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료의 기록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Identity of Eggplant Powdery Mildews Collected in Korea (한국에서 채집된 가지 흰가루병균의 실체)

  • Cho, Sung-Eun;Choi, In-Young;Shin, Hyeon-Dong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5 no.2
    • /
    • pp.91-101
    • /
    • 2017
  • Three species of powdery mildew (Erysiphales) on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have been listed in Korea, namely Erysiphe cichoracearum (now genus Golovinomyces), Leveillula taurica, and Sphaerotheca fusca (now genus Podosphaera; syn. Podosphaera xanthii). Since E. cichoracearum was recorded on eggplan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1969, it has been regarded as a major powdery mildew agent on that plant. In 1998, the causal agent of powdery mildew on eggplant was recorded as L. taurica, then as S. fusca in 2002. During our extensive field surveys in Korea, we collected 22 samples of eggplant powdery mildews. Our microscopic observations and molecular sequence analyses showed that all of our samples belonged to the genus Podosphaera, in the absence of either E. cichoracearum or L. taurica, suggesting that P. xanthii is the dominant agent of powdery mildew disease on eggplants in Korea. As there have been no additional findings on L. taurica after the first report on the species, it seems to be a minor species that is rarely found in greenhouses. The presence of E. cichoracearum (syn. Golovinomyces cichoracearum s. lat.) on eggplants is questionable, a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 cichoracearum in the original description of the Korean collection deviate from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of this species. In addition, no herbarium material of E. cichoracearum remains. Consequently, it seems that P. xanthii is the main species of powdery mildew on eggplants, whereas L. taurica occurs rarely on eggplants, in Korea. This review provides the historical and recent taxonomy of eggplant powdery mildews in detail.

Isolating and characterizing the unrecorded Wild Yeasts from Seawater and Soil in Haeundae and Mongdol Beache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남해안 해운대와 몽돌 해수욕장 주변환경으로부터 야생 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 Seon-Jeong Park;Ji-Eun Jang;Jeong-Su Moon;Hyang-Burm Lee;Jong-Soo Lee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50 no.1
    • /
    • pp.65-73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solate wild yeasts from seawaters and soils samples of the Haeundae and Mongdol beache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to characterize these unrecorded wild yeast strains. In total, 41 strains, representing 37 different species of wild yeast were isolated from 70 samples collected from the beaches. Among these, 14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alkalophilic medium of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YPD) medium (pH 9.0), and 27 strains were isolated concurrently on general YPD medium (pH 6.5). Among the 41 isolated wild yeast strains, Candida insectorum HUD 16-3(JSL-KSS-002) and Metschnikowia citriensis HUD 12-5(JSL-KSS-001) had not previously been recorded. We investigated the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unrecorded yeast strains and three other strains-, Cystobasidium lysinophilum JSC 52-2(JSL-GGU-019), Candida takata NMD 11-1(JSL-GGU-017) and Candida panamensis ASG 58M-2(JSL-GGU-018) from Jangseoncheon in Jellabuk-do and Jangtaesan in Deajeon city. All five previously unrecorded yeasts were oval and did not form spores. All strains grew well in YPD and yeast extract-malt extract media in a vitamin-free medium. Two strains, including C. insectorum HUD 16-3(JSL-KSS-002) grew well in a 15% NaCl-containing YPD medium. Three strains, including Cys. lysinophilum JSC52-2(JSL-GGU-019) assimilated lactose, and all strains assimilated starch.

Microstructural Observation of Phase Change Optical Disk by TEM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상전이형 광디스크의 미세조직 관찰)

  • Kim, Soo-Chul;Kim, Gyeung-Ho
    • Applied Microscopy
    • /
    • v.29 no.4
    • /
    • pp.493-498
    • /
    • 1999
  • With increasing demand for fast and reliable, yet economical data storage devices, the role of optical disk technology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recent years, advanced laser technology combined with new materials has given the competitive edge over the traditional magnetic memory devices both in memory capacity and reliability of data retrieval. Continuing effort is being put into developing smaller and more complex structures for optical disks to increase their memory density. Characterization of such multilayered structure requires not only high spatial resolution for observation but also laborious specimen preparation. In this paper, the method of preparing optical disk specimens for TEM characterization is described in detail. The microstructural features in optical disks observed by TEM are also discussed.

  • PDF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Jeungpyun During Fermentation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의 물성변화)

  • 박영선;서정식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3 no.4
    • /
    • pp.396-401
    • /
    • 1997
  • Physical Properties of Jeungpyun product were analyzed during fermentation in the ranges of 0 to 10 hours. Penetration value of Jeungpyun sample measured by penetrometer was increased grea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fermentation time, recording maximum value, 135 at 7 hours. Specific volume and total pore ratio were also increased greatly in course of fermentation time, recording maximum value, 3.5 ㎤/g-dry matter and 54.9% at fermentation time, 6 hours and 4 hours respectively while they were decreased since then. Some remaining peaks on X-ray diffractogram were seen in all the Jeungpyun samples. Micropores and macropores were observed on cross-sectional view of all the fermented Jeungpyun samples.

  • PDF

Changes in Soluble Protein, Free Amino Acid and Starch of Jeungpyun Dough during Fermentation (발효과정 중 증편반죽의 가용성 단백질, 유리아미노산 및 전분의 변화)

  • 박영선;서정식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1 no.3
    • /
    • pp.282-286
    • /
    • 1995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ungpyun dough were analyzed during fermentation in the ranges of 0 to 10 hours. Solube Protein and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 of Jeungpyun dough were de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recording minimum value, 0.292 mg/g-dry matter and 13.31 mg/100g-dry matter at fermentation time, 2 hours and 4 hours respectively while they were increased since then. It was observed that, although few changes occurred at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the height of peak on X-ray diffractogram was decreased somewhat and some disintegration of starch granule on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ccurred slightly in dough samples of above 6 hours of fermentation time.

  • PDF

Notes on Powdery Mildew of Dahlia in Korea (다알리아 흰가루병균에 관한 소고)

  • Shin, Hyeon-Dong;Lee, Hyun-Tae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27 no.3 s.90
    • /
    • pp.234-236
    • /
    • 1999
  • Sphaerotheca fuliginea has previously been recorded as a powdery mildew fungus on dahlia (Dahlia pinnata) in Korea. Six collections of the dahlia mildew by the authors since 1993, however, show that the fungus does not contain conspicuous fibrosin bodies and has sinuate edge lines on conidiophores. These characters clearly indicate that the fungus causing the powdery mildew on dahlia in Korea is Erysiphe cichoracearum. On the other hand, one plant of dahlia grown in a pot was found to be infected with S. fusca (= S. fuliginea s. lat.). It is supposed to be unusual. Therefore, two species of dahlia mildew fungi are distributed and E. cichoracearum is the main cause of dahlia mildew in Korea.

  • PDF

Real time control of the growth of Ge-Sb-Te multi-layer film as an optical recording media using in-situ ellipsometry (In-situ ellipsometry를 사용한 광기록매체용 Ge-Sb-Te 다층박막성장의 실시간 제어)

  • 김종혁;이학철;김상준;김상열;안성혁;원영희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3 no.3
    • /
    • pp.215-222
    • /
    • 2002
  • Using an in-situ ellipsometer, we monitored the growth curve of optical recording media in real time. For confirmation of the thickness control using in-situ ellipsometry, we analyzed the deposited multi-layer sample made of Ge-Sb-Te alloy film and ZnS-Si0$_2$ dielectric films using an exsitu spectroscopic ellipsometer. The target material in the first sputtering gun is ZnS-SiO$_2$ as the protecting dielectric layer and that in the second gun is Ge$_2$sb$_2$Te$_{5}$ as the receding layer. While depositing ZnS-SiO$_2$, Ge$_2$Sb$_2$Te$_{5}$ and ZnS-SiO$_2$ films on c-Si substrate in sequence, we measured Ψ $\Delta$ in real time. Utilizing the complex refractive indices of Ge$_2$Sb$_2$Te$_{5}$ and ZnS-SiO$_2$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spectroscopic ellipsometry data, the evolution of ellipsometric constants Ψ, $\Delta$ with thickness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evolution curve of ellipsometric constants with the measured one, and by analyzing the effect of density variation of the Ge$_2$Sb$_2$Te$_{5}$ recording layer on ellipsometric constants with thickness, we precisely monitored the growth rate of the Ge-Sb-Te multilayer and controlled the growth process. The deviation of the real thicknesses of Ge-Sb-Te multilayer obtained under the strict monitoring is post confirmed to be less than 1.5% from the target structure of ZnS-SiO$_2$(1400 $\AA$)IGST(200 $\AA$)$\mid$ZnS-SiO$_2$(200$\AA$).(200$\AA$).

