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뮬레이션 훈련

Search Result 35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VR-simulated Sailor Training Platform for Emergency (긴급상황에 대한 가상현실 선원 훈련 플랫폼)

  • Park, Chur-Woong;Jung, Jinki;Yang,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175-178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VR-simulated sailor training platform for emergency in order to prevent a human error that causes 60~80% of domestic/ abroad marine accidents. Through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 proposed platform provides an interaction method for proficiency of procedures in emergency, and a crow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crowd agents in a virtual ship environment. The interaction method uses speech recognition and gesture recognition to enhance the immers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training. The crowd control method provides natural simulations of crowd agents by applying a behavior model that reflects the social behavior model of human.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platform, a prototype whose virtual training scenario describes the outbreak of fire in a ship was implemented as a standalone system.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IEEE 802.11a WLAN System by Channel Estimation Using Long/short Training Symbol (Long/Short 훈련심볼을 이용한 채널추정에 의한 IEEE 802.11a 무선 LAN 시스템의 성능개선)

  • 곽재민;조성언;서정옥;임기택;최광호;조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05a
    • /
    • pp.540-54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IEEE802.11a의 규격에 따라 OFDM 무선 LAN 모뎀과 프레임 포맷을 구성하여 시뮬레이션에 의해 BER 성능을 분석하고 수정된 채널 예측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채널예측성능이 개선됨을 보인다. 실내 무선채널로서는 AWGN과 TDL 모델을 적용한 지연확산채널을 고려한다. 우선 AWGN 환경에서 규격에 제시된 전송속도 및 부호율에 따른 OFDM 무선 LAN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실내무선채널 환경에서 채널추정이 불완전한 경우에 대한 성능을 분석한다. 기존의 채널추정방식으로서 프리앰블내의 2개의 Long 훈련심볼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경우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고, 이를 수정하여 Long 훈련심볼 뿐만 아니라 전체 10개의 Short 훈련심볼 중 8개의 훈련심볼들을 채널추정에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채용한 경우의 성능을 분석하여 기존의 방식과 비교한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수정된 채널추정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잡음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아지므로 채널추정오차를 감소시켜서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igital Control System Translator for Operator Training Simulator (운전원훈련 시뮬레이터용 디지털 제어시스템 번역기 개발)

  • 마삼선;김종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284-288
    • /
    • 1999
  • 발전소 운전원 훈련용 시슈레이터 개발시 제어로직과 MMI(Man Machine Interface)의 화면개발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수반되는 일이지만 일일이 코딩을 하여만 실제 제어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하동화력발전소 운전원 훈련용 시뮬레이터에서는 제어시스템 개발의 생산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번역기를 개발하여 현장에서 사용중인 제어파일을 일시에 번역하여 시뮬레이터에 적용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하동화력 DCS인 Siemens Control에 적합한 제어 번역기의 개발과정을 서술한다. 번역기를 통한 제어시스템의 모델링 방법은 첨단제어 시스템의 기존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게 되어 제어기술자의 훈련 및 제어로직 개발 그리고 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운전원 훈련효과를 제고할 수 있고 실제 제어시스템과 완벽한 호환성을 유지함으로써 시뮬레이터의 정확성을 보증할 수 있게 된다.

  • PDF

Effects of Horseback Riding Simulation Machine Training on Gross Motor Function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뇌성마비 아동에 대한 승마시뮬레이션 훈련이 대동작 기능에 미치는 영향)

  • Kang, Kwon-Young;Song, Byu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5
    • /
    • pp.268-28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orseback riding simulation training(HRST) on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wenty-fou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rticipate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andomly.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both received 30 minutes of regular neuro-rehab exercises for three times a week per twelve weeks, but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dditional 15 minutes of the HRST. Gross Motor Function Measure(GMFM) was used to evaluate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HRST. Normalized GMFM scores were compared using Mann-Whitney U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a=.05.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in each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GMFM score in dimensions A and B.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ing in all dimensions of GMFM tes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ing to control group in dimensions C, D and E of GMFM test. Consequently, HRST should be considered as a therapeutic method for physical therapy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o improve the functional movements.

OBTS(On-board Training System) Construction Plan for ROK Navy CVX (해군 항공모함(CVX)을 위한 함정 탑재형 훈련체계(OBTS) 구축 방안)

  • Kim, Seejeong;Jung, Kyung-Na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1 no.2
    • /
    • pp.21-32
    • /
    • 2022
  • The ROK Navy is seeking to secure an aircraft carrier(CVX)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maritime secu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order for the CVX to complete the mission given to it, the crew must be able to operate the CVX perfectly, and for this purpose, the operating skills of the CVX crew result from constant training.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On-board Training System(OBTS) so that the best training can always be performed even on ship. CVX OBTS should be built in the form of a thorough simulator based on a Synthetic Training Environment(STE) so that it can be optimally applied to ship and provide the best training environment to the crew. In order to satisfy the various training requirements and implementation conditions of the CVX,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consist of Embedded Training System(ETS), VR training system, AR maintenance system, MR training system, MR metaverse training system, and realistic simulator training system.

