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단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Validation of the rainfall-runoff ratio of the Namgang Dam flood inflow using physically-based runoff model for upstream residual basin (댐상류 잔유역의 물리기반 유출모형을 이용한 남강댐 유입홍수 유츌률 검증)

  • Lee, Jun;Hong, Sug-Hyeon;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8-308
    • /
    • 2021
  • 다목적댐의 홍수조절운영에 있어서 댐유입량은 직접 관측의 어려움과 오차로 인해 정확한 유량을 산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남강댐 유역의 경우 유역면적대비 과소한 저수용량으로 말미암아 급격한 홍수유입이 발생할 경우 유출률이 비정상적 수치를 보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기반의 격자형 유출모형을 댐 직상류 잔유역에 적용하여 유출률을 산정 후 남강댐 계측유입량의 타당성을 간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댐유역에서 잔유역은 직상류 수위표지점 하류의 유역을 일컬으며, 이들 수위표지점에서 홍수시의 배수영향은 최소화될 만큼 이격되어 있고, 댐체 혹은 취수탑에 부착된 수위표와는 달리 기계적 진동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수위계측지점의 유량을 경계조건으로 활용하여 작은 면적에 대한 정밀한 수문학적 유출모델링을 통하여 비교적 신뢰성있는 유출값을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남강댐 잔유역은 유역 내 산청, 신안, 창촌 수위관측소를 기준으로 상류의 유역을 제외한 부분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10m 격자에 대하여 모든 입력자료를 가공하였으며, 입력자료 중 지형자료는 WAMIS에서 제공한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를 활용하였다. 강우자료는 유역 내 위치한 25개 강우관측소의 시단위 강우자료를 활용하였고, 강우사상은 진주 기상관측소의 일우량 100mm 이상을 기준으로 총 8개의 강우사상을 선정하였다. 남강댐 유역의 유출률을 산정하기 위해 산청, 창촌, 신안 등 3개의 수위관측소의 관측유량을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고, 모의된 수문곡선의 총유량과 첨두유량을 관측값과 비교하였다. 유출률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시간은 강우시작부터 강우종료 후 48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유출률은 강우사상별로 편차가 심한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는 계측유량기준 106~39.1%의 유출률이 보정된 유량을 통해서는 85~33%의 유출률로서 계측유량이 전반적으로 과대추정 되는 경향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중 2010년 7월 강우사상은 관측 유입량 기준 95.6%의 유출률을 보여, 추정유량 58.5%대비 상당한 과대추정 경향을 보인 사례로 판단할 수 있었다. 수문학적 유입량 추정방법은 현장계측을 대체할 수 있는 기법으로는 무리가 있으나 현장계측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pplicability Analysis of HSPF Model for Management of Total Pollution Load Control at Tributary (지류총량관리를 위한 HSPF 모형의 적용성 분석)

  • Kim, Jung Soo;Song, Chul Min;Lee, Min Sung;Kim, S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38-438
    • /
    • 2021
  • 우리나라의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는 수계 내 모든 유역을 관리대상으로 동일 기준유량 조건에 동일한 대상물질로 관리하고 있지만, 본류는 지류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지류는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 인근에 있어 본류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지류의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오염물질의 실질적인 관리가 어려워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오염도가 높은 지류의 총량관리를 위한 지류총량제도의 추가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류총량제 시행에 따른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팔당수계 유역을 소유역 단위로 분할하고 HSPF 모형을 적용하여 팔당수계 소유역 지류에서의 수질 변화 양상이 본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팔당수계 중권역 유역(남한강 하류 유역, 경안천 유역, 북한강 하류 유역)으로 구분하고 유역 유출 및 수질 모델링은 지류하천을 포함하는 57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입력자료는 공간자료(표고, 경사, 토지이용, 토양도 등)와 기상자료(춘천, 양평, 이천, 수원관측소)는 2008년~2018년의 강수량,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풍속, 평균습도 등의 시단위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의결과, BOD는 남한강 하류유역의 주요 지천 유역인 복하천, 양화천, 청미천 및 흑천 유역에서 0.54~0.56mg/L의 범위로 주변 유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경안천 유역은 경안천 유역의 중·하류 유역에서 2.63~4.22mg/L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고, 북한강 유역은 조종천 하류 및 북한강 상류 유역에서 1.36~3.31mg/L의 범위로 주변 유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T-P는 남한강 하류 유역은 주요 지천 유역인 복하천, 양화천, 청미천 유역에서 0.07~0.19mg/L의 범위로 주변 유역보다 높게 나타났고, 남한강 하류 유역의 중간 지점 유역인 한강(E1, E2, E4, E6)에서 높게 나타났다. 경안천 유역은 중·하류 유역의 좌안측 유역인 경안(A4, A3, B2, B1, F9)에서 0.1~0.14mg/L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북한강 유역은 전체 유역에서 0.06mg/L 이하로 남한강 하류 및 경안천 유역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지류총량관리에 HSPF 모형의 적용은 가능하였으나 HSPF 모형을 이용한 소유역 단위의 유량 및 수질 예측을 위해서는 기존의 유량 및 수질 관측망을 소유역 단위로 좀 더 정밀하게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Study on sijo by Young-do Lee (이영도 시조 연구)

