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뮬레이션

검색결과 28,640건 처리시간 0.06초

실행시간 바인딩을 이용한 동적 웹 기반 시뮬레이션 방법론 (Dynamic Web Based Simulation Methodology Using Execution time Binding)

  • 정문규;한일형;백희정;서현곤;김기형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9
    • /
    • 2001
  • 웹기반 시뮬레이션이란 인터넷을 기반으로 플랫폼에 관계없이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기존에 Jsim, SimJava, JavaSim, DEVS-Java등과 같은 다양한 도구들이 개발되었다. SimJava는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라이브러리를 개발할 수 있는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 패키지로 SimJava 패키지, SimAnim 패키지, SimDial 패키지로 구성되어 있다. SimJava는 문자기반의 시뮬레이션뿐만 아니라, 시뮬레이션 실행과정과 결과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웹 기반 시뮬레이션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imJava를 이용하여 웹에서 모델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및 애니메이션이 가능한 SimDraw를 제안한다. 특히 SimDraw는 동적 바인딩을 이용함으로 모델을 설계하고 번역할 필요 없이 바로 웹에서 실행된다.

  • PDF

시뮬레이션 모델기반 국방체계 설계를 위한 역방향 시뮬레이션 (A Reverse Simulation for Developing Defense Systems based on Simulation Models)

  • 최선한;김탁곤;진기병;박경태;신동조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27-40
    • /
    • 2020
  •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가상 전장에서 국방체계의 효과도를 분석하는 것을 순방향 시뮬레이션이라고 할 때, 높은 효과도를 가지는 국방체계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역방향 시뮬레이션이 요구된다. 즉 효과도 분석 모델을 바탕으로 높은 효과도를 달성하기 위한 군사 장비들의 제원 및 성능, 그리고 운용 전술을 역으로 도출해야 한다. 하지만 역모델을 도출할 수 없는 시뮬레이션 모델의 특성상 역방향 시뮬레이션은 많은 순방향 시뮬레이션 반복을 요구하므로 효율성의 문제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반복 횟수를 줄임으로 역방향 시뮬레이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실무자가 이들을 손쉽게 활용하기 위한 역방향 시뮬레이션 도구를 소개한다. 실무자는 본 도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역방향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국방체계 설계를 위한 역방향 시뮬레이션을 손쉽게, 또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함의 방어 시스템 설계와 군사 네트워크 시스템 설계에 대한 사례 연구는 이를 입증한다.

공간적 부분시뮬레이션 전략이 적용된 예측기반 병렬 게이트수준 타이밍 시뮬레이션 (Prediction-Based Parallel Gate-Level Timing Simulation Using Spatially Partial Simulation Strategy)

  • 한재훈;양세양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8권3호
    • /
    • pp.57-6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이벤트구동 게이트수준 타이밍 시뮬레이션의 성능 향상 및 디버깅 효율성 크게 높일 수 있는 공간적 부분시뮬레이션 전략이 적용된 효율적인 예측기반 병렬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병렬 이벤트구동 로컬시뮬레이션들의 입력값과 출력값에 대한 빠르면서도 정확한 예측을 달성하기 위해서, 공간적 부분시뮬레이션 전략을 추상화 상위수준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정확한 예측 데이터를 빠르고 즉각적으로 생성해낸다. 공간적 부분시뮬레이션 전략이 적용된 예측기반 병렬 게이트수준 타이밍 시뮬레이션은 성능 평가를 위하여 사용된 6개의 벤치마크 설계들에 대하여 제일 일반적인 순차 이벤트구동 게이트수준 타이밍 시뮬레이션에 비하여 평균 약 3.7배, 상용화된 멀티코어 기반의 병렬 이벤트구동 게이트수준 타이밍 시뮬레이션에 비해서는 평균 9.7배, 그리고 기존의 가장 우수한 예측기반 병렬 이벤트구동 게이트 수준 타이밍 시뮬레이션 결과에 비해서도 평균 2.7배의 시뮬레이션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렬 컴퓨터 시스템 성능 평가를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 동향 (Simulation Techniques for Parallel Computer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 정용화;박진원;윤석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3권5호통권53호
    • /
    • pp.1-10
    • /
    • 1998
  • 최근 들어 병렬 컴퓨터 시스템의 설계를 평가하기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고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과정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작업 부하 생성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각 방법에 대한 정의, 특징을 살펴본 후 대표적인 구현 사례를 요약해본다. 먼저 분포 구동 시뮬레이션 방법과 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언어에 대해 살펴본 후, 트레이스를 이용하는 추적 구동 시뮬레이션 방법과 병렬 컴퓨터 시스템용 트레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최근에 각광 받고있는 수행구동 시뮬레이션 방법과 프로그램 구동 시뮬레이션에 대하여 살펴본다.

