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 오차

Search Result 21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cision Model of Construction Errors Management Based on Modular Method Construction Process (모듈러 공법의 시공 프로세스 기반 시공 오차 관리 의사 결정 모델)

  • Shin, HyunKyu;Kim, SuYoung;Ahn, YongHa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8 no.6
    • /
    • pp.98-108
    • /
    • 2017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middle and high-rise building technology using modular construction method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ite construction error management.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is very limited to adjust the construction error in the field because of the factory production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construction error in advance, a management pla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is required, and it is important to make the decision of the construction participant at each stag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 of construction error of modular construction and suggested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construction error management based on construction proces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guideline for the modular construction participant to derive the construction error management plan.

Sight Distance at Crest Vertical Curves Under Consideration of Construction Errors (볼록형 종단곡선에서 시공오차를 고려한 정지시거에 관한 연구)

  • Lee, Myeong-Han;Kim, Dong-N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8 s.86
    • /
    • pp.153-162
    • /
    • 2005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ight distance change due to construction errors of vertical crest curves. Various design speeds and grades as well as various size of construction errors are incorporated in this study. After showing theoretical methodology numerical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sed for the given ranges of parameters. New vertical curve change rate(m/%) is suggested to guarantee minimum sight distance under construction errors. As to the results, the reduction of sight distance are $2.8{\sim}21.3m$ at 120km/h, $2.0{\sim}15.1m$ at 100km/h, $1.4{\sim}10.6m$ at 80km/h, $1.0{\sim}7.5m$ at 60km/h $0.5{\sim}3.9m$ at 40km/h. Vortical curve change rates need to be increased about $6{\sim}25%$ to provide minimum stopping sight distance according to design speed.

Field Survey on the Construction Errors for the Member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현장조사를 통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부재의 시공오차에 관한 연구)

  • Yoon, Sang-Chun;Jee, Nam-Yong;Choi, Ki-B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4 no.3
    • /
    • pp.201-208
    • /
    • 2010
  •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errors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member factors, which are to be introduced in a new Korean design code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The new design code, which is under development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s based on the performance design concept. The construction error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are mainly caused by the firmness and dimensional accuracy of forms, the arranging condition of reinforcing bars, the pouring and compaction methods of concrete, the skills of field workers, and the experience of supervisors. To find out the construction error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lready built in Korea, a field survey for cover thickness, effective depth of reinforcement, the thickness of slabs and walls, and the dimension of beams and columns has been performed. Based on the survey, which is the first time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The measuring methods for the construction error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laboratory tests, are also presented. In addition, the measured construction errors from the survey are compared with the allowable tolerances in the current domestic and foreign specifications.

Measuring Rebar Position Error and Marking Work for Automated Layout Robot Using LiDAR Sensor (마킹 로봇의 자동화를 위한 LiDAR 센서 기반 철근배근 오차 측정 및 먹매김 수행 프로세스 연구)

  • Kim, Taehoon;Lim, Hyunsu;Cho, Kyum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3 no.2
    • /
    • pp.209-220
    • /
    • 2023
  • Ensuring accuracy within tolerance is crucial for a marking robot; however, rebar displacement frequently occurs during the structural work process, necessitating corrections to layout lines or rebar locations. To guarantee precision and automation, the marking robot must be capable of measuring rebar error and determining appropriate adjustments for marking lines and rebar placement.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measuring rebar location error using a LiDAR sensor and implementing a layout assessment process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The rebar recognition experiment using the LiDAR sensor yielded an average error of 5mm, demonstrating a reliable level of accuracy for wall rebars. Additionally, this research proposed a process that enables the robot to evaluate rebar and marking corrections based on the error ran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automated operation of marking robots while accounting for construction errors, potentially leading to improvements in structural quality.

Evaluation of Bio-cha's ability to secure underground penetration water and its effect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바이오차의 지하 침투수 확보 능력 및 수질개선 효과 평가)

