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기별 분포

Search Result 52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atistical Analysis of Meteorological Factors with the Leaf Quality of Flue-cured Tobacco I. The Proportion of the Respective Grades of the Thin Leaf and Meteorological Factors (황색종 잎담배 품질과 기상요인과의 관계분석 I. 부엽의 등급별 수량분포와 기상요인)

  • 김정환;한원식;이용득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4 no.2
    • /
    • pp.163-169
    • /
    • 1989
  • Seasonal climatic factors associated with tobacco quality grade and production rate were analyzed. The degree of influence on yield distribution rate in high guality tobacco leaues was highly positive with the average temperature in early May, but negatively related to those in late May and early June. Positive correlations were noticed between the degree of influence and sunshine hours in Middle June, late June and late May in decrease order, while negative degree of influence was higher in early May than in late May, The order influenced by recipitation in a positive direction was early May, late May and middle May. Negative influence was noticed in middle and early June with a great degree.

  • PD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Visitor Data of Major Tourist Attractions for the Korean Local Government (지자체별 주요 관광지 입장객 데이터 비교 분석)

  • Kim, Yongsik;Lee, Byoung-Yup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3-12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주요 관광지의 입장객 데이터를 내국인과 외국인으로 구분하고 시설의 종류별 분포, 시기별 분포 등을 지역별로 비교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각 지역별 관광지 입장객 자료 수집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 PDF

Analysis of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 계열의 권역별 변동성 분석)

  • Kim, Byung-Sik;Kwon, Hyun-Han;Hong, Seung-Jin;Yoon, Seo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53-14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권역별 일강수량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역기후 모형으로부터 유도된 A2시나리오가 기본자료로서 활용되며 분석에 앞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편의를 보정하였다. 보정된 지역기후 시나리오는 비정상성 Markov Chain 모형을 통해 강수지점별로 상세수문시나리오로 가공되어 분석에 이용되었다. 강수량에 대한 연주기 분포에 대한 특성을 권역별로 시기별로 평가하였다. 연주기의 분포는 관측치와 유사한 거동을 보이고 있으며 강우량이 2075년대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따른 일강수량에 발생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Dryspell과 Wetspell을 지속시간분포별로 추정하여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Dryspell이 지속시간별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무강수일수의 증가도 전망되고 있어 같은 연강수량이라도 변동성이 크게 나타날 수 있는 개연성이 크다 하겠다. 일강수량, 월강수량, 연강수량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의 변동양상을 권역별로 평가하였다.

  • PD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ubner), Larvae in the Welsh Onion Field (파 포장에서 파밤나방 유충의 공간분포)

  • 고현관;최재승;엄기백;최귀문;김정화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2 no.2
    • /
    • pp.134-138
    • /
    • 1993
  • Larval densities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were studied in the welsh onion field located in Asan from June to November, 1991. During the period, there were two denslty-peaks;mid August and mid~late September. The larvae showed clumped distribution patterns. but the patterns changed into random as larval density decreased in Oct.ober. Each larval instar showed clumped pattern expect 6th instar surveyed on September 25, which distributed in a random pattern. The larval distribution pattern were also influenced by the host plants;clumped pattern on such host. as red pepper and welsh onion, versus random pattern on such hosts as chrysanthemum, peanut and soybean.

  • PDF

Growth characters and harvest time for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침버섯 인공재배 생육 특성과 수확 최적 시기)

  • Kim, Young;Jung, Bo-Mi;Wi, An-Jin;Park, Whoa-Shig;Bang, Mi-Ae;Park, Dae-Hun;Seo, Joung-Wook;Oh, Deuk-Sil
    • Journal of Mushroom
    • /
    • v.13 no.2
    • /
    • pp.114-118
    • /
    • 2015
  •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has been used a culinary material and traditional medicine for a long time in worldwide and recently the researches to find biological effects have been increased such as dopamine activation, preventive effect against phytopathogens, inhibitive effect against erythrocyte coagulation, anti-oxidative effect, anti-tumorigenic effect, etc. However it is hard to cultivate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it is impossible to be mass-produced a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n this study we found the appropriate cultivation period and the harvest point for it. For life cycle (from primordium formation to harvest) the morphology, weight, and quantity of polysaccharide of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were measured using with 5 bodies per a day and it could be divided for 4 stages; primordium formation, growth, needle maturation, and aging. And then from the results the Zeide nonlinear growth curve could be gotten. At 13th day after cultivation there is the 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media weight and body weight and at 14th day after cultivation the rate of polysaccharide in the body was 11 %. However in the case of O2 insufficient supply the malformation of them was observed.

