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1초

N-phenylbenzenesulfonamide 유도체들에 의한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의 살균활성에 관한 3D-QSARs 분석 (3D-QSARs Analysis on the Fungicidal Activity with N-phenylbenzenesulfonamide Analogues against Fusarium wilt (Fusarium oxysporum))

  • 성민규;황태연;강규염;성낙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38-43
    • /
    • 2008
  •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의 살균활성에 관한 N-phenylbenzenesulfonamide 유도체들의 3차원적인 정량적 구조-활성관계(3D-QSARs)들을 비교 분자장 분석(CoMFA)과 비교분자 유사성 지수분석(CoMSIA) 방법으로 각각 검토하였다. 전반적으로 CoMFA 모델들이 CoMSIA 모델들 보다 좋은 통계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최적의 CoMFA 2 모델($r^2\;_{cv.}=0.523$$r^2\;_{ncv.}=0.956$)의 정보에 따라 살균활성은 주로 정전기장에 의존적이었다. 또한 최적의 CoMFA 2 모델에 의한 등고도 분석결과로부터 N-phenyl 고리상 R4-치환기의 입체성과 양전하를 선호하는 성질이 시들음병균의 살균활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를 이용한 딸기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의 분류 (Differentiation of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Isolate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현재욱;박원목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46
    • /
    • 1996
  • 본 실험은 이병 딸기의 조직에서 분리 동정된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균주들의 유?거 변이를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marker들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총 24개의 딸기 시들음병 균주들의 DNA를 주형으로 하여 16개의 random 10-mer primer들을 사용하여 증폭시킨 결과 총 231개의 marker들을 이용하여 유전적 변이를 조사해 본 결과 크게 RAPD I과 RAPD II의 2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RAPD I그룹에 속하는 균주는 VCG A에 속하는 Y1, K1, K2, K3, K4, N2, N3, N4-1, N6-1, N6-2, N8, N9, N10, M1-2-1 균주, VCG B에 속하는 M4-1 균주 그리고 VCG C에 속하는 N1, Y2 균주들이었고, RAPD II그룹에는 VCG B에 속하는 M1-1, M2-2-1, M2-4-2, M3-2, M3-3-2 균주와 VCG D에 속하는 N1 1 균주가 속하였다. 이들 2그룹 간에는 31%의 유사성이 있었다.

  • PDF

국내 딸기 시들음병균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의 유전적 다양성, 병원성과 살균제 반응 (Genetic Diversity, Pathogenicity, and Fungicide Response of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Isolated from Strawberry Plants in Korea)

  • 남명현;김현숙;박명수;민지영;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6권2호
    • /
    • pp.79-87
    • /
    • 2020
  •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Fof) 에 의한 딸기 시들음병은 국내 딸기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병해 중 하나이다. 국내 발생하는 Fof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시들음병균의 유전적 다양성, 병원성과 살균제 반응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은 Fo080701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서 Fof 특이적 primer에 증폭되었다. 분리균의 nuclear ribosomal intergenic spacer region과 EF-1α sequences 분석 결과 3개의 lineage를 형성하였다. 대부분의 분리균은 lineage 1에 속하였으며 lineage 3에 3개 균주와 lineage 2에 1개 균주가 포함되었다. 분리된 모든 균주는 설향품종에 병원성을 보였다. Prochloraz는 DNA lineage 2에 속하는 Fo080701균주를 제외하곤 시들음병균의 EC50값이 0.02-0.1 ㎍/ml로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균사 생장을 억제하였다. Metconazole의 EC50값도 0.04-0.22 ㎍/ml로 prochloraz와 비슷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Pyraclostrobin의 EC50값은 0.23-168.01 ㎍/ml로 균주에 따라 차이가 컸다. 딸기 재배포장에서 boscalid+fludioxonil, fluxapyroxad+pyraclostrobin, prochloraz manganese이 딸기 시들음병 방제에 효과적이었다.

국내에서 분리한 토마토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의 분화형 및 Race (Forma specialis and Races of Fusarium oxysporum Isolates from Tomato in Korea)

  • 유성준;이명선;유승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4-329
    • /
    • 1995
  • Severe Fusarium wilt of tomato was observed in greenhouses in Sedo, chungnam and Sandae, Kyeongbuk from march to May 1993. Among the 20 isolates of Fusarium oxysporum isolated from wilted tomato plants and their rhisoplane or rhizosphere, 18 isolates were pathogenic to tomato. All of the pathogenic isolates were identified as F. oxysporum f. sp. lycopersici; they were pathogenic only to tomato and not pathogenic to red pepper, potato and egg-plant. The isolates of F. oxysporum f. sp. lycopersici used in this study could be divided into 2 races according to their pathogenicity to eight differential varieties of tomato. Of 10 isolates tested, 6 were classified as race 1, while 4, as race 2.

