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 시각화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patiotemporal Data Visualization using Gravity Model (중력 모델을 이용한 시공간 데이터의 시각화)

  • Kim, Seokyeon;Yeon, Hanbyul;Jang, Yun
    • Journal of KIISE
    • /
    • v.43 no.2
    • /
    • pp.135-142
    • /
    • 2016
  • Visual analysis of spatiotemporal data has focused on a variety of techniques for analyzing and exploring the data. The goal of these techniques is to explore the spatiotemporal data using time information, discover patterns in the data, and analyze spatiotemporal data. The overall trend flow patterns help users analyze geo-referenced temporal ev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tract and visualize overall trend flow patterns using data that has no trajectory information for movements. In order to visualize overall trend flow patterns, in this paper, we estimate continuous distributions of discrete events over time using KDE, and we extract vector fields from the continuous distributions using the gravity model. We then apply our technique on twitter data to validate techniques.

Geocomputation with Spatio-Temporal Database for Time Geography Application (시간지리학 응용을 위한 시공간데이터베이스 기반의 GIS 컴퓨팅 연구)

  • Park Key-Ho;Lee Yang-Won;Ahn Jae-S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3 no.3 s.34
    • /
    • pp.221-237
    • /
    • 2005
  • This study attempts at building a GIS computing environment that incorporates object-relational spatio-temporal database for the time geography model with space-time path, space-time prism and space-time accessibility. The proposed computing environment is composed of ( i ) mobile GIS application for collecting spatio-temporal trajectory data of an individual, ( ii ) spatio-temporal database server that includes time geography model, and (iii) geovisualization client that performs time geographic queries to the spatio-temporal database. The spatio-temporal trajectory data collected by GPS-PDA client is automatically processed and sent to server through data management middleware. The spatio-temporal database implemented by extending a generic DBMS provides spatio-temporal objects, functions, and SQL. The geovisualization client illustrates 3D visual results of the queries about space-time path, space-time prism, and space-time accessibility. This study confirms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mobile GIS and DBMS for time geography model, and it presents the appropriate database model with spatio-temporal objects and functions that may handle very large data for time geography application.

  • PDF

Spatio-Temporal Visu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Collections (문화유산 데이터의 시공간상 시각화 연구)

  • Park, Narae;Jeon, M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5-57
    • /
    • 2020
  • 본 연구는 문화유산 데이터의 효과적 정보 시각화 방안을 탐색한다. 문화유산 데이터는 역사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충실히 이해될 수 있기에, 지리적 평면과 시간 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시공간 큐브상에 문화유산 데이터들을 배치하는 것은 문화유산의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통시적·공시적 조망을 동시에 제공하는 유익한 시각화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문화유산 컬렉션 데이터를 지도 평면과 시간 축으로 구성된 시공간 큐브 상에서 탐색·체험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과 AR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분석 결과 문화유산 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는 데이터에 대한 총체적 시야를 제공하고 새로운 체험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하는 한편, 낯선 형식으로 인한 인지적 피로가 뒤따를 수 있어 대상 데이터의 특성, 매체 형식의 특성, 사용자의 경험적 이해, 인간의 지각방식을 고려한 다각적 정보 체험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Spatio-temporal Visualization of Social Anxiety Using SNS Data (SNS 데이터를 이용한 사회 불안의 시공간 기반 시각화)

  • Kim, Jae-Min;Lee, Joo-Hong;Choi, Y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849-85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SNS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회 불안의 시공간 분포를 시각화 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Open API인 twitter4j를 이용하여 트위터로부터 시공간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이 트윗의 작성자가 불안한지 아닌지 표시한 훈련 데이터를 준비한다. 이 훈련 데이터와 한글 형태소 분석기 Open API인 KOMORAN을 이용해 사전을 구축하고, 불안 분류기를 개발한다. 트위터로부터 수집한 시공간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분류기로 분류하여, 지도에 표시해줌으로써 사회 불안을 시각화 한다. 사회 과학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불안을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불안으로부터 생기는 다양한 사회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Geovisualization Environment for Spatio-temporal Trajectory of Personal Activity (시공간 개인통행자료의 지리적 시각화)

  • Ahn Jae-Seong;Lee Yang-Won;Park Key-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3 s.108
    • /
    • pp.310-320
    • /
    • 2005
  • This study attempts at prototyping and evaluating a geovisualization tool that summarizes and explores human activity patterns using spatio-temporal trajectory data collected from GPS receiver. A set of core conceptualization developed in 'time geography' is successfully represented by our prototype based on the notion of 'space-time cube.' The notions of 'temporal dispersion cylinder' and 'parallel plane plot' are also implemented to allow funker analyses of human activity pattern on the space-time trajectory. The capabilities of the geovisualization environment we proposed include the interactive and dynamic functions that support a variety of explorations on the three components of spatio-temporal data : space(where), time(when), and object(what).