Investigation of correlativity between Water Velocity and Water Temperature at a Natural River (자연하천에서의 유속과 수온의 상관성 조사)

  • Lee, Hyun-Seok;Lee, Geun-Sang;Kim, Young-Sung;Yang, Jae-Rhe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79-1883
    • /
    • 2008
  • 본 연구는 자연하천에서의 수온과 유속의 정량적인 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검증하기위한 지점별 열화상 촬영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단계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서식처별 수온 모니터링: 수온은 시간 변화에 연동하므로 관측기간 내내 장기간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 서식처별 유속 관측: 하천에서의 지점별 유속은 강우가 없고 지형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그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날씨가 좋았던 현장조사 기간 중에는 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각 지점별 유속을 취득하였다. 3) 자료 분석: 취득된 수온 자료와 유속 자료를 분석하여 수온과 유속간의 정량적인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4)분포특성 비교: 대표지점에서의 수치계산 결과와 열화상을 이용하여, 유속과 수온의 면적 분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법을 현업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온도 분포의 주기로 볼 수 있는 1년간의 시기별 조사 및 서식환경이 각각 다른 지점에서의 환경특성을 고려한 분석이 보완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자연하천에서의 서식지 구분 및 유속 분포를 추정한 본 연구는 향후 그 활용성이 매우 크다고 사료된다.

  • PDF

밀양지역 지하수의 계절별 수위변동 특성

  • 김태형;정상용;강동환;이민희;권해우;유인걸;이승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33-236
    • /
    • 2003
  • 밀양지역 지하수의 계절별 수위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500여개 공을 대상으로 총3회 측정하였다. 봄에서 늦가을까지의 시기별로 측정된 현장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밀양시 전역의 충적층 및 암반 대수층의 지하수위 등치선도를 작성하였다.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작성된 밀양지역의 지하수위 등치선도는 계절별로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충적대수층과 암반대수층에서의 지하수위 분포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계절적인 지하수위 변동이 약한 것은 밀양지역의 지하구는 대부분이 농업용수로 이용되고 봄과 가을에는 용수 사용량이 비슷하며, 여름에는 강수량은 맑지만 농업용수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함양량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대수층유형에 따른 지하수위는 암반대수층의 피압 정도와 충적 및 암반 지하수공들의 공간적인 분포 양상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lationship Analysis of Urban land Cover with Temperature Distribution using remotely Sensed Data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도시지역 토지피복과 열 분포 상관성 분석)

  • 조명희;이광재;김운수;전병운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42-48
    • /
    • 2001
  • 오늘날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시·공간적 분석은 인간활동에서부터 자연환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기법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성원격 탐사자료와 GIS를 활용하여 시기별 도시지역에서의 열 분포 특성을 추출하여 토지피복과의 상관관계를 시·공간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시기간 도시 열 분포의 특성을 도시성장과 함께 해석함과 동시에 보다 명확 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Landsat TM band 6의 DN value를 이용한 지표온도 추출에 있어서 NASA 모델을 활용하여 대구시 주변지역 8개 지점의 AWS 실측 값과 서로 상관 분석한 결 과 평균 0.85의 상관정도를 얻었다. 또한 토지피복분류를 통하여 도시성장에 따른 열 분포 및 식생지수의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1,000지점에서 sample 자료를 추출 하여 지형특성별 열 분포의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도시환경 특성을 고 려한 환경 친화적인 도시계획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질량이 낮은 별의 탄생에서 에피소딕 중력수축 모델 검증