지표환경변화 추적을 위한 훕스굴 시추사업 현황

  • 김정찬;김주용;양동윤;남욱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49-50
    • /
    • 2004
  • 푸른 진주라 불리는 훕스굴호는 러시아 국경에 인접한 몽고 북부의 청정호수로 해발 약 1,645m 지점에 위치한다. 훕스굴호의 길이는 약 136km이고, 폭은 20-40km이며, 최대수심은 약 262m 이다. 이 호수의 물은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담수 중 하나로 몽고 지표수원의 약 70%를 공급하고 있다. 훕스굴호는 바이칼 열곡대내에 형성된 일종의 구조호로 약 240만년 내지 400만년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훕스굴호는 자연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으며, 따라서 호수의 유역은 다행스럽게도 인간활동에 오염되거나 교란되지 않아 다양하고 흥미로운 육상/수성 생물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퇴적물 기록 역시 후기 신생대 동안의 중앙아시아의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 연구에 매우 적합하다. 바이칼 시추사업 (Baikal Drilling Project)은 신생대 후기 동안의 중앙아시아의 지구조진화 및 전지구적 기후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미국, 러시아, 일본, 독일 등이 참여한 다국가 공동사업이다. 바이칼 시추사업 연구팀은 지난 15년간 많은 노력과 예산을 투자하여 바이칼 호로부터 총 1,600m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퇴적물 코아를 성공적으로 회수하였고, 이 시료를 이용하여 후기 신생대 동안의 중부 유라시아 대륙의 고기후/고환경 진화과정을 성공적으로 규명하였다. 바이칼 시추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이 사업에 참여했던 러시아와 일본의 과학자들은 바이칼호의 서쪽에 위치한 몽고 북부의 훕스굴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동시에 바이칼 시추사업의 후속사업으로 훕스굴 시추사업을 새롭게 추진하게 되었다. 한편, 대륙내부에서의 제4기 지구환경 및 기후 변화 과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오던 한국지질자원연구원도 2003년에 정식 회원으로 훕스굴 시추사업에 합류하였다. 훕스굴 시추사업 연구팀은 몽고의 지질광물자원연구소 (대표연구기관), 러시아의 지구화학연구소, 일본의 나고야대학교 그리고 한국의 지질자원연구원 등 4개국의 연구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4개 연구기관은 시추획득 및 기초연구 수행에 필요한 연구비를 현금 혹은 현물 (장비 포함)의 형태로 공동부담하고 있으며, 따라서 획득한 시추코아에 대해서도 각 연구기관이 전 구간에 대해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훕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훕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훕스굴호에 대한 시추사업은 후기 신생대 동안 유라시아 대륙 중부에서 일어난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를 이해함과 동시에 이러한 변화가 육상생태계 및 지표지질환경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Restoration of gold guilding on Geumdong-samjonpanbul excavated from Walji, Gyeongju using plum acid & gold(Au)-mercury(Hg) amalgam (매실산과 금아말감을 이용한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의 금도금법 복원)