Spatio-temporal Data Visualization Survey for VR and AR Environment (VR 및 AR 환경에서의 시공간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동향 분석)

  • Song, Hyunjoo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3 no.1
    • /
    • pp.36-44
    • /
    • 2018
  • VR(Virtual Reality) and AR(Augmented Reality) devices are becoming more common, and the need for proper contents presentation techniques in such environments has been growing ever since the popularization of the devices. One of the contents is the spatio-temporal data, which has become more prominent since it could be both generated and consumed by a large number of ordinary users. In this work,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data as a source for visualization in VR and AR environment, and categorized prior visualization methods for such data, which were devised for traditional monitors. The researcher also reviewed the hardware specification of state-of-the-art devices,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dopting the previous visualization approaches. This work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designing spatio-temporal visualization for VR and AR environment by utilizing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Spatio-temporal Visualization of PM10 Flow Pattern Using Gravity Model (중력모델을 적용한 미세먼지 흐름 패턴 시공간 시각화)

  • Lee, Geon-Woo;Yom,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7 no.6
    • /
    • pp.417-426
    • /
    • 2019
  • Conventional visualization of PM (Particulate Matter)10 flows applies superimposition of concentration distribution maps and wind field maps. This method is efficient for small scale maps where only macro flow trends are of interest. However, in the case of urban areas, local flows are difficult to model at micro level using wind fields, and therefore different methods of flow extraction is deemed necessary. In this study, flow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visualized directly from the PM10 density data by using the gravity model.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wind field is not necessary for estimating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PM10 flow. The extracted spatio-temporal flow patterns of PM10 are analyzed with relation to traffic information.

Interactive Map-based Spatio-Temporal Visualization of Typhoon Situation using Web News BigData (웹 뉴스 빅데이터를 이용한 태풍 상황정보의 인터렉티브 지도 기반 시공간 시각화 방안)

  • Lee, Jiae;Kim, Ju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773-776
    • /
    • 2020
  • 웹 뉴스 기사는 태풍과 같은 재해 발생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태풍의 발생시점, 이동·예측경로, 피해·사고 현황 등 유용한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의 형태로 관련 상황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재해재난 관련 뉴스 기사는 특정 시점의 정보만을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하므로, 시계열 측면의 연결성을 지니는 기사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다. 또한 시간적 변화에 따라 기사 내용에 포함된 장소, 지역, 건물 등의 지명에 대한 공간적 정보를 지도와 연계하여 정보를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어, 시공간적 변화에 따른 특정 재해재난 상황정보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파악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시각화 측면에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1) 웹크롤링을 통해 구축된 뉴스 빅데이터를 자연어 처리를 통해 태풍과 관련된 뉴스 기사들을 추출하였고, 2) 시공간적 관련 정보를 지식그래프로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최근 발생한 태풍 사건들과 관련된 뉴스 정보를 시계열 특성을 고려하여 3) 인터렉티브 지도 기반의 태풍 상황정보를 시각화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언명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

  • Seong, Hae-Gyeong
    • 한국게임학회지
    • /
    • v.6 no.1
    • /
    • pp.55-57
    • /
    • 2009
  • 멀티미디어 정보 표현에 있어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멀티미디어 특성이 적용된 게임 개발에 있어서 각각의 시각 객체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공간 영역에서 동시에 움직여야 하므로 게임에서 필요한 멀티미디어적인 게임 요소들을 게임 운용상에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게임 장면을 통한 시간과 공간 개념의 동기화가 필요하고 게임 객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 특성이 논리적으로 설계되어 게임을 운용시켜야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혼합된 형태의 미디어로 구성된 데이터의 표현을 위해서는 객체가 나타내는 상대적인 위치와 상대적인 시간을 나타내 주는 공간 합성과 시간 합성을 명시할 수 있는 정형화된 표현 연구가 요구된다. 간(刊)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시간적 동기화와 공간적 동기화 각각에 대한 표현에 많이 치우쳐 있으므로 시간과 공간이 통합된 미디어들의 동기화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시공간이 통합되지 않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표현법을 게임 개발에 적용할 때에는 게임에 사용되는 미디어 객체간의 원활한 동기화 표현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게임 시나리오 스케치에서 나타난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개념이 적절히 표현될 수 있는 정형적 연구가 필요하다. 간(刊)본 논문에서는 시간 개념과 공간 개념이 통합된 형태의 시공간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명세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시간 및 공간 개념을 적절히 변형하여 표현될 수 있도록 시간 및 공간 동기화가 통합된 새로운 표현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게임 요소들의 시간적, 공간적 동기화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언명으로 정의하고 시공간 관계성에 대한 확장을 제시한다. 간(刊)본 논문이 제안하는 언명 기반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공간 동기화 모델(an Assertion-based Multimedia objects Spatio-TEmporal Synchronization model : AMSTES)는 시간과 공간 모두에 적용되는 게임 객체들의 시공간 동기화 표현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 생성을 위한 시공간 공식을 제공한다.

  • PDF