  • Kim, Hyo-J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8 no.1
    • /
    • pp.54.1-54.1
    • /
    • 2013
  • 이 연구는 질량이 낮은 별탄생 지역에서 '에피소딕 질량수축 이론'을 관측과 수치모델로 테스트하였다. 스피쳐 우주망원경을 비롯한 여러 망원경으로 별 탄생 지역을 관측한 결과, 어린 별의 광도는 0.01 태양광도에 불과한 매우 낮은 값에서부터 높은 값까지 넓은 영역에 걸쳐 분포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 관측 결과는 70년대부터 있어 온 소위 표준 별탄생 모델의 예측과는 다른 결과이다. 관측과 표준 별탄생 모델의 차이를 풀기 위해서 에피소딕 질량수축 모델이 제안되었다. 테스트를 통하여 광도가 낮은 어린 별의 관측적 특성이 에피소딕 질량수축 모델로 한꺼번에 설명될 수 있음을 보였다. 우선, 카르마 전파 간섭계를 사용하여 전체 어린 별의 광도 분포에 해당하는 별 샘플을 선택하여 관측하였다. 표준 별탄생 모형은 중력수축이 진행됨에 따라 디스크 질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지만 에피소딕 중력수축 모델은 디스크 질량과 별의 진화상태 사이에 특별한 연관관계가 없음을 예측한다. 여섯 개의 측정된 디스크 질량은 별의 진화상태와 상관없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열아홉 개 어린 별의 이산화탄소 얼음을 적외선으로 분광 관측하고 분석하였다. 관측대상별 중 절반은 다른 분자와 섞이지 않은 순수한 이산화탄소 얼음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보였고, 그 중 여섯 개는 순수 이산화탄소 얼음 존재의 강력한 증거인 두개의 픽이 나온 흡수선 형태를 보였다. 순수 이산화탄소 얼음 성분이 현재 광도가 낮은 별에서 존재한다는 것은 과거에 광도가 밝았던 시기, 즉 중력수축속도가 높았던 시기가 있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화학진화모델에 에피소딕 중력수축 모델과, 일산화탄소 얼음이 이산화탄소 얼음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새로운 화학 네트워크를 포함한 모델로 광도가 낮은 어린 별에서의 순수 이산화탄소의 존재, 총 이산화탄소의 양, 그리고 관측된 일산화탄소 가스의 양을 모두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Nationwid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ome Selected Aculeata (Hymenoptera) in South Korea, based on Materials Collected with Malaise Trap in 2017 and 2018 (2017~2018년 말레이즈 트랩을 이용한 남한 내 야생벌(벌목: 벌아목)의 시·공간별 출현 및 분포 현황)

  • Yu, Dong Su;Kwon, Oh-Chang;Kim, Honggie;Kim, Jeong-Ky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6
    • /
    • pp.654-663
    • /
    • 2019
  • Pollinators, which are important organisms in pollination ecology, have been highly valued for their economic contributions to crop production in the agricultural and biotechnology industries. As the production of over 70% of farm products, such as fruits, are mediated by pollinators, bees are important and useful insects to humans. However, pollinators are now seriously threatened with their numbers decreasing annually and their biodiversity being negatively affected by ongoing climate change, misuse of land, change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use of pesticides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on. Thus, surveys and analyses of the emergence and distribution of wild bees are important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actices designed to help them continue to play their ecological and agricultural roles despite negative pressures, such as climate and topography changes. We surveyed pollinators, especially wild bees, at 51 research sites in South Korea every two to four weeks for two years from 2017 to 2018 using ez-Malaise traps and analyzed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wild bees. The bees showed a normal temporal distribution that peaked between July and August. The bees' working period lasted until Novembe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wild be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atitude, and different bees were identified depending on the local habita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for longitudinal distribution with regression analysis (p > 0.05), but this study identified locally specific wild bees. Although we could not predict significant distribution according to longitude, Further studies should be able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wild bees according to the climate, topography, and land-use patterns by hum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pollinator distribution, which can be useful in agriculture and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biodiversity in South Korean pollination e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