화재감식 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국외 대표적 화재 시뮬레이션 비교 분석 (For Development of Fire Identification Simul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Foreign Representative Simulation)

  • 이정현;김학철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27-130
    • /
    • 2011
  • 화재 시뮬레이션이라 함은 현실적으로 화재의 재현은 불가능한 관계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화재모델을 표현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으로 이것을 시뮬레이션이라 하며, 이를 통하여 대상물의 특징을 해석 규명하여 현실화 한 것이 화재 시뮬레션이다.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화재시뮬레이션의 필요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선 개발자체가 지지부진한 상태이며, 금번 화재감식 시뮬레이션의 개발에 앞서 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재 시뮬레이션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미력이나마 시뮬레이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분산 환경하에서의 Web-Based Simulation에 관한 연구

  • 이영해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05-108
    • /
    • 1998
  • 기존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개발한 모델들은 재사용을 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시스템이 대형화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시간으로 얻어내야 하는 경우에 기존의 순차적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하면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새로운 시뮬레이션 수행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해결하고자 Internet상에서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Web-Based Simulation 환경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자바의 분산 객체 모델인 RMI(Remote Method Invocation)를 웹 기술과 통합하고, 대규모 개발 및 많은 유지비를 요구하는 시뮬레이션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산 환경하에서의 Web-Based Simulation 구조를 제시하고 구현해 본다.

  • PDF

AIM을 이용한 염색공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시뮬레이션 (Simulation Application in Textile Industry)

  • 최성훈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 /
    • pp.6-6
    • /
    • 1994
  • 본 사례는 염색 공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한 것이다. 두 가지 시뮬레이션 분석이 실시되었다. 첫 번째는 봉제라인 모델을 개발하여 버퍼 크기와 작없시간 편차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두 번째 모델은 건조기, 표백기 등과 같은 염색 설비의 투자 효과 분석에 대한 것이다. 본 사례에서 작업시간의 확률분포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모델 개발과 분석을 위해 AIM (Analyzer for Improving Nanufacturing)이 사용되었다. AIM은 Pritsker 사가 개발한 제조 시스템 전용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이다. AIM은 대화방식의 모델 개발 및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고 자동적인 애니메이션 작성과 강력한 그래프 기능을 제공하므로 AIM을 이용하면 모델 개발기간이 대폭적인 단축과 시뮬레이션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향상시킬수 있다.

  • PDF

분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DEVS 특성 기반 시뮬레이션 모델 분배 방법 (Algorithm for Partitioning the Simulation Models Based on DEVS-features for Distributed Simulation Environment)

  • 강원석;김기형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B)
    • /
    • pp.513-518
    • /
    • 2007
  • 시뮬레이션 방법론에 있어서 모델기반 시뮬레이션과 프로세스기반 시뮬레이션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재사용성, 확장성, 시뮬레이터 기술 용이성 등의 장점으로 모델기반 시뮬레이션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근래에는 컴퓨터 시스템, 항공, 자동차 등에서 모델 기반 시뮬레이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모델기반 시뮬레이션 방법으로 수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모델을 정의하는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형식론은 계층적이고 모듈화 된 형태로 이산사건 시스템을 기술한다. 대규모의 복잡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검증 할 목적으로 분산 시뮬레이션 방법론이 있는데, 이들은 크게 동기적인 방법과 비동기적인 방법이 있다. 동기적 방식보다 빠른 수행을 위해 비동기적 방법은 전체 Time-order 순이 아닌 로컬 Time-order를 가진다. 그러나 비동기적 방식에는 분산된 시뮬레이터들 간의 전체 Time-order를 유지하기 위해 전 처리된 시뮬레이터 결과들을 저장하는데, Time-order 상으로 현재의 시뮬레이션 시간보다 과거의 사건이 왔을 때 그 이벤트를 처리해주어야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동기적 분산 시뮬레이션 방법론에서는 전체 Time-order를 유지하기 위해 과거의 Time-order를 가지는 이벤트가 왔을 때 rollback operation을 수행한다. 그러나 rollback operation은 분산 시뮬레이션 방법론에서 성능 장애요소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rollback operation을 최소할 할 수 있는 DEVS 모델 분배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소부대 교전훈련 Virtual-Constructive 시뮬레이션 연동개념 연구를 위한 테스트베드 (Test-Bed for the Interoperation of Virtual-Constructive Simulation)

  • 권순걸;최미선;김문수;이태억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19-233
    • /
    • 2010
  • L-V-C 시뮬레이션 연동은 실병력이 실장비를 가지고 참여하는 Live 시뮬레이션 모델, 실병력이 모의된 장비를 가지고 참여하는 Virtual 시뮬레이션 모델, 그리고 모의된 시스템에 모의된 병력이 참여하는 Constructive 시뮬레이션 모델을 연결하여 통합 운용하는 개념으로써, 각각의 모델이 갖고 있는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며, 보다 실전적인 통합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L-V-C 시뮬레이션 연동을 위한 연구로서, 소부대 교전훈련을 위한 Virtual-Constructive 시뮬레이션 연동개념 연구를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이를 바탕으로 V-C 시뮬레이션 연동을 위한 요구사항 및 기술을 제안 하고, 기술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추후 임무 / 교전급 규모 부대의 L-V-C 연동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