정밀묘사 전투모델 특성 및 운용

  • 박래윤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1.05a
    • /
    • pp.124-124
    • /
    • 2001
  • 한국군 워게임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은 주로 대부대 훈련 및 분석용 모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대부대 전투모델은 전투요소를 부대단위로 통합하여 부대를 모의 실체(entity)로 설정하고 부대 대 부대의 교전상황을 개략적으로 묘사하므로 개별무기체계의 성능 및 효과분석을 필요로 하는 정밀 전투실험이나 연구개발 및 획득분야의 적용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된다. 이러한 대부대 개략묘사 전투모델과 대조적인 개념의 정밀묘사 전투모델은 단위무기체계별 교전상황을 상세하게 묘사하므로 주로 소부대 전장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전투모의에서 활용된다. 최근 군사선진국에서는 국방환경의 변화와 함께 교육훈련 분야에서 합성전장 개념에 의한 과학화 훈련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러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투모델도 보다 상세한 시스템의 상호작용 묘사가 필요하므로 정밀묘사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정밀묘사 전투모델은 JANUS 모델과 EADSIM 모델을 예로 들 수 있지만, EADSIM 모델은 최근에 도입되어 실용화 연구 중에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한국국방연구원에서 운용하고 있는 JANUS 모델이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먼저 전투모델 분류방법 고찰을 통하여 정밀묘사 모델의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군 정밀묘사 전투모델의 운용실태와 함께 한국형 정밀묘사 모델 개발전략을 모색하기로 한다.

  • PDF

Study on Firefighting Education and Training Apply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적용한 소방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 Chae, J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2 no.1
    • /
    • pp.108-11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VR program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associations by the disaster management phase and firefighting school curriculum, and set priorities among VR fire training and training programs using AHP analysis., The relative priority is given considering its importance and urgenc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efighting education and training class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esponse. The relative priority of the subcategories was highest in the prevention stage. The simulation implementation for the evacuation experience was highest in closed spaces, such as a subway, and the simulation for the special firefighting vehicle was highest in the contrast phase. In the response phase, real fire simulation training was the highest. In the recovery phase, virtual reality training was the most effective in determining the fire situation based on the fire database.

The Development of NI System for Kori #1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 발전소 고리 #1호기 운전원 훈련용 시뮬레이터 노외 핵계측 계통 개발)

  • Lee J.W.;Seo I.Y.;Park S.Y.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3.07a
    • /
    • pp.197-200
    • /
    • 2003
  • 실시간 시뮬레이션이란 시뮬레이션 모델의 시간진행을 실시간에 기반하여 수행하는 시뮬레이션을 말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가상 운전 교육 프로그램으로 자주 사용되며, 실제로 이를 이용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발전소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에서는 서로 다른 계통별로 나누어 시뮬레이션 모델링 후 하나의 시스템 안에 통합 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고리 $\#$1호기 원자력 발전소의 상태와 유사한 시뮬레이터 개발을 통하여, 운전원에게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용 Simulator로 제작되었던 일부 계통인 Nuclear Instrumentation System에 관련하여 개발된 사례를 서술하고 있다.

  • PDF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훈련 지침 및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Yun-Seok;An, Yeong-Jung;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60-262
    • /
    • 2014
  • 해양사고는 선박운항 또는 기기작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의 결여에서 기인되는 부분도 있으나, 사고의 많은 부분이 운항자의 정신적 해이 또는 주위상황 식별오류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해기교육이 강화되고 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다양한 교육훈련 과정이 개설되고 있지만 사고 발생율이 높은 하급면허를 소지한 항해사들은 영세한 선사들에 소속되어 시뮬레이션 교육의 기회가 많지 않다. 따라서 영세선사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초급 및 하급 항해사용 간이 시뮬레이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이 시뮬레이터에 사용될 시나리오와 시뮬레이션 Debriefing에 이용하기 위한 자기평가서,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정량화 시킬 수 있는 평가 알고리즘을 항해사 및 해기교육 대상자들의 설문결과, 사고사례 통계조사를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 PDF

Introduction to Development of Disaster Response Training Method That Utilizes Augmented Reality Based Simulator (증강현실기반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재난대응 훈련방안 개발 소개)

  • Yun, Jun-Young;Lee, Jong-Uk;Jung, Duk-Hoon;Kim, Chan-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89-91
    • /
    • 2015
  •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현시대에는 지역적으로 특성화된 재난의 급증과 함께, 각종 재난 유형의 복합화와 대형화가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하여 현재 적용되고 있는 재난대응 훈련의 조치들은 증가하는 재난의 위험에 발맞추지 못한 채 한계에 부딪쳐 답보중인 상태이다. 이에 따라 재난대응역량 강화를 위하여 현장의 긴박한 상황을 이해하여 빠른 상황판단을 할 수 있는, 현실감 있고 생동감 있는 훈련 시뮬레이터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더불어, 훈련 시뮬레이터의 개발뿐 아니라 시뮬레이터의 효율적인 이용과 변화하고 있는 현대 재난에 대한 발 빠른 대응을 위하여, 기존의 단편, 부분적인 훈련 시스템을 탈피한 새로운 훈련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훈련 방안과 재난대응훈련 평가체계 방법에 관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되고 있는 증강현실기반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재난대응 훈련 방안 개발 내용을 소개하며 연구의 목표와 기대성과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