  • Tae Seong Kang;Jeong Ha Lim;Dong Hyuk Kum;Min Hwan Shin;Jong G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8-468
    • /
    • 2023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가뭄 발생 등을 대비하기 위한 비상용수 또는 대체 수자원으로서의 지하수 개발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저유량 확보 및 수질개선 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 관리 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국내 지하수 사용에 따른 하천유량의 변동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적용가능한 지하수 저감 방안 및 지하 수질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시험포를 설계 및 시공하였으며, 실내 인공강우 실험을 통해 지하 침투수 확보 능력 및 수질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구는 폭 1 m × 길이 1 m × 깊이 0.60 m로 시공하였으며, 바이오차 시험포는 폭 1 m × 길이 1 m, 시험포 상단과 하단 각 0.10 m씩 대조구와 동일한 흙으로 채웠으며, 그 사이 0.40 m만큼은 바이오차를 채워서 시공하였다. 시험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동일한 조건으로 대조구와 바이오차 시험포 각 2개씩, 총 4개의 시험포를 시공하여 실내 인공강우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시험포에서 발생한 직접유출수와 기저유출수를 이용하여 바이오차의 지하 침투량 확보 및 수질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시험포 완공 후 총 2번의 실내인공강우 실험 결과 대조구에서 발생한 직접유출량은 총 0.214 m3, 바이오차 시험포에서는 총 0.194 m3로 대조구 대비 총 직접유출량 저감효과는 9.4%로 나타났다. 기저유출의 경우 바이오차 시험포(0.036 m3)에서 대조구(0.003 m3) 대비 약13배 많은 양의 기저유출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험포에서 발생한 유출수의 오염부하를 산정해 대조구 시험포 대비 바이오차 시험포에서 발생한 직접유출수의 오염부하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BOD5 항목과 CODMn 항목, 그리고 TOC 항목의 경우 26.3%과 22.0%, 그리고 27.6%로 저감 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SS 항목과 T-N 항목, 그리고 T-P 항목의 경우 저감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바이오차는 지하 침투수 확보 능력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유출수의 수질개선 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이오차의 지하 침투량 및 수질개선 효과는 바이오차 생산 시 사용된 열분해 방식, 사용된 바이오차의 양 등에 따라 편차가 클것으로 판단되며, 바이오차의 생산 방법, 토양 흡착 기간, 바이오차의 양 등 다양한 조건에서의 모니터링을 통해 정량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실례를 통한 초고층 건물 기둥의 부등축소량 예측 및 시공오차 보정

  • 송진규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1
    • /
    • pp.62-69
    • /
    • 1997
  • 본 고에서는 고층건물의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의 진행에 따른 기둥의 (장기)변형을 정확히 예측하고 이를 시공중에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비구조요소의 강도와 사용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론은 실험적 통계치를 기초로 한 약산해법으로서 실무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52층 RC 건물에 대한 적용 결과 기둥에 발생하는 축소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탄성변형이며, 건조수축의 효과가 가장 미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년 이상의 장기 변형이 지속될 경우 크립변형의 영향이 탄성변형에 비해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층의 RC건물인 경우 기둥간 부등축소량의 최대치(=최대 시공오차)는 중간층 근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for Finding Optimized Cable Forces of Cable Stayed Bridge (사장교 케이블 최적 장력 보정에 관한 연구)

  • Park, D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 /
    • v.3 no.1
    • /
    • pp.16-20
    • /
    • 2012
  • During construction of the cable-stayed bridge, not only shape of deck and pylon but also cable forces are main factors for geometry control. Especially, geometry control of deck must be controlled for adjusting design value of vertical and lateral alignment as well as closing of key segment. Also, both the deck level error and cable force error occur necessarily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 in cable stayed bridge. The errors are caused by different of material properties and computer modeling, and construction mistake, and so on. These causes bring about that the forces of cable and the displacement of deck show different tendency from the theoretical values. Therefore, these errors must necessarily be adjusted and can be improved through adjustment of cable length. In this study, a new optimization tool is proposed to adjust the errors of the second Dolsan cable-stayed bridge.

Development of Top-Down Connection System to Solve the Problem of Construction Tolerances in Installing Prefabricated Beams to Pre-founded Columns (시공오차가 있는 선기초기둥에 공장제작보의 설치가 용이한 탑다운공사용 접합기술개발)

  • Kim, Seung-Weon;Jung, Hee-Weon;Park, Dae-Yung;Kim, Dong-Gun;Park, Jo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1.05b
    • /
    • pp.25-30
    • /
    • 2011
  • Almost prefounded columns for top-down construction certainly have construction tolerances in plan and plumbness.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connect prefabricated beams to prefounded columns at each floor level after excavation by usual top-down connection method and this usual connection method leads to long construction time, increasing cost and decreasing quality.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for connecting prefabricated beam to prefounded column with GROUT-JACKET CONNECTION SYSTEM consisting of sleeve, bearing-shear bands and grout. Details and illustrations of the connections and applications by GROUT-JACKET CONNECTION SYSTEM for the top-down construction are also included in this paper.

  • PDF

막구조 건축물의 구조설계

  • 박즐림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4 no.1
    • /
    • pp.32-35
    • /
    • 1991
  • 본 고에서는 막구조 해석.설계시의 주요 내용을 각 해석단계별로 간략히 소개하였다. 막구조는 막이론 자신이 가진 근사성, 요소의 탄성 특성의 근사, 막면 요소로 곡면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근사 등으로 구조물의 형태, 막재료의 동특성에 따라 해석시 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구조설계 단계에서 막 판넬 제작 및 시공에 대한 고려가 되지 않으면 그 오차는 더욱 크게 된다. 따라서 향후, 보다 정확한 막구조의 설계를 위해서는 섬유직포에 코팅한 막재의 역학적 특성을 보다 잘 표현할 수 있는 막재모델의 정식화, 막재단도 해석시 무장력 상태의 설계곡면을 구하는 방법, 막판넬을 접합하고, 장력을 도입하는 시공과정을 고려한 실초기 평형상태 및 시공과정 해석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한다. 또한 초기형상 해석에서 시공과정 해석까지 전 설계과정을 공통 Data Base에서 일관 작업이 가능하도록 막구조통합 설계 System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