  • Yun, Yong-Hyeon;Jo, Nam-Cheol;Lee, Tae-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6-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에 기록된 도금 재료와 도금법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매실산을 사용한 금(Au)-수은(Hg) 아말감기법으로 고대 도금(鍍金)기술을 되살리고, 이를 토대로 경주 월지에서 출토된 금동삼존판불을 복원하였다. 먼저, 전통 도금법을 되살리기 위해서, "오주서종박물고변", "확지신편", 조선시대 각종 의궤 등에 공통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매실에 주목하고, 매실을 3~4개월 발효 숙성 후 착즙한 뒤 그것을 농축하여 만든 매실산을 도금 실험에 적용하였다. 금아말감 도금을 위하여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의 바탕소지금속인 청동삼존판불을 구리와 주석 89:11(Cu:6kg, Su:750g)로 합금하여 주물사 주조법으로 복원하였으며, 동일한 합금비로 제작된 $2.3cm{\times}3.5cm$(가로${\times}$세로)의 시편에 사전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대적 산처리 방식에 사용되는 질산과 전통방식으로 사용되는 매실산으로 시편에 산처리 한 후 각각 비교해 보고, 금분과 금박, 상온과 가온에 따른 아말감상태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실험에 사용된 매실산 70%는 pH가 1.94로, 오늘날 산처리에 사용하고 있는 질산 20%와는 차이가 있지만, 청동 시편 실험을 통해 매실산에 20분 정도 담근 뒤 금아말감을 도포 후 24시간 지나 가열($380{\sim}400^{\circ}C$) 했을 때 금도금이 잘 되어, 현대적 방법인 질산처리로 도금을 한 시편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사전 실험을 통한 결과를 적용한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 복원은 청동삼존판불 표면처리, 금-수은 합금 및 도금하기, 도금 후 표면처리의 순서로 진행되었는데, 금과 소지금속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표면을 숯을 이용해 탈지한 후 물로 씻어내고 매실산을 도포하여 20분 동안 두어 부식 및 세척을 시행하였다. 금도금을 위한 금-수은아말감은 가온할 때 수은이 증발하는 양을 고려하여 금1 : 수은10 비율로 합금하여 완성하였으며, 금아말감 도포 후 약 24시간 지난 다음, $380{\sim}400^{\circ}C$에 가열하여 수은을 기화시켜 도금작업을 완성하였다. 금아말감도금은 평균적으로 6~7차례 시행하여야 완벽히 도금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 4차례의 도금만으로 금아말감도금을 완성시켰는데, 이것은 금아말감을 바탕소지인 청동에 도포한 후 24시간 동안 금아말감과 청동과의 반응 시간을 두게한 것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청동시편을 이용한 실험과 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SEM으로 표면을 관찰한 결과 아말감 도포시간이 즉시인 경우 도금이 거의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36시간이 넘어갈 경우 금 도금층이 불균일하게 관찰되었으므로 도금시간은 12시간~24시간 이내가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DS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산처리 시간이 20분인 시료의 경우 5 wt% 내외로 수은의 비율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및 분석결과 산처리 시간이 20분이고 아말감 도포시간이 24시간일 때 도금이 잘 이루어지므로 이 결과를 토대로 금동삼존판불을 복원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도금법에 표면을 세척하고 부식시키기 위해 사용한 물질이 매실산임을 찾아내어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점 에서 이 연구의 가장 큰 의미는 전통 소재와 기술을 복원한 것으로, 앞으로 매실산을 이용한 금 도금기술은 관련 학계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cientific Analysis of Firing Characteristics for Walls and Rooftiles Excavated from Jeseoksa Dump-site, Iksan (익산 제석사지 폐기유적 벽체 및 기와의 피열특성)

  • Ahn, Kyoung Suk;Lee, Min Hye;Han, Min Su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7 no.5
    • /
    • pp.567-578
    • /
    • 2021
  •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21 wall fragments and rooftile pieces excavated from Jeseoksa Dump-site were analyzed, and the possibility of heat exposure, such as the fire reported in the literature, was investigated by estimating the firing temperature. From the results, it was estimated that the rooftiles were composed of refined materials, and the walls were composed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s depending on the layer. Unlike ordinary rooftiles and walls, they exhibited an uneven surface with traces of bloating phenomenon in the cross section. It was estimated from the blackening of some portions that firing was not performed in a controlled state in a constant fir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estimated firing temperature showed that the non-overfired rooftiles had endured a firing temperature of 900℃ or less, but the over-fired samples were subjected to a temperature of 1,000℃ or higher and were fir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anufacturing temperature at that time. Additionally, the rooftiles probably became defective during firing or molding at the time of production, but the non-overfired rooftiles exhibited an intact shape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heat exposure due to fire. Therefore,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defective architectural components damaged by the fire, as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re discarded in the Jeseoksa dump-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