  • PDF

국내에서 분리한 토마토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의 체세포 화합성군 (Vegetable Compatibility Grouping of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Isolated from Korea)

  • 유성준;김홍기;유승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0-337
    • /
    • 1995
  • Forty-six isolates of Fusarium oxysporum collected from infected tomato plants and soils in greenhouses in Sedo, Chungnam and Angang, Kyeongbuk and 8 isolates of F. oxysporum f. sp. lycopersici from Japan and USA were used to determine vegetative compatibility groups (VCGs). Vegetative comaptibility was assessed on the basis of heterokaryon formation among nitrate nonutilizing mutants. All Korean isolates of F. oxysporum f. sp. lycopersici used in this study belonged to the same type of VCG (003) regardless of their geographic origin, cultivar and race, but they were incompatible with the foreign isolates of VCG 0030, 0031, 0032 and 0033. Based on the results, the Korean isolates of F. oxysporum f. sp. lycopersici were classified as a new VCG 003.

  • PDF

발병조건에 따른 무 품종들의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차이 (Resistance Degree of Radish Cultivars to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according to Several Conditions)

  • 백송이;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1호
    • /
    • pp.48-52
    • /
    • 2011
  • 본 연구는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에 대한 저항성 무의 효율적인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반응에 차이를 보이는 무 5품종(명산무, 청두무, 장생무, 한농여름무 및 청수궁중무)을 선발하여, 뿌리 상처, 침지 시간, 접종원 농도 및 재배 온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무 품종들의 시들음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무 품종들의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는 데는 뿌리를 자르고 접종하는 것보다 뿌리를 자르지 않고 접종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이들 품종의 뿌리를 시들음병균 포자현탁액에 침지하는 시간과 접종원의 포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시들음병 발생은 증가하였으며, $1{\times}10^7\;conidia{\cdot}mL^{-1}$의 포자현탁액에 0.5시간 침지하였을 때에 저항성 품종과 감수성 품종의 시들음병 발생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시들음병균을 접종한 후에 무를 재배하는 온도에 따라 품종들의 시들음병 발생은 차이를 보였으며, $25^{\circ}C$에서 재배하였을 때 감수성 품종들은 더 높은 발병도를, 저항성 품종은 더 낮은 발병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무 품종들의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뿌리 자르기와 같은 상처를 내지 않은, 파종 후 14일된 무의 뿌리를 $1{\times}10^7\;conidia{\cdot}mL^{-1}$의 시들음병균 포자현탁액에 0.5시간 동안 침지한 후 새로운 폿트에 이식하여 $25^{\circ}C$에서 재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Wilt Pathogen(Fusarium oxysporum f. sp.) using Plasma in Tomato Hydroponic Cultivation)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23-332
    • /
    • 2024
  • 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soil and water pollution problems caused by discharge of fertilizer components because the nutrient solution is reused. However, cyclic hydroponic cultivation has a low biological buffering capacity and can cause outbreaks of infectious root pathoge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or disinfection systems to control them. This study use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which generates various persistent oxidants, to treat Fusarium oxysporum f. sp., a pathogen that causes wilt disease. Batch and intermittent continuous inactiv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residual oxidant was persistent in intermittent plasma treatment at intervals of 2-3 days, and F. oxysporum was treated efficiently. Intermittent plasma treatment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tomatoes.

태양열 소독시 유기물과 석회질소 병행 처리에 의한 딸기 시들음병균 방제 (Control of Fusarium Wilt of the Strawberry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of Solarization with Compost and Calcium Cyanamide Application)

  • 남명현;김현숙;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32-37
    • /
    • 2011
  • 유기물, 석회질소, 요소 병행처리가 딸기 시들음병의 친환경적 방제인 태양열소독의 효과 증진여부를 밝히고자 논산딸기시험장의 비닐하우스에서 2006년과 2008년에 분석하였다. 딸기에서 분리한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7개 균주의 100% 치사시간은 $45^{\circ}C$에서 6.6일, $50^{\circ}C$에서는 5.1일이 소요되었고 100% 치사온도는 $46.7{\pm}0.1^{\circ}C$로 나타났다. 태양열 소독에 의해 유기물 처리구는 처리전보다 토양내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고, 석회질소 처리구는 산도, 유기물, 칼슘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요소처리구는 차이가 없었다. 태양열 소독시 지온은 처리간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7월 30일부터 8월 10일까지가 가장 높았고($48.4\sim54.8^{\circ}C$) 유기물+석회질소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3\sim4^{\circ}C$ 높게 유지되었다. 또한 토양내 시들음병균은 각 처리구 모두에서 사멸되었다. 시들음병 이병주율은 무처리는 2006년 20%, 2008년 13.3%의 발병율을 나타낸 반면 태양열 소독 처리구 모두에서는 시들음병 발생이 없었으며 처리간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딸기 시들음병 방제를 위한 유기물+석회질소를 병행한 태양열 소독 방법은 기존의 태양열소독방법을 보완하여 처리기간을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참깨$\cdot$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의 배양여액이 참깨의 종자발아 및 유묘기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effects of culture filtrates of sesame-wilt organism(Fusarium oxysprum f. vasinfectum) on the germination of sesame seeds and the growth of sesame seedlings)

  • 박종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권
    • /
    • pp.3-10
    • /
    • 1962
  • 1) 강력한 위조독소(Wilt toxin)인 Fusaric acid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참깨$\cdot$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vasinfectum)의 배양여액이 참깨의 종자발아 및 발아후의 유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 시험연구에 착수하였다. 2) Fusarium oxysporum f. vasinfectum의 5종의 계통의 배양여액은 모두 참깨종자의 발아를 억제하고 종자의 흑변, 괴사를 초래한다. 3) 공시균의 어떤 계통의 배양여액에 대한 참깨종자의 발아반응에 있어서의 품종간 차이는 없다. 4) 공시균의 5종의 계통의 배양여액이 참깨종자의 발아를 억제하는 독성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5) 공시균의 5종의 계통의 배양여액을 첨가한 육묘상에서는 발아후의 참깨유식물의 뿌리나 줄기의 신장이 다 같이 억제되며 조직은 흑변, 괴사하게 된다. 그러나 배양여액을 $10\%$ 첨가한 육묘상에서는 줄기의 신장생장 약간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 6) 공시균의 배양여액을 $1\%$ 내지 $1\%$ 첨가한 Knop Solution에 본엽이 생기지 않은 참깨 유식물을 배양하면 참깨의 뿌리나 줄기의 신장생장이 억제되고 제2본엽이 전개할 때까지에 줄기나 잎자루나 연화, 흑변, 괴사하며 제1본엽에는 맥간에 염갈색반문이 형성되고 제2본엽은 권축, 흑변, 괴사하며 특히 제2본엽에 나타나는 병상은 포장에서 나타나는 참깨의 잎의 위조병징과 흡사하다. 7) 공시균의 5종의 계통간에 나타나는 배양여액의 독성의 차이는 공시균의 각계통자체의 기생에 의한 병원성의 차이와 일치하지 않는다

  • PDF

양액재배 시스템에서 유전체장벽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 lycopersici)의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Wilt Germs (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 lycopersici)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i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 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95-502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inactivating wilt germs (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 lycopersici)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plasma in a hydroponic system. Recirculating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for inactivation was consisted of planting port, LED lamp, water tank, and circulating pump for hydroponic and DBD plasma reactor.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batch and intermittent continuous process. The effect of plasma treatment on Total Residual Oxidants (TRO) concentration change, Fusarium inactivation and growth of lettuce were investigated. In the batch experiment, most of the Fusarium was inactivated at a TRO concentration of 0.15 mg/L or more at four-day intervals. There was no change in lettuce growth after two times of plasma treatment for one week. The intermittent continuous experiment consisted of 30-minute, 60-minute, and 90-minute plasma treatment in 2 day intervals and 30-minute treatment a one-day; most of the Fusarium was inactivated only by treatment for 30-minute every two days. However, if inactivation under $10^1CFU/mL$ is required, it will be necessary to treat for 60 minutes in 2 day intervals. The plasma treatment caused no damage to the lettuce, except the 30 min plasma treatment ay the one-day interval. It was considered that the residual TRO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rea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