  • Yoo, Ji-Hwa
    • Sijohaknonchong
    • /
    • v.42
    • /
    • pp.213-238
    • /
    • 2015
  • Jeongun(丁芸) Lee, Young-do (李永道), who is deemed a representative female poet of Korea, began her literary career in May, 1946 when she published in a publication called "Bamboo Sprout, (죽순)". Her Korean identity, which was formed through her Confucius upbringing as well as traditional value system of her family, had a strong presence in her work, and she remained a quintessential figure in Korea's female sijo poet circle for 30 years until her passing in 1976. Despite the highly acclaimed talent and her noble aspirations, it is undeniable that her works did not receive fair assessment due to her private life. Against this backdrop, it is necessary to deeply inquire the literary values and beauty of Young-do Lee's sijo. As mentioned, Young-do Lee is a solidly established figure in Korea's modern poetry. The following illustrates the spirit and the world of her poetry. First, Young-do Lee lived through turbulent times and it was her country that served as the source of her sijo work. Assessing the multitude of dramatic historical events such as Japanese colonization, 8.15 Liberation of Korea, division of the nation, 6.25 Korean war, 4.19 Revolution, 5.16 military coup, it is natural that patriotism was strongly present in her work who was one of the intellectuals at the time. Second, Young-do Lee is a poet who had experienced more pain than others in terms of the turbulence of the time. Her Korean identity, which was formed through her Confucius upbringing as well as traditional value system of her family, had a strong presence in her work. Third, Jeongun Lee, Young-do is a poet of longing. The abundance and richness of her emotions were fortifi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another poet, Chihwan Yu. Fourth, Young-do Lee is a poet opened up new horizons for the modennization. The transparency of image reflected in her work and the elaborate nature of her language are outstanding. In summary, Young-do Lee was a true artist, who has a strong presence in Korea's modern poetry society, and who was a poet of patriotism, poet who suffered the turbulence of the times, and a poet of longing.

  • PDF

The Existence and Design Intention of Jeong Seon's True-View Landscape Painting <Cheongdamdo(淸潭圖)> (겸재 정선(謙齋 鄭敾) <청담도(淸潭圖)>의 실재(實在)와 작의(作意))

  • SONG Sukho;JO Jangbin ;SIM Wooky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2
    • /
    • pp.172-203
    • /
    • 2023
  • <Cheongdamdo>(true-view landscape painting) was identified in this study to be a folding screen painting painted by Jeong Seon(a.k.a. Gyeomjae, 1676~1759) in the 32nd year of King Yeongjo(1756) while exploring the Cheongdam area located in Mt. Bukhansan near Seoul. Cheongdam Byeol-eop(Korean villa), consisting of Waunru Pavilion and Nongwolru Pavilion, was a cultural and artistic base at that time, where Nakron(Confucian political party) education took place and the Baegak Poetry Society met. <Cheongdamdo> is a painting that recalls a period of autumn rainfall in 1756 when Jeong Seon arrived in the Cheongdam valley with his disciple Kim Hee-sung(a.k.a. Bulyeomjae, 1723~1769) and met Hong Sang-han(1701~1769). It focuses on the valley flowing from Insubong peak to the village entrance. The title has a dual meaning, emphasizing "Cheongdam", a landscape feature that originated from the name of the area, while also referring to the whole scenery of the Cheongdam area. The technique of drastically brushing down(刷擦) wet pimajoon(hanging linen), the expression of soft horizontal points(米點), and the use of fine brush strokes reveal Jeong Seon's mature ag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trast between the rock peak and the earthy mountain and symmetry of the numbers, the attempt to harmonize yin and yang sees it regarded as a unique Jingyeong painting(眞境術) that Jeong Seon, who was proficient in 『The Book of Changes』, presented at the final stage of his excursion. 「Cheongdamdongbugi」(Personal Anthology) of Eo Yu-bong(1673~1744) was referenced when Jeong Seon sought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 true scenery of Cheongdam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in landscape features in the villa garde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garden, which Jeong Seon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field, suppressed the view of water with transformed and exaggerated rocks(水口막이), elaborately creating a rain forest to cover the villa(裨補林), and adding new elements to help other landscape objects function. In addition, two trees were tilted to effectively close the garden like a gate, and an artificial mountain belt(造山帶), the boundary between the outer garden and the inner garden, was built solidly like a long fence connecting an interior azure dragon(內靑龍) and interior white tiger(內白虎). This is the Bibo-Yeomseung painting(裨補厭勝術) that Jeong Seon used to turn the poor location of the Cheongdam Byeol-eop into an auspicious site(明堂). It is interpreted as being devised to be a pungsu(feng shui) trick, and considered an iconographic embodiment of ideal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that was difficult to achieve in reality but which was possible through pai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