 의해 설계된 약진지역에 의한 화학공장건물의 모델인 3차원 철골뼈대구조물을 선정하고 거동계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지진시의 동적거동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현 시방서의 응답스펙트럼해석법에 적용되는 거동계수는 강진지역의 구조물의 경우 기능성 및 안정성 한계를 제시하지만 약진지역 구조물의 경우는 실제 동적거동과 무관하다는것과 약진 지역에 위치한 구조물의 내진설계에는 시방서가 제시한 내진설계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주요한 사항임을 확인하였다.

  • PDF

Full Scale Hydraulic Experiment and Analysis for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Revetment Blocks (호안블럭 수리특성에 대한 실규모 수리실험 및 분석)

  • Kim, Myoung-Hwan;Lee, Du-Han;Rhee, Dong-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67-667
    • /
    • 2012
  • 호안블록을 설치하는 목적은 제방의 비탈면 및 저수로 하안을 강수나 유수에 의한 침식작용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친수성, 경관, 생태계 보전 및 재생 등과 같은 기능을 가진 다양한 호안블록의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국내 상황은 호안블록에 관한 수리적 연구와 안정성 검토의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호안의 설계 및 시공시에는 하천공사 표준시방서 등을 이용하고 호안블록 제작에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시방서의 내용들은 호안블록 설치 후 호안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듯 하다. 하지만 이는 모두 호안블록의 재료 및 설치 기준에 관한 지침서일 뿐이며, 어느것도 호안블록 설치 이후에 호안의 안정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현재 국내 상황을 고려한 호안블록 주변의 수리특성에 관한 연구와 안정성 평가 기법의 개발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 하천실험센터 실규모 수로에 최근 미국과 일본에서 적용하고 있는 호안블록의 안정성 평가 지침을 참고하여 호안블록 시험구간을 설치한 뒤, 서로 다른 형태의 호안블록 두 종류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호안블록은 실재 현장에서 사용되는 블록과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두 종류의 호안블록에서 모두 기반 토층의 침하 현상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에서 블록 중앙에 구멍이 있는 형태의 호안블록의 경우에는 구멍 내부에서 발생한 강한 세굴 현상이 침하로 이어져 결국에는 호안블록이 설치된 구간 전체가 파손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유속이 빠른 구간에서 블록의 파손이 더 심화되는 양상도 확인하였다.

  • PDF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BOX 구조물자동화 설계시스템(BOXCAD)"에 대한 소개

  • 송영철;우상균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2
    • /
    • pp.34-39
    • /
    • 1997
  • BOXCAD Vㄷㄱ.2.00의 개발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설계조건 즉 설계차량하중, 토피, 지하수위, 사용재료의 강도 등의 변화에도 쉽게 자동화설계가 가능하도록 설계시스템이 개발되었다. 2) 개발된 설계시스템은 도로교 표준시방서와 콘크리트 시방서의 하중계수에 의한 방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설계시방서에 따른 변화에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3) 개발된 본 설계시스템에 국부적인 기하조건, 설계하중, 구조세목만 보완하면 전력구 외에도 발전소의 배수 BOX구조, 도로 및 철도 횡단용 BOX구조, 지하차도 및 보도, 하수도 및 배수 BOX구조, 분류하수관거, 지하철 BOX구조 등의 자동화설계에도 작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4)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동설계시스템은 단면의 산정, 설계도면의 제작기능은 물론 설계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기능이 있으므로, 실무에서 활용할 경우 설계도면 재료량 산출 